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기능 복합재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Radiation Shielding for Grid-stiffened Multi-Functional Composite Structures (격자-강화된 다기능 복합재 구조체의 방사차폐에 관한 연구)

  • Jang, Tae Seong;Rhee, Juhun;Seo, Hyun-Suk;Hyun, Bum-Seok;Kim, Taig Young;Seo, Jung 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2 no.8
    • /
    • pp.629-639
    • /
    • 2014
  • This paper deals with an alternative multi-functional structures by using grid-stiffened composite structure with excellent bending stiffness and lightweight characteristics which is capable of easy embedding of electrical/electronic circuitry into structure. The enhancement of thermal conduction capability is made by the application of pitch-based carbon fiber. The lightweight radiation spot shielding technique is also proposed for multi-functional structures without conventional housing and the effectiveness of selective radiation shielding is validated through the proton irradiation test.

Study on the Thermal Radiation Performance of the Multi-functional Structure Made of the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탄소섬유 복합재를 이용한 위성용 다기능 구조체의 방열성능 분석)

  • Kim, Taig-Young;Hyun, Bum-Seok;Seo, Young-Bae;Jang, Tae-Seong;Seo, Hyun-Suk;Lee, Jang-Joon;Kim, Won-Seock;Rhee, Ju-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0 no.2
    • /
    • pp.157-164
    • /
    • 2012
  • The design strategy of the multi-functional structure is that the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circuits are directly put on their supporting structural panel in which the radiation shields and the thermal control functions are integrated. Applying the multi-functional structure reduces the total mass and size of the space system and makes it possible to lower launch cost. In present study the performance of thermal radiation for six types of multi-functional structure are investigated by the numerical method. The effect of the rib configuration on heat transfer for the multi-functional-structure is not important alone but is meaningful considering with the structural stiffness, difficulty of manufacturing and mass increase. In heat spreading point of view, the thickness of the outer conductive layer is important rather than the rib configuration and the trade-off study with the mass and thickness is required for optimum design.

Development of Simulation Tool for Ship Self Defense Scenario Using Naval Multi Function Radar (함정용 다기능 레이다를 이용한 자함 방어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도구 개발)

  • Park, Myung-Hoon;Kim, Chang-Hwan;Kim, Hyun-Seung;Go, Jin-Yong;Jeon, Woo-Joong;Kwon, Se-Woong;Lee, Ki-Won;Kang, Yeon-Duk;Yoo, Seung-Ki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0 no.2
    • /
    • pp.87-96
    • /
    • 2020
  • The multi function radar is searching target and tracking through resource management at the same time. Increasing resource allotment of track, if more targets and faster the renewal rate of track, lead to decreasing quota of searching resource in limited resource. When the resource of search are decreased, it becomes degrade searching performance such as revisit time, number of detecting chance and tracking etc. Degraded performance of search reduces guided missile defense probability in complex strategy such as ship self defense.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odeling and simulation (M&S) tool that uses own-ship model, radar model, target model and defense model for analysis of self defense in complex strategy. We analyzed influence of ship self defense in complex strategy according to various target environments and track performance.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the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with DSC by the Case Studies (사례연구를 통한 DSC에 의한 BIPV 가능성 분석 연구)

  • Lee, Eung-Jik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6 no.2
    • /
    • pp.54-63
    • /
    • 2017
  • The various colors and transparency of DSC and operability unrelated with directions greatly expand the use of BIPV, as a multi-functional composite of module.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DSC BIPV is examined by the case study and the analysis and then its applicability is examined. Most of the DSC BIPVs, which are found through a total of six case studies and analyzes in Korea and abroad, are mainly implemented with window glass and shading devices. This is related to the DSC transparency property. Improvements are due to the irritation of the eye due to the color of the red modu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e color of the BIPV window depending on the use of the building and the room. Meanwhile, some colors of application model may stimulate eyes and such colors should be considered by use of buildings and rooms in the application of BIPV window. DSC BIPV has prospective diffusibility with the development of flexible module for the application of building surface.

