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 Evaluation of the Large-scale Research Facility by Period: Focusing on PSL-II Accelerator

대형연구시설 정책의 시기별 평가: 3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10.17
  • Accepted : 2017.11.29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PSL-II Accelerator is a large-scale research facility located in Pohang, which was established in 1988 and operated since 1995. It is a program to be promoted to contribute to basic science research in Korea by applying it to cutting-edge research in the field of basic and applied science. It is estimated that around KRW 787.9 billion was invested for construction and operation in the near-30-year period until 2016.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evaluations of the need,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accelerator in relation to the accelerator policy, most of them emphasize the successful outcome of the present time and suggest the government's need for sustained support in the future or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olicy in a comprehensive manner. And there was no systematic analysis of the results on a comprehensive review or the various policy evaluations of the accelerator policy. In this study, three stages of PSL-II accelerator program were evaluated, and five main criteria of policy activity wer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principles of policy activity which is essential i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imilar large-scale research facilities in addition to PSL-II accelerator.

3세대 방사광가속기는 기초 및 응용과학분야의 최첨단연구에 활용하여 우리나라 기초과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그 구축 및 운영을 위해 2016년까지 30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총 7,879억 원 가량이 투입된 거대연구시설이다. 3세대 방사광가속기 정책과 관련하여 가속기의 필요성이나 효과성에 대해 다양한 평가가 있어 왔지만 대체로 현재 시점의 성공적 결과를 강조하며 향후 정부의 지속적 지원 필요성을 피력하거나 정책적 개선방안을 포괄적인 차원에서 제시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며, 이 사업이 시기별로 어떠한 정책적 평가를 받았는지 살펴보고 그 결과가 어디에서 기인하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3세대 방사광가속기 사업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평가하되, 분석기준으로 정책활동의 다섯 가지 기준을 고려하였다. 장기간 진행되는 대형연구시설 정책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방사광가속기 및 유사 대형연구시설의 구축과 운영에 있어서 요구되는 정책활동의 원리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경 외 (2012), "방사광가속기 소개", 대한전기학회지: 전기의 세계, 61-10, pp. 11-16.
  2. 노도영 (2013), 국가 가속기 운영현황 및 효율화 방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내부자료.
  3. 미래창조과학부 (2015), 2014 국가대형연구시설 실태조사 보고서.
  4. 미래창조과학부 (2016a), 201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보고서.
  5. 박형준 외 (2011), 방사광가속기의 관리 및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11.
  6. 윤수진.신애리.문관식 (2017), "대형가속기 현황분석 및 실증연구를 통한 핵심이슈 발굴", 황지호 편, 미래사회 대응 기술혁신 아젠다 발굴 및 R&D 투자전략 수립,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보고 2017-53, 별권 8.
  7. 정정길 (2003), 행정학의 새로운 이해, 대명출판사.
  8. 조만형.박종우.이형진 (2014), "국가 연구시설장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법제화 방안", 과학기술법연구, 20-1, pp. 497-530.
  9. 조현대 외 (2013), 국가대형연구시설의 체계적 구축 및 관리효율화를 위한 실태분석 및 정책제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조사연구 2013-04.
  10. 포항가속기연구소 (2013), 빛으로 인류의 미래를 쏘다, 포항가속기연구소 25년사 1988-2013. (2) 국내 기타 자료 (정부계획, 홈페이지 등)
  11.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7), 대형가속기 운영체제 개선방안: 포항 방사광가속기 중심,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2017. 2. 28.
  12. 미래창조과학부 (2014), 미래창조과학부 2015년도 예산요구서.
  13. 미래창조과학부 (2016b), 미래창조과학부 2017년도 예산요구서.
  14. 미래창조과학부 (2017), 미래창조과학부 2018년도 예산요구서.
  15. 포항가속기연구소 홈페이지, http://pal.postech.ac.kr/
  1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2010), 2010학년도 제1회 이사회 회의록, 2010. 4. 15.
  17. 한국방사광이용자협회 홈페이지, http://kosua.postech.ac.kr/
  18.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ndsl.kr/
  19. Bovens, M., P. t'Hart, and B.G. Peters (eds.) (2001), Success and Failure in Public Governance: A Comparative Analysis, Cheltenham, Edward Elgar.
  20. Nakamura, Robert and Frank Smallwood (1980), The Politics of Policy Implementation, New York, St. Martin's Press.
  21. Ingram H.M., and D.E. Mann (eds.) (1980), Why Policies Succeed of Fail, Beverly Hills, CA, Sage.
  22. Kerr D.H. (1976), "The Logic of "Policy" and Successful Policies", Policy Sciences, Vol. 7, No. 3, pp. 351-363. https://doi.org/10.1007/BF00137628
  23. Marsh, D., & McConnell, A. (2010), "Towards a Framework for Establishing Policy Success", Public Administration, Vol. 88, No. 2, pp. 564-583. https://doi.org/10.1111/j.1467-9299.2009.01803.x
  24. McConnell, A. (2010), "Policy Success, Policy Failure And grey Areas In-between", Journal of Public Policy, Vol. 30, No. 3, pp. 345-362. https://doi.org/10.1017/S0143814X10000152
  25. Nagel S. (1980), "Series editor's Introduction", in H.M. Ingram and D.E. Mann (eds.), Why Policies Succeed of Fail, Beverly Hills, CA, Sage, pp. 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