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interpretation and its Prospect about Resentment Solution and Coexistenc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해원상생의 재해석과 지평

  • Received : 2017.10.14
  • Accepted : 2017.10.30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role and function of religion prior to the full-out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can understand 'The vision of Daesoon Jinrihoe (大巡眞理會)' as a mission to foresee and create a prospective figure for a future society in the person of the Lord on High, Jeungsan (甑山) as a religious dimension. However, the existence ground of religion relies on giving positive meaning to the present time after reinterpreting religious doctrine to reflect changing realities. Jeungsan (甑山) said that the age to come is 'the age of the human majesty (人尊)'. This means that humans will take the lead and control the revolution of scientific technology to progress and benefit humanity. Problems such as 'human alienatio', 'increased polarization', and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still arise and deepen because the motiv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was built upon 'knowledge' within the context of a Knowledge-Based Society.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role of religion will newly rise to the forefro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sequently, religion should face matters squarely and suggest viable alternatives. This paper deals with reinterpreting the concept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解冤相生)', one of the four teachings of Daesoon Jinrihoe, within the context of the coming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y research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parts: First, I determined the teachings of Daesoon Jinrihoe a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then I disclosed the way we can reinterpret the general meaning of this concept for application in the ea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ligious dimension, I inquired into factors regarding alienation and conflic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 focused on human alienation from labor, identity confusion, potential conflicts between humans and post-huma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rd, I examined potential cures for alienation and conflict through the principle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 tried to enlarge the interpretive prospects of Daesoon's main teaching in light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that employs the concept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解冤相生)' in order to cure the alienation and conflict.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본격적인 도래를 앞두고 종교는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대순진리회의 미래관'이란 종교 신앙적 차원에서 증산 상제의 천지공사에 의하여 도래할 미래사회의 모습을 예견하고 전망하는 사명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교의 존립근거는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새롭게 교리를 재해석하여 시대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부여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증산은 앞으로 도래하는 시대는 '인존(人尊)시대'라고 밝혀주었다. 이는 기술 과학의 혁명을 인간이 주도하고 인간이 통어하며 인간을 위해 진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산업혁명'의 핵심은 '지식'을 기반으로 삼기 때문에 지금까지 '지식기반사회'에서 발생하였던 '인간소외'와 '양극화 심화' 및 '환경파괴' 등의 문제는 여전히 발생할 수 있고 그 정도가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진입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직시하고 그 대안을 제안해줄 종교적 역할이 새롭게 대두된다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순진리회의 4대 종지 가운데 하나인 '해원상생'의 이념이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시기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재해석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으며, 크게 세 가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대순진리회의 종지와 그 가운데 해원상생의 본래적 의미가 무엇인가를 밝히고, 이를 새로운 4차 산업혁명시대를 염두에 두고 그 보편적인 의미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밝혔다. 둘째, 종교학적 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소외와 갈등 요소를 규명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특징과 더불어 노동에서의 인간소외, 인간의 정체성 혼란, 인간 대 포스트휴먼의 갈등 등을 다루었다. 셋째, 해원상생의 원리를 통한 소외와 갈등의 치유 방법에 대하여 다루었다. 두 번째 작업을 통하여 드러난 소외와 갈등을 치유하기 위한 해원상생의 이념의 새로운 해석과 적용을 통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순종학의 해석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대순진리회출판부, 1982.
  2. 『대순지침』,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3. 『대순진리회요람』, 대순진리회 교무부, 2003.
  4. 고남식, 「성(誠)과 인간의 가치창조」, 『대순사상논총』 9, 2000.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0.9..008
  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연구센터, 『미래는 더 나아질 것인가: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 그리고 인간의 미래』, 서울: 알에이치코리아, 2016.
  6. 김기봉, 「빅데이터의 도전과 인문학의 응전」, 『시민인문학』 30, 2016.