다상 나노 복합 구조를 가지는 Cu계 벌크 비정질 합금에서 불균일성 제어에 의한 특성 조절

  • Kim, Jin-U;Park, Eu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502-502
    • /
    • 2011
  • 기존 연구에서는 단일 타겟으로부터 증착된 코팅층 내에 다상으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나노 합금분말을 방전플라즈마 소결법 등으로 급속 소결하여 타겟을 제조하는 방법이 고려되어 왔다. 반면, 비정질 재료가 우수한 비정질 형성능을 가지는 경우 주조 방법에 의해서도 타겟 제조가 가능하며, 특히 최근 들어 금속 비정질 합금에서 합금의 주요 구성 원소들이 양의 혼합열을 가지는 경우, 액상 또는 과냉각 액상에서 상분리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면, 우수한 비정질 형성능을 가지는 합금 시스템에 합금 구성 원소와 양의 혼합열 관계를 갖는 원소를 첨가함으로써, 비정질 기지 내에 화학적 불균일성을 유도하여 다상으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를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합금 설계법을 이용하여, 비정질 기지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불균일성 정도를 합금 조성과 주조 조건의 변화를 통하여 나노 크기에서 원자 크기까지 조절하고, 이에 따른 재료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수한 비정질 형성능을 가지는 Cu-(Zr, Hf)-Al 벌크 비정질 합금계에서 (Zr, Hf)과 (Y, Gd)간의 양의 혼합열 관계에 주목하여 Cu-(Zr, Hf)-(Y, Gd)-Al 벌크 비정질 형성 합금계를 설계하였으며, 이 합금계 내에서 조성과 냉각속도의 조절에 따라 나타나는 불균일성의 정도와 특성변화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로서, Cu-(Zr, Hf)-Al 합금계에서 (Zr, Hf)을 (Y, Gd)으로 15 at.% 이상 치환한 경우, Cu-(Zr, Hf)-rich 와 Cu-(Y, Gd)-rich 비정질상으로 이상분리가 일어났으며, 이렇게 생성된 비정질-비정질 복합재는 응력 하에서 소성 변형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반면, 5 at.% 이하로 (Zr, Hf)을 (Y, Gd)으로 치환한 경우에는 비정질 기지에 SAXS 혹은 WAXS로 확인 가능한 원자 크기의 불균일성이 나타났으며, 이 경우 비정질 합금의 점성 유동의 변화를 통해 합금의 연신 특성이 향상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기지내 불균일 제어를 통한 기계적 특성 향상을 위해서 조성 제어뿐 아니라 동역학적인 요소를 고려한 냉각속도 조절을 통한 원자단위 불균일성의 최적화가 필요함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분말화 및 소결 과정을 배제하고 제조된 단일 타겟을 통해 코팅층에 다수의 합금원소를 혼합하고 나노/원자 스케일의 복합구조 형성 및 고집적화가 가능한, 타겟 모물질 설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다기능성 복합소재 코팅층의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차세대 나노 박막 다원계 모물질 설계, 합성 기술

  • Mun, Gyeong-Il;Sin,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21-121
    • /
    • 2012
  • 산업이 고도화, 다원화, 세계화되고 있는 현대사회는 다기능성, 고물성, 극한 내구성을 가지며 환경 친화적이면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기능 소재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다양한 물성을 동시에 발현이 가능한 코팅 소재는 향후 미래에 중요한 원천 소재로서 주목되고 있다. 특히, 환경에 의해 쉽게 물성 및 구조의 변화가 쉬운 종래의 코팅소재와는 달리, 다양한 외부환경에서도 미세 구조 및 물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코팅 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코팅소재의 다 성분화가 필수적이다. 최근의 코팅 기술은 2가지 이상의 물성, 특히 서로 상반되는 물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물성의 구현을 위하여 더 많은 성분으로 구성되며 더욱 복잡한 조직으로 구성된 코팅층에 대한 개발이 진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신 개념의 원천소재기술은 4성분계 이상의 원료 물질을 단일 타겟으로 제조하여, 단순한 공정으로서 단일 코팅층 내에 다양한 성분과 10 nm 미만 크기의 나노 결정립/나노 비정질로 구성된 나노 복합 구조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복합기능 3 이상의 다기능성 부여는 물론, 그림 1에 정리된 기존 코팅재에서 결여된 특성을 포함한 극한 기능성(광대역 윤활성, 전자 이동 제어에 의한 온도 저항 계수 및 전기 저항 조절, 고온 열적 안정성, 내산화성, 고열전도율, 초저마찰/내구성/초고경도성 등)의 구현이 가능한 복잡한 형태의 나노 복합 코팅층 소재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한 기존 코팅재의 구조적 결함을 통해 발생하는 내식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다성분계 모물질의 개발이 중요한 이유는 다수의 성분 원소를 합금 상태로 형성시킴으로서, 단일 소스에 의해 다양한 원소를 동시에 스퍼터링 및 증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특히, 타겟의 미세구조를 나노구조화 하는것을 통해, 스퍼터링 yield의 차이가 큰 원소일지라도 균일하게 증착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한다. 또한 다수의 타겟을 이용하여 균일한 다성분 코팅층 형성하는 기존의 PVD 코팅방법으로는 다수의 성분타겟을 사용함으로서 장비의 복잡성, 코팅의 재현성, 대형화 등의 문제점을 본질적으로 갖고 있다. 이를 위한 해결방법으로 본 발표에서는 3가지 이상의 다기능성 구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원천기술이라 할 수 있는 다성분계 타겟 모물질 제조 기술의 개발 진행 사항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Impact and Bending Characteristics of Dual Band Composite Antennas (복합 구조 이중대역 안테나의 충격 및 굽힘 특성)

  • Shin, Dong-Sik;Kim, Jin-Yul;Park, Wee-Sang;Hwang, Woon-Bo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2
    • /
    • pp.35-40
    • /
    • 2011
  • We have studied the impact and bending characteristics of a dual band antenna (1.575, 2.645 GHz) with composite sandwich construction. Mechanical performance of the antenna can be improved by reinforcing the antenna by sandwiching the planar antenna with layers of 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CFRP) and glass fiber-reinforced plastic(GFRP) using an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ASTM D7137, ASTM C393 and MIL-STD401B, impact and bending test were performed and the S-parameters and gains of the antenna were measured in order to verify electrical and mechanical performance. The maximum contact load and the bending load of the antenna are 4 kN and 400 N and gains of the antenna are 6 dBi and 4.6 dBi in the GPS and DMB bands, respectively. The proposed antenna structure can be applied to surfaces of vehicles.

