DOI QR코드

DOI QR Code

Continuity of Japanese National Education between pre and post war in the context of Citizenship Education

전전-전후 일본 교육의 연속성 : 시민교육의 맥락에서

  • Received : 2017.04.15
  • Accepted : 2017.05.0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inuity of national education between prewar and postwar Japan in the context of nationalism and citizenship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direction and process of educational reform which has been a turning point in Japanese education policy. It explores the limitations of educational reform at the normative level and institutional and procedural level. Meiji Japan needed to form a united group to support modernization while also cultivating obedient people who supported the emperor, and the modern education system played a major role in achieving this task.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the nation sought to change the framework of authoritarian nationalism inherent in Japanese traditional through educational reforms and achieve the goals of democratization and non-militarization. The postwar educational reform has transformed the educational structure, but democracy and peace orientation have not been rooted internally. Under the backdrop of the Cold War, the education returned to the inverse.

본 논문은 일본 교육 정책에 큰 전환점이 되었던 두시기의 교육개혁의 지향성과 과정을 검토하여, 전전-전후 일본의 국가교육의 연속성을 국가주의와 시민교육의 맥락에서 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제를 공포하고 근대교육제도의 효시를 이룬 메이지 개혁(1868)을 제 1교육개혁, 패전이후 민주주의 헌법과 교육기본법, 학교교육법(1947)에 의하여 재건된 6-3-3-4제의 교육개혁을 제 2의 교육개혁(고전, 2014: 98)으로 보고, 일본 교육 정책에 큰 방향 전환이 되었던 각 시기의 국가교육이 지향하는 바와 체계를 갖추어 가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본 후, 규범적 내용적 차원, 제도적 절차적 차원에서 전전-전후의 국가교육이 갖는 연속성과 교육개혁의 한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메이지 일본은 근대화된 사회를 지탱할 결속된 구성원을 형성해야 할 필요성과 동시에 천황제를 뒷받침할 순종적 신민을 양성할 필요성이 있었고, 근대적 교육 체제는 이러한 과업을 달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패전 후 일본은 민주화, 비군사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 개혁을 통해 일본적 전통 속에 내재하고 있는 권위적 국가주의의 틀을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전후 교육개혁으로 인해 교육 구조의 변형은 이루었지만 민주주의와 평화 지향의 내적 뿌리내림에 이르지 못하였으며, 냉전이라는 배경 하에 다시 교육의 보수화, 역코스로 회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