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on the Produc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n and Japanese Economies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한 한·일 제조업 생산 변동요인 분석

  • Received : 2017.08.22
  • Accepted : 2017.10.10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This paper compares the sources of the changes in the produc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year 2000 ~year 2011 by I-O SDA. The results show that the first source of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is export, while in Japan the technological change. However, the contribution of technological change is relatively small in Korea and moreover decreasing. Meanwhile, the domestic final demand is the second source of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but it was the first source of the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Japanese counterpart. On the other hand, the decrease in import substitution for both the intermediate and domestic final goods i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both Korean and Japanese manufacturing industry. Conclusively,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growth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has heavily depended on export. Then, considering the current global economic environment that is rapidly becoming more uncertain as well as volatile, the results imply that the heavy export dependence may become a key hurdle for the solid sustained growth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so that policy ensuring more evenly balanced growth contribution from all growth sources is necessary. In particular, policy to promote technological change and import substitution is required with greater weight.

2000년~2011년 동안 제조업의 생산액 변화에 기여한 요인과 요인별 기여도를 투입산출 구조분해분석으로 한국과 일본 간에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한 요인은 한국의 경우 수출인 반면에 일본에서는 기술변화이다. 한국 제조업 생산 증가에 대한 기술변화의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미미하며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국내최종수요는 한국에서는 수출에 이어 제조업 생산 증가의 두 번째 기여요인인 반면에 일본에서는 제조업 생산 감소의 가장 큰 기여요인이다. 특히, 두 국가 모두에서 중간재와 최종재의 국산화율은 감소하여 제조업 생산 위축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 제조업의 수출의존적 성장을 재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수출의존도가 강화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하지만, 과도한 수출의존도는 점점 심화되고 있는 세계경제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한편으로는 한국 제조업의 지속적 성장에 장애요인이 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기여요인이 균형적으로 성장에 기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분석된 기술변화의 기여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강화와 중간재 및 최종재의 국산화율 높이기 위한 노력이 더 요구되는 정책적 시사점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U.S. Department of Labor,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Manufacturing Productivity and Unit Labor Cost Trends, 2010," 2011.
  2. 미래창조과학부, 2015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2017.
  3. 산업연구원, 아베노믹스 이후 일본제조업의 경쟁력변화와 우리의 대응, 연구보고서 2015-749, 2015.
  4. H. Chenery, S. Shisido, and T. Watanabe, "The Pattern of Japanese Growth 1914-1954," Econometrica, Vol.30, No.1, pp.98-139, 1962. https://doi.org/10.2307/1911290
  5. M. Syrquin,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and Change: An Alternative Measure," Paper presented at the European Meetings of Econometric Society, 1976.
  6. J. Skolka,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for Austria," Journal of Policy Modelling, Vol.11, pp45-66, 1989. https://doi.org/10.1016/0161-8938(89)90024-0
  7. A. Rose and S. Casler,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A Critical Appraisal," Economic Systems Research, Vol.8, pp.33-62, 1996. https://doi.org/10.1080/09535319600000003
  8. K. H. Jacobsen, "Energy Demand, Structural Change and Trade: A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Danish Manufacturing Industry," Economic Systems research, Vol.12, pp.259-270, 2000.
  9. E. Dietzenbacher and B. Los,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es with Dependent Determinants," Economic Systems Reserach, Vol.12, pp.497-511, 2000. https://doi.org/10.1080/09535310020003793
  10. S. Shishido, M. Nabukuni, M. Kawamura, T. Akita, and S. Furukawa, "An International Comparision of Leontief Input-Output Coefficients and Its Application to Structural Growth Patterns," Economic Systems Research, Vol.12, pp.45-64, 2000. https://doi.org/10.1080/095353100111272
  11. K. Hitomi, Y. Okuyama, D. J. G. Hewings, and M. Sonis, "The Role of Interregional Trade in Generating Regional Economies of Japan, 1980-1990," Economic Systems Research, Vol.12, pp.515-537, 2000. https://doi.org/10.1080/09535310020003801
  12. S. Roy, T. das, and D. Chakaborty, "A Study on the Indian Information Sector: An Experiment with Input-Output Techniques," Economic Systems Research, Vol.14, pp.107-129, 2002. https://doi.org/10.1080/09535310220140924
  13. S. Kagawa and H. Imamura, "A Spatial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of Chinese and Japanese Energy Demand: 1980-1990," Economic Systems Research, Vol.16, pp.279-299, 2004. https://doi.org/10.1080/0953531042000239374
  14. E. Dietzenbacher and J. Stage, "Mixing Oil and Water? Using Hybrid Input-Output Tables in a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Economic Systems Research, Vol.18, pp.85-96, 2006. https://doi.org/10.1080/09535310500440803
  15. 유광훈,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관광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85-90-95 불변접속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관광학 연구, 제31권, pp.165-182, 2000.
  16. 박재민, 전주용, "투입산출 구조분해분석을 바탕으로 본 우리나라 정보통신산업의 고용구조변화," 응용경제, 제10권, 제1호, pp.5-25, 2008.
  17. 박재운, 원희연, 이대식,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해 본 한국 물류산업의 성장기여요인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25권, 제4호, pp.935-962, 2009.
  18. 원희연, 박재운,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해 본 자동차산업의 성장기여율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2호, pp.637-658, 2009.
  19. 허재정, 임혜진, "구조분해분석을 통한 도시가스 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에너지공학, 제21권, 제2호, pp.158-167, 2012. https://doi.org/10.5855/ENERGY.2012.21.2.158
  20. 김방룡, 홍제표, "우리나라 지식서비스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7권, 제2호, pp.635-657, 2014.
  21. 신상화, "접속불변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국경제의 성장요인 분석," 계간국민계정 제1호, 한국은행, 2009.
  22. 권택현, 하지원,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산출액과 고용변동요인 분해-확장된 Surquin 모형의 도출과 활용," 계간국민계정, 제2호, 한국은행, 2009.
  23. 안영수, "한일 항공기산업의 산업연관효과 분석 비교-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산업경제, 제8집, pp.173-187, 1988.
  24. 정영호, 이견직, "의약품산업의 산업연관분석-한국과 일본의 비교," 산업조직연구, 제9집, 제1호, pp.99-123, 2001.
  25. 허재용, 이진섭, 곽승준, "한국과 일본 제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자동차, 조선, 반도체를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제10권, 제3호, pp.1-28, 2008.
  26. 조광현, "유통산업의 한일 비교연구: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유통연구, 제16권, 제5호, pp.171-192, 2011.
  27. 윤갑식, "한국과 일본 서비스업의 구조와 산업연관효과 비교분석," 아시아연구, 제18권, 제3호, pp.105-124, 2015.
  28.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7.
  29. http://ecos.bok.or.kr/
  30. http://www.soumu.go.jp/english/dgpp_ss/data/io/index.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