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the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with DSC by the Case Studies

사례연구를 통한 DSC에 의한 BIPV 가능성 분석 연구

  • 이응직 (세명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7.07.10
  • Accepted : 2017.08.18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various colors and transparency of DSC and operability unrelated with directions greatly expand the use of BIPV, as a multi-functional composite of module.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DSC BIPV is examined by the case study and the analysis and then its applicability is examined. Most of the DSC BIPVs, which are found through a total of six case studies and analyzes in Korea and abroad, are mainly implemented with window glass and shading devices. This is related to the DSC transparency property. Improvements are due to the irritation of the eye due to the color of the red modu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e color of the BIPV window depending on the use of the building and the room. Meanwhile, some colors of application model may stimulate eyes and such colors should be considered by use of buildings and rooms in the application of BIPV window. DSC BIPV has prospective diffusibility with the development of flexible module for the application of building surface.

건물에너지 자립과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BIPV 역할이 증대되는 가운데 기존 결정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DSC의 적용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DSC의 다양한 색상과 투명성 그리고 방향에 무관한 작동성은 모듈의 다기능 복합재로서 BIPV폭을 크게 확장시킨다. 이에 사례조사 분석을 통해 DSC BIPV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그 활용성을 조망한다. 국 내외 각 3건씩의 사례 조사 분석을 통해 나타난 대부분의 DSC BIPV는 주로 창호와 차양 장치로 구현되고 있고 이는 DSC의 특성과 무관치 않다. 즉, 다양한 색상과 투명성의 모듈은 건물 외피디자인과 에너지 획득에 커다란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으로는 적용모듈의 색상으로 인한 눈의 자극성이 존재하여 BIPV 창호적용에는 건물 및 실의 용도에 따른 색감 고려가 필수적이고 건물외피 적용을 위한 유연한 모듈개발의 경우 DSC BIPV는 상당히 기대되는 확산성을 가질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응직, [특집] "녹색건축을 위한 BIPV 소고(小稿)", 대한건축학회지, 제 55권 제 10호, 2011
  2. 안성우, "페로센 전자주개를 지닌 광감응제 기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 신백균, 유기박막 태양전지의 현재와 미래, 조명전기학회지, 제 27권 제 6호, 2013
  4. 정훈, 국내외 태양광기술개발 및 시장동향, 한국진공학회, 제3권 제2호, 2016
  5. 엄재용 외,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진공유리가 부착된 BIPV Module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34 n.2, 2014
  6. 조한, 건물 통합형 태양광 시스템의 건축 디자인적용 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2 n.8, 2006
  7. 심세라 외, 냉.난방 및 조명에너지를 통합 고려한 DSSC BIPV창호의 사무소건물 적용 효과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31 n.3, 2011
  8. 정우람 외, 빛환경 및 건물에너지성능을 통합 고려한 사무소건물용 DSSC BIPV창호 적정 투과율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6 n.3, 2012
  9. 김효중 외, DSSC(Dye-Sensitized Solar Cell) 건축창호의 채광성능 및 선호색 분석을 통한 적정 적용범위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8 n.06, 2012
  10. 강만구, 연료감응 태양전지 기술동향, 전기전자재료지, 제 28권 제 11호, 2015
  11. 산업표준심의회,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BIPV)-성능평가 요구사항, KS C 8577, 2016
  12. Graezel. M., Solar Energy Conversion by Dye-Sensitized Photovoltaic Cells, Inorg. 2005
  13. Thomas, S.; Deepak, T. G.; Anjusree, G. S.; Arun, T. A.; Nair, S. V.; Nair, A. S., A Review on Counter Electrode Material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J. Mater. Chem. A, 2014
  14. https://en.paperblog.com/current
  15. https://www.flicker.com
  16. https://www.dbz.de/artikel
  17. https://juanbisquert.wordpross.com
  18. https://www.glaswelt.de/GLASWELT-2016-11
  19. https://www.gat.st/news/smartness-progress
  20. https://www.kristiansand.kommune.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