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gust and Domination

혐오와 지배

  • Received : 2017.07.12
  • Accepted : 2017.08.24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Disgust is caused by human being incompleteness and also its denial.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disgust is concerned with the understanding of humans. Thinking critically about disgust, we can solve the problems of disgust and reflect on our limitations. I will refer to Nussbaum's view which finds out in "projective disgust" an antipathy to human fault and a wish for completeness. This article is interested in the fact that disgust is not only a rejective feeling of a person but also a collective emotion which is connected with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and power exercise. Specificall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oint that disgust is mobilized to maintain a domina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This is associated with the inner characteristics of disgust because disgust in itself contains a one-sided perspective, exclusiveness, hierarchy, and domination. This article aims to reveal a collusion between disgust and domination. For the purpose we will pay attention to two basic inclinations which are immanent in disgust; purity and exclusion, while relying on Nussbaum's view of disgust. In accordance with this analysis, this article will specificity treat disgust which can be summarized as an ideological function of emotion and its violent tendency. Then, we can ensure that disgust threats the equal and dignitary worth of human beings and hinders the diversity and rationality of a liberal society. In addition, it will be emphasized that disgust should not be used as an ideology which discriminates and suppresses a specific group in a society.

혐오는 인간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발생하며 동시에 그런 불완전함을 부정하려는 마음이다. 그래서 혐오에 대한 이해는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와 맞닿아 있다. 우리는 혐오 감정을 비판적으로 바라봄으로써 그 감정으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우리 자신의 한계성을 성찰해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필자는 "투사적 혐오"에서 인간적 결함의 거부 및 완벽성에 대한 욕구를 읽어낸 누스바움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참고하고 있다. 이 글의 주된 관심은 혐오가 개인적 차원의 거부감에 그치지 않고 인간들 간의 대립 관계 및 권력 행사에 긴밀히 연관되는 집단적 감정이라는 점에 맞춰져 있다. 특히 이 글은 혐오가 인간들 간의 지배-피지배 관계를 확립 유지시키는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점을 주목한다. 이러한 현상은 혐오의 내적 속성과 무관하지 않다. 즉 혐오 감정은 이미 그 자체 내에 일방성, 배타성, 위계화, 지배 논리 등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핵심적으로 혐오와 지배의 유착관계를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누스바움의 혐오 분석에 근거하여 혐오의 일반적 속성 및 순수와 배제의 논리에 주목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혐오의 이데올로기적 기능 및 폭력성을 중심으로 그것의 지배적 속성을 논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글은 혐오가 인간의 평등하고 존엄한 가치, 자유주의 사회의 다양성과 합리성에 유해한 감정임을 확인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이 글의 혐오 비판이 인간적 불완전함에 대한 겸허한 인정과 성찰로 이어질 때 진정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물론 이것은 인간적 한계를 이유로 혐오의 문제점을 무력하게 수용한다는 의미의 인정이 아니며, 더 나은 가치와 인간다움을 향한 부단한 노력을 전제하는 성찰을 가리킨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