  7. 김기표, 「4차 산업혁명과 학교교육」, 『평화학논총』 6-2, 2016.
  8. 김동환, 「AI(인공지능)에 대한 신학적 담론의 형성 및 방향 모색」, 『신학연구』 53-1, 2016. http://uci.or.kr/G704-SER000014184.2016.53.1.008
  9. 김방룡, 「해원상생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10. 김분선,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지위에 대한 고찰」, 『환경철학』 23, 2017.
  11. 김학용.이상헌.장재진. 편집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시대와 불교-불교인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불교문화』 189, 2016.
  12. 김효은, 「인공지능 시대의 인식론과 과학철학: 『뇌처럼 현명하게: 신경철학연구』」, 『과학철학』 19-2, 2016. http://uci.or.kr/G704-001239.2016.19.2.001
  13. 라파엘 카푸로. 미카엘 나겐보르그, 『로봇윤리: 로봇의 윤리적 문제들』, 변순용. 송선영 옮김, 서울: 어문학사, 2013.
  14. 리처드 서스킨드. 대니얼 서스킨드, 『4차 산업혁명 시대 전문직의 미래』, 위대선 옮김, 서울: 와이즈베리, 2016.
  15. 롤랜드 버거, 『4차 산업혁명: 이미 와 있는 미래』, 김정희. 조원영 옮김, 파주: 다산북스, 2017.
  16. 미래전략정책연구원 지음, 『10년 후 4차 산업혁명의 미래 = 2027 4th industrial revolution : 전 세계를 뒤흔드는 위기와 기회』, 고양: 일상이상, 2017.
  17. 변순용. 송선영, 『로봇윤리란 무엇인가?』, 서울: 어문학사, 2015.
  18. 변순용. 신현우. 정진규. 김형주,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 『윤리연구』 112, 2017. http://doi.org/10.15801/je.1.112.201703.295
  19. 보 일, 「인공지능로봇의 불성연구-인간과 기계의 연기성을 중심으로」, 『해인』 321, 2008.
  20. 블레이 휘트비, 『인공지능: 지성을 향한 도전』, 변경옥 옮김, 서울: 유토피아, 2007.
  21. 森政弘, 『로봇에게 배우는 불교』, 전전룡 옮김, 서울: 경서원, 2001.
  22. 손화철, 「제4차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거버넌스」, 『철학과 현실』 112, 2017.
  23. 송재찬, 「4차 산업혁명 시대, 가족의 의미」, 『아동문학평론』 41-3, 2016.
  24. 안종운, 「진인이 되기 위한 기본 덕 성론」, 『대순사상논총』 9, 2000.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0.9..003
  25. 안종운, 「인격 무한 내실확충화 덕 경의 연구」, 『대순사상논총』 10, 2000.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0.10..020
  26. 안종운, 「도덕 윤리적 신과 종교적 신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11, 2001.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1.11..002
  27. 양무목, 「성의 본질과 성사상의 실천적 구현」, 『대순사상논총』 9, 2000.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0.9..005
  28. 양선진, 「양명학을 통해 본 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 『양명학』 45권, 2016. http://doi.org/10.17088/tksyms.2016.00.45.015
  29. 유권종. 박충식, 「인공지능 시뮬레이션을 위한 조선 성리학 통합심성모델의 구성과 서구 심리모델과의 비교」, 『Journal of Korean studies』 3, Central Asian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2002.
  30. 유권종. 박충식. 장숙필,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조선 성리학의 예교육 심성모델 개발(2)」, 『동양철학연구』 39, 2004. http://uci.or.kr/G704-001233.2004.39..001
  31. 윤사순,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 한국철학의 주요과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과 교육』, 한국동서철학회 청운대 남당학연구소 춘계학술대회, 2017.
  32. 이경원, 「해원상생의 의미와 천지공사」,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14
  33. 이경원, 『한국 신종교와 대순사상』, 서울: 문사철, 2011.
