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Operation Problems for the Emergency Medical Process Using Real-Time Data

실시간데이터를 활용한 응급의료 프로세스 운영에 관한 연구

  • Kim, Daebeom (Kangnam University, Industrial System Engineering)
  • Received : 2017.08.14
  • Accepted : 2017.09.27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Recently, interes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EMS(emergency medical services) has been increasing. Much effort is being made to innovate the EMS process. The rapid progress of ICT technology has accelerated the automation or intelligence of EMS processes. This study suggests an emergency room management method based on real-time data considering resource utilization optimization, minimization of human error and enhancement of predictability of medical care. Emergency room operation indices - Emergency care index, Short stay index, Human error inducing index, Waiting patience index - are developed. And emergency room operation rules based on these indices are presented. Simulation was performed on a virtual emergency roo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operating rule. Simulation results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in terms of length of stay.

최근 응급의료 서비스의 질 제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응급의료 프로세스의 혁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ICT기술의 급속적인 진전에 의해 응급의료 프로세스의 자동화 또는 지능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원 활용 최적화, 인적오류 최소화 그리고 진료 예측가능성 제고를 고려한 실시간데이터 기반 응급실 운영 방안을 제안한다. 응급실 운영지수-응급 케어지수, 체류 단축지수, 인적오류 유발지수, 대기 인내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응급실 운영규칙을 제시한다. 가상의 축소 응급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제안한 운영규칙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응급실 체류시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욱, 김재광, 임용수, 김진주, 현성열, 양혁준, 이근, 권지원, 조진성, 정호성 (2010), "인트라넷 기반의 자발적 의료오류 보고체계의 유용성", 대한응급의학회지, Vol. 21, No. 1, pp. 110-118.
  2. 김복자, 이은남, 강경희, 김성숙, 김순애, 성영희, 신덕신, 이광옥, 이희정 (2006),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 규명을 위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Vol. 12. No. 1, pp. 81-95.
  3. 김대범 (2016), "사물인터넷(IoT) 환경의 응급실에 있어서 진료테스크 선정 지원 알고리즘 개발",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 25, No. 2, pp. 51-61.
  4. 김용식 (2016), "병원의 프로세스 혁신", 병원경영학회지 혁신연구회, 특별호, pp. 61-73.
  5. 김정희, 안혜영, 엄미란, 이미영 (2010),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업무수행,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간호학회지, Vol. 19, No. 1, pp. 50-59.
  6. 김은주, 임지영 (2010), "응급실 환자의 응급의료센터 체류시간 단축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가정간호학회지, Vol. 17, No. 1, pp. 21-27.
  7. 김원희, 최혁중, 임태호, 강보승, 강형구 (2009), "응급실 협진의뢰의 자동화가 응급실 체류시간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Vol. 20, No. 2, pp. 155-162.
  8. 김혜옥, 서봉화, 남문희, 박은아 (2013), "간호 대학생의 응급실 관찰 경험",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2, pp. 589-598.
  9. 김현수, 김옥준, 최성욱, 김의중, 박영태, 고대이, 조윤경 (2010), "Six Sigma 활동을 통한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 개선 활동", 대한외상학회지, Vol. 23, No. 2, pp. 119-127.
  10. 김효선 (2016), "병원의 환자안전문화 개선 방향", 보건복지포럼, pp. 31-45.
  11. 네오젠소프트 neoPOCS (2013), "실시간처방관리 RFID 솔루션", http://www.neozensoft.com/mobile.html (Accessed July 29, 2017).
  12. 네이버캐스트 (2015. 04. 23.), "응급실 폭력을 줄이 는 디자인: 영국의 응급실 서비스 디자인 사례", Available at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9451&cid=58791&categoryId=58791 (Accessed July 26, 2017).
