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urrent and Development of the Korea Independent Short Animation

한국 독립 단편애니메이션의 현재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손국환 (동의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과)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Independent short animation was the expression method for young animation creators through creative and progressive representation. Since the birth of animation, independent short animation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qualitative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animation. This has brought many works to the world that emphasize experimentation and challenges in the history of animation and in countries that have the rich animation resources such as France, Japan, and Canada, they recognize its importance and supports young creators in order to maintain the value of it. However, Korean animations are evaluated the quality of works by the popularity of the children, moreover, companies that focus on developing and selling products, including toys, rather than animation works themselves and public awareness that accepts them are formed throughout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Because of these points, Korean animation creators can not express the creative vision for the future and philosophical awareness of the problem and they are trapped in commercial animation markets. In order to re-leap and expand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which has reached the saturation level with infant animation,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value of independent short animations with challenging and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and requires the creative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for the diversity of Korean animation industries, including the achieving commercial goals through good planning, story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production, screening, distribution, and government support of independent short animation in Korea, and explores the structural problems and solutions.

독립 단편애니메이션은 창의적이며 진보적인 표현을 중심으로 젊은 애니메이션 창작자들을 위한 표현 방식이었으며 애니메이션의 탄생이후 애니메이션의 질적인 발전과 다양화를 가져오는 원동력이 되어왔다. 이것은 애니메이션의 발전과정과 함께 하며 실험성과 도전성을 강조하는 많은 작품을 세상에 등장시켰고 프랑스, 일본, 캐나다 등 애니메이션 자원이 풍부한 나라에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치를 이어가기 위해 젊은 창작자들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어린이들로부터의 인기로 작품의 질을 평가받고 작품의 완성도 보다는 완구를 비롯한 제품개발과 판매에 주력하는 기업과 그것을 당연하게 수용하는 대중적 인식이 산업 전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런 점들로 인해 한국의 젊은 애니메이션 창작자들은 미래를 위한 창의적인 시각과 철학적인 문제의식을 표현하지 못하고 상업 애니메이션 시장의 한계에 갇혀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유아용 애니메이션으로 포화상태에 이른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재도약과 확장을 위해서는 좋은 기획과 스토리 개발, 기술혁신을 통한 상업적 목표달성과 더불어 도전적이고 실험적인 성격의 독립 단편애니메이션 대한 가치를 재정립하고 다양화를 중심으로 하는 창작환경과 지원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한국 독립 단편애니메이션의 제작 및 상영, 배급, 정부지원 등의 현황을 분석하고 구조적 문제점과 해결을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콘텐츠진흥원, 애니메이션백서 2016, 2016.
  2. 김재웅, 고민정, 한국단편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주제중심 통합교육 모형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제20호(2010), p.18.
  3. 김종옥, 1960 년대 한국단편애니메이션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제40호(2015), p.2.
  4. 염동철, 한국 단편 애니메이션의 시각 예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7권 제3호(2011), p.73.
  5. 염동철,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의 국제적 평가와 창작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제11호(2007), pp.123-134.
  6. 최영철, 최승락, 4 대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애니메이션영화제 발전방향,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제25호(2011), pp.185-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