Effect of the Curing Behavior on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ultifunctional Structural Electrolyte (경화 거동에 따른 다기능 구조 전해질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 연구)

  • Kwon, Suk Jin;Choi, U Hyeok;Jung, Byung Mun;Kim, Yang Do;Lee, Sang Bok
    • Composites Research
    • /
    • v.29 no.6
    • /
    • pp.395-400
    • /
    • 2016
  • Recently, many research groups have studied on the epoxy-based multifunctional electrolyte to develop the structural composite bearing high mechanical properties without sacrificing the ionic conductivity at the same time. The studies on the optimal content and material selection for structural electrolyte have been published, while its curing behavior has not much analyzed yet. In this study, epoxy-based structural electrolyte containing solid electrolyte was prepared by varying the curing temperature and time. In addition, the ionic conductivi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pecimens were measured. We also find out the optimal hardening condition where the epoxy domain enables to be hardened within the range of temperature at which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electrolyte does not occur. Finally, we propose the multifunctional structural electrolyte showing achievabl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282 MPa and $9{\times}10^{-6}S/cm@25^{\circ}C$).

Evaluating the Modular Facility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for Improving Lake Water Quality (상수원 수질개선을 위한 비점관리 모듈화 시설의 적용성 평가)

  • Park, Jong-Yoon;Rhee, Han-Pil;Son, Jang-Won;Lee, Se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4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 수질개선을 위한 물환경관리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장치형과 자연형 물환경관리시설을 복합 구성하여 강우 및 비강우 시 비점오염물질을 집중 저감 할 수 있는 맞춤형 비점관리 모듈화 시설을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는 습지, 생태수로, 저류지 등으로 정형화된 기존의 수질개선 대책에서 탈피하여 대규모 댐유역에서 구조적 대책의 실효성과 효과성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성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영천댐 유역을 대상으로 수질모형(HSPF, AEM3D)을 구축하고 목표수질 설정에 따른 수질개선 대책을 마련하였다. 여기서 수질개선 대책은 호내와 유역으로 공간적 범위를 구분하여 효과분석을 위한 단일 및 복합 모의 시나리오를 작성했으며, 평년 강우량과 가장 유사한 최근(2017년)의 영천호 수질과 비교하여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맞춤형 비점관리 모듈화 시설은 영천호 유입부에 기 조성된 인공습지(평시)와 연계하여 강우 시에는 모듈형(다기능 저류조, 스크린, 고효율여과) 장치를 통해 침강지로 최종 방류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모듈화 시설의 연중 삭감량 추정 결과는 T-P 유달부하량을 기준으로 평시 32%, 강우 시 11%로 분석되었다. 자세한 모듈화 시설의 구성과 저감효율, 수질개선 대책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영천호 수질변화 분석 결과 등은 발표를 통해 제시될 예정이다.

  • PDF

Manufacturing Method for Sensor-Structure Integrated Composite Structure (센서-구조 일체형 복합재료 구조물 제작 방법)

  • Han, Dae-Hyun;Kang, Lae-Hyong;Thayer, Jordan;Farrar, Charles
    • Composites Research
    • /
    • v.28 no.4
    • /
    • pp.155-161
    • /
    • 2015
  • A composite structure was fabricated with embedded impact detection capabilities for applications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By embedding sensor functionality in the composite, the structure can successfully perform impact localization in real time. Smart resin, composed of $Pb(Ni_{1/3}Nb_{2/3})O_3-Pb(Zr,\;Ti)O_2$ (PNN-PZT) powder and epoxy resin with 1:30 wt%, was used instead of conventional epoxy resin in order to activate the sensor function in the composite structure. The embedded impact sensor in the composite was fabricated using Hand Lay-up and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VARTM) methods to inject the smart resin into the glass-fiber fabric. The electrodes were fabricated using silver paste on both the upper and bottom sides of the specimen, then poling treatment was conducted to activate the sensor function using a high voltage amplifier at 4 kV/mm for 30 min at room temperature. The composite's piezoelectric sensitivity was measured to be 35.13 mV/N by comparing the impact force signals from an impact hammer with the corresponding output voltage from the sensor. Because impact sensor functionality was successfully embedded in the composite structure, various applications of this technique in the SHM industry are anticipated. In particular, impact localization on large-scale composite structures with complex geometries is feasible using this composite embedded impact sen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