  13. 모창우, 최성훈 (2009), "응급진료센터 운영 개선을 위한 시뮬레이션", 한국시뮬레이션학회지, Vol. 18, No. 3, pp. 35-45.
  14. 보건복지부 (2015), 한국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기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5-243호.
  15. 박찬석, 고석하 (2011), "제약이론(TOC)을 이용한 종합병원 외래 환자 대기시간 개선에 대한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Vol. 16, No. 1, pp. 77-98.
  16. 심승배, 최재형, 김보성, 오지수, 김승호, 박유석, 박인철, 정태녕, 오경환, 정봉주, 이영훈 (2009),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고려한 응급실의 진료 프로세스패턴 분석",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1470-1477.
  17. 안기옥, 정진희, 어은경, 전영진, 정구영 (2007), "응급실내 의료오류 보고체계의 시범적 운영", 대한응급의학회지, Vol. 18, No. 3, pp. 218-226.
  18. 이수현, 정인성, 김재권, 박지송, 김시라, 강운구, 이영호 (2008), "응급실내 신속 대응을 위한 BPM 기반의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16, No. 2, pp. 107-111.
  19. 이승현, 배혜림, 원형준, 김훈태, 강석호 (2004), "제약이론을 활용한 업무프로세스의 효율적 실행 방법",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 10, No. 1, pp. 61-80.
  20. 임호근 (2016.3.3), 2015년 응급의료기관 평가결과, 보도자료,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
  21. 주경연 (2016), 응급실 경력간호사의 직관 경험,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22. 최성인, 성미혜 (2014),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지 정체성,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한국산업간호학회지, Vol. 15, No. 6, pp. 3725-3733.
  23. 최종수, 김동호, 김재준, 이풍렬, 김동수 (2014), 능동형 RFID 기술을 활용한 프로세스 혁신 및 스마트건강검진 시스템 구축,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Vol. 11. No. 1, pp. 45-52.
  24. 한승주, 김혜정, 서한영, 백자연, 김소연, 김민영 (2010), "응급의료센터 내원환자의 중증도와 체류시간에 관한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Vol. 14, pp. 63-68.
  25. 한재현, 이견직, 안무업, 이태헌 (2011), "린 6시그마와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병원 응급실 프로세스 개선",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1 No. 4, pp. 454-477. https://doi.org/10.15709/hswr.2011.31.4.454
  26. 홍승권 (2011), "서비스 분야에서 인간공학과 인적오류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Vol. 30, No. 1, pp. 169-177.
  27. Alexamder Schatten, Josef Schiefer (2007), "Agile Business Process Management with Sense and Respond",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 Business Engineering.
  28. D. Jack Elzinga, Tomas Horak, Chung-Yee, and Charles Bruner (1995),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urvey and methodology", IEEE Transcactions Engirneering Management. Vol. 42 NO. 2.
  29. DesignCouncil Corporation (2014), "A&E Design Challenge: Reducing violence & aggression", Available at http://www.designcouncil.org.uk/what-we-do/aedesign-challenge (Accessed July 26, 2017).
  30. Ferrin, D. M., McBroom D. L., Miller, M. J. (2007). Maximizing HospitalFinanacial Impact and Emergency Department Throughput with Simulation. Proceedings of the 2007 Winter Simulation Conference, pp. 1566-1573.
  31. Hyerim Bae, Sanghyup Lee, Ilkyung Moon (2014). "Planning of business process execution in BPM environments",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26-335.
  32. M. Thomas, R. Morton and K. Mackway-Jones (2004). "Identifying and comparing risks in emergency medicine", Emergency Medicine Journal, Vol. 21, pp. 469-472.
  33. Park, E. H., Park, J., Ntuen, C., Kim, D., and Johnson, K. (2008), "Forecast Driven Simulation Model for Service Quality Improvement of the Emergency Department in the Moses H. Cone Memorial Hospital", The Asian Journal on Quality, Vol. 9, No. 3, pp. 1-14. https://doi.org/10.1108/15982688200800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