  34. 이경원, 『대순진리회 교리론』, 서울: 문사철, 2013.
  35. 이상욱, 「인공지능의 한계와 일반화된 지능의 가능성: 포스트 휴머니즘적 맥락」, 『과학철학』 12-1, 2009. http://uci.or.kr/G704-001239.2009.12.1.002
  36. 이상형, 「윤리적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책임 문제」, 『법과 정책연구』 16-4, 2016. http://uci.or.kr/G704-001579.2016.16.4.009
  37. 이종관, 「포스트 휴먼을 향한 인간의 미래?」, 『Future Horizon』 26, 2015.
  38. 이종호, 「붓다의 가르침으로 바라본 인공지능과 우리의 삶」, 『불교문화』 182, 2015.
  39. 이종호, 『4차 산업혁명과 미래직업』, 서울: 북카라반, 2017.
  40. 이주호,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철학과 현실』 112, 2017.
  41. 이창익, 「인간이 된 기계와 기계가 된 신: 종교, 인공지능, 포스트휴머니즘」, 『종교문화비평』 31, 2017. http://uci.or.kr/G704-SER000003135.2017.31.31.002
  42. 이초식, 「인공지능의 철학」, 『지성의 현장』 5, 1995.
  43. 정대진, 「대순진리회와 대순종지」 ,』대순진리학술논총』 1, 2007.
  44. 정승석, 「인도의 가상현실과 종교적 전통」, 『종교연구』 22, 2001.
  45. 제프 콜빈, 『인간은 과소평가 되었다: 로봇과 인공지능의 시대, 영속 가능한 인간의 영역은 무엇인가』, 신동숙 옮김, 서울: 한스미디어, 2016.
  46. 지승도, 『인공지능 붓다를 꿈꾸다: 인공지능은 인류에게 축복인가, 재앙인가?』, 서울: 운주사, 2015.
  47. 차수봉, 「인공지능과 구별되는 "인간"의 규범적 분석-헌법상의 절대가치 "존엄" 규범의 해석론과 존엄보호를 위한 선행적 보장체계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7-3, 2016. http://doi.org/10.22143/HSS21.7.3.44
  48. 최동희. 이경원, 『대순진리의 신앙과 목적』,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2000.
  49. 최연구, 『4차 산업혁명시대 문화경제의 힘』, 서울: 중앙경제평론사, 2017.
  50.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송경진 옮김, 서울: 새로운현재, 2017.
  51. 타일러 코웬, 『4차 산업혁명 강력한 인간의 시대: 누가 기계와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것인가?』, 신승미 옮김, 서울: 마일스톤, 2017.
  52. 하원규. 최남희,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콘텐츠하다, 2015.
  53. 한동숭, 「4차 산업 혁명 시대, 대학 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 42, 2016. http://doi.org/10.18658/humancon.2016.09.42.9
  54. 황경식 외, 『고도 과학기술사회의 철학적 전망』, 서울: 민음사, 2005.
  55.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오래된 미래』, 양희승 옮김, 서울: 중앙북스, 2007.
  56. 김창환, 「4차산업혁명, 인류미래를 말하다」, 《주간동아》1025, 2016. 2. 17.
  57. 「미래신호 탐지 기법으로 본 인공지능 윤리 이슈」, NIA 한국정보화진흥원 보도자료, 2017. 3. 15.
  58. Monto, Geethanjali; Malhotra, Richa, "Science, technology and humanities: a tryst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Current Science 98(12), 2010.
  59. Carter, Nathan T.; Lowery, Megan R.; Siedor, Lane E., "Digital Humanities and the Psychology of Work", The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ist 54(3), 2017.
  60. Mattison, David, "The Digital Humanities Revolution", Searcher 14(5), 2006.
  61. Maxwell, Nicholas, "A Revolution for Science and the Humanities: From Knowledge to Wisdom", Dialogue & Universalism 15(1/2),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