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Website Encounter Analysis for Improving Healthcare Service Design -Focusing on Private Hospital Website in Busan-

의료서비스디자인 개선전략을 위한 웹사이트 접점 분석에 관한 연구 -부산시에 소재한 개인병원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 황미경 (경성대학교 디자인학부) ;
  • 권만우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7.06.08
  • Accepted : 2017.08.30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Although the medicine is developed to support the quality of treatment, if we do not increase the quality of health care for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does not rise any mo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hospital slows down since the visitor to the hospital is reduced. It is medical reason that the focus of the medical information moves from doctors to customers. This study analyzed websites, the private hospital located in Busan. The websites provide contact information; web-based information from health services is increasing.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cross analysis using available variables on websites by using the SPSS 21.0 for Version. Departments were also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health services by the external contact elements and contact elements designed to study the problem in analyzing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This means the contact is different by depart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o better consider the Departments website when making specific characteristics we expect the increase of health care quality and patient satisfaction.

의학이 발달하여 치료의 질이 높아지더라도 고객만족을 위한 의료서비스의 질이 높아지지 않으면, 더 이상 고객의 만족도가 올라가지 않는다. 이는 병원의 재이용 또한 감소하여 경쟁력이 둔화된다. 의료정보화의 초점이 의료진에서 고객에게 옮겨간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중 정보 접점인 웹기반 정보제공이 증가하고 있는 부산에 소재한 개인병원 웹사이트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웹상에서 분석가능한 변인들로 SPSS for 21.0 Version을 사용하여 교차분석(cros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로 연구문제로 제시된 의료서비스 외적 접점요소와 디자인 접점요소에 따라 진료과목별로 유의미함을 보였다. 이는 진료과목별 접점이 다르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결과가 웹사이트 제작 시 진료과목별 특성을 잘 고려하여 의료서비스 질과 경쟁력을 높여 환자의 경험 만족도를 높이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6.
  2. 이선희, 조우현, 채유미, "의료소비자들의 의료기간 종별 정보탐색 형태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회, 제8권, 제1호, pp.95-111, 2003.
  3. A. G. Woodside, L. L. Frey, and R. T. Daly, "Linki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Bet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Vol.9, No.4, pp.5-17, 1989.
  4. Carl F. Suprenant and Michnel R. Soloman, "Predictabilith and Personalization in the Service Encounter," Journal of Marketing, Vol.51, pp.86-96, 1987. https://doi.org/10.2307/1251131
  5. 박주희, 의료서비스의 구매평가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6. 김후정, "인터넷 건강정보 소비자의 정보선택 기준 및 정보이용 형태 조사," 대한의료정보학회지, 제10권, 제1호, pp.55-68, 2004.
  7. 김소연, 의료소비자의 건강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른 온라인 정보탐색에 관한연구: 20-30대 성인 남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 박노현, "유동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 탐색 특성에 관한 연구-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호텔경영학회, 제4권, 제2호, pp.145-165, 1996.
  9. 최민아, 웹스타일 가이드 적용이 웹사이트 사용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0. 조우현, 이선희, 이해종, 전기홍, 의료서비스마케팅, 퇴설당, 1999.
  11. 김민호, 박창식, 서종범, "의료서비스에서 고객지향요인이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료경영연구, 제2권, 제1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