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의 미학적 특성과 사회적 소통방식 연구 - '인디애니페스트' 수상작 중심으로 -

A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communication of Korean Independent Animation

  • 투고 : 2017.05.01
  • 심사 : 2017.05.24
  • 발행 : 2017.06.30

초록

본 논문은 한국 유일의 독립애니메이션 영화제인 '인디애니페스트' 수상작을 대상으로 한국 독립애니메이션 이미지를 탐색하여, 예술성과 사회성이 긴밀하게 조응하는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의 미학적 특성들을 분석하고 미학적 특성을 통해 구축되는 사회적 소통방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인디애니페스트' 수상작들을 통해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이 보여주는 있는 말 걸기 방식은 세 가지다. 첫 째는 느낌과 충동, 욕망을 조형적으로 재현하여 수화나 음향처럼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이미지로 말을 거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이미지로 다르게 말하기 방식 즉 일상의 익숙한 이미지를 새로운 방식으로 변주하거나 재배치하여 우리 안의 내밀한 리듬이나 정서, 찰나적 성찰이나 사유를 들려주는 방식이며 세 번째 방식에서는 현실과 비현실이 모호하게 중첩된 새로운 층위의 현실세계를 통해 '변방에서 새어나오는 소음으로밖에 지각되지 않았던 목소리' 들을 현실의 담론으로 들리게 만든다. 애니메이션은 본원적으로 이미지로 '의미를 발화하고 소통하는' 매체로서, 언어나 서사를 통해 시행되어 왔던 '의미를 발화하고 소통하는' 방식과 다른 차원 즉 기존의 사회적 목소리와 다른 새로운 방식의 말 걸기 양식을 실행하고 구축해 왔다. 하지만 그럼에도 독립애니메이션을 비롯해서 '애니메이션을 이미지를 통한 사회적, 정치적 말하기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을 인류 최초의 사유방식이자 재현화법으로서의 성격을 계승하고 있는 매체로 접근하여 이미지를, 이야기를 생산하고 의미를 발화시키는 주체 즉 일종의 소통 언어로 탐색하고자 하는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학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을 학문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보다 폭넓은 시각에서 정당한 가치를 발굴하고 평가받도록 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analyzes Korea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independent anim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artist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by searching Korean independent animation image for the winner of "Indie AniFest", the only independent animation film festival in Korea. And social communication methods. There are three ways in which Korean Independence Animation shows the way of speaking through award-winning works. The first is a method of expressing feelings, impulses, and desires in a formative way, and a direct and sensuous image as in sign language or sound. In the second method of speaking differently with images, in the third method, It makes the voice of the fringe through the real world of the story sound as a story of reality. Animation is a medium that 'originalizes and communicates meaning' as an image, and has implemented and constructed a new way of speaking,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social voices. Nevertheless, it is not easy to find a research that approaches animation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and political speech through images. Therefore, this paper is necessary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animation. In addi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re - examining Korean independent animation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and to discover and evaluate fair value from a wider perspec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들뢰즈, 의미의 논리, 이정우 역, 한길사, 1999.
  2. 박성수, 애니메이션 미학. 향연, 2005
  3. 박정자,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기파랑 에크리, 2011.
  4. 심혜련, 20세기의 매체철학, 그린비, 2012.
  5. 랑시에르, 주형일 역, 미학 안의 불편함, 인간사랑, 2008.
  6. 랑시에르, 오윤성 역, 감성의 분할 (미학과 정치), b, 2008.
  7. 랑시에르, 감성적/미학적 전복, 홍익대학교 강연문, 2008.
  8. 모린 퍼니스, 한창완 역, 움직임의 미학, 한울, 2001.
  9. 발터 벤야민, 독일 비애극의 원천, 김유동 외 역, 한길사, 2009.
  10. 안젤름 프랑케 외, ANIMISM 애니미즘, 일민미술관, 2013. p. 39.
  11. 조성훈, 들뢰즈의 잠재론, 갈무리, 2010
  12. 진중권, 현대미학강의, 아트박스, 2003.
  13. 피오나 브래들리, 김금미 역, 초현실주의, 현대미술운동총서, 2004.
  14. Lois Parkinson Zamora, 우석균 역, 마술적 사실주의, 한국문화사, 2001.
  15. 김소연, 영국과 국내 독립애니메이션 비교를 통한 국내 독립애니메이션 발전 방안 연구, 숙명여대석사. 2004.
  16. 서수정, 한국 장편애니메이션의 공간정치학- '집'을 중심으로, 중앙대박사, 2013. p 37.
  17. 송병집,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 나타난 예술적 인식으로서의 알레고리, 단국대박사, 2008.
  18. 이수영, 문학과 예술의 시각적 표현, 연세대석사, 1999.
  19. 이재환, 한국독립애니메이션의 영역과 변천과정 연구, 경희대석사, 2003
  20. 이혜원,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쟝루 펠리시올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세종대석사. 2008.
  21. 임석원, 발터 벤야민의 알레고리 개념 연구-독일 비극의 원천을 중심으로, 서울대석사. 2002.
  22. 강석윤, 한국독립영화 약사, 독립영화, Vol.6 No.-, 2000.
  23. 김길웅, 미적 현상과 시대의 매개체로서의 알레고리- 벤야민의 알레고리 개념을 중심으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4, 1997
  24. 김경애,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공간적 서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 2007.
  25. 김재웅,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해석의 문제, 인문콘텐츠, Vol.8 No.-, 2006.
  26. 김준양, 삶의 이해로서의 애니메이션, 독립영화, Vol.15 No.-, 2002.
  27. 김지홍, 애니메이션 작가주의와 영화 작가주의에 대한 비교,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Vol.11 No.2, 2012.
  28. 모은영, '지금, 이곳'의 독립애니메이션, 독립영화, Vol.31 No.-, 2006. p. 118
  29. 박기순, 랑시에르에서 미학과 정치, 미학, 제61집, 2010. p. 67.
  30. 박세형, 디지털시대에 나타나는 회화와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연계와 전망, 목원조형, Vol.- No.2, 2001.
  31. 성기현, '미학의 정치'에 있어 유희의 역할, 탈경계 인문학 제4권 3호, 2011. p 156.
  32. 이수진, 경계면 사이의 미학: 슈비츠게벨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형태적 유연성을 중심으로, 탈경계 인문학 제3권 2호. 2010.
  33. 진은영, 숭고의 윤리에서 미학의 정치로-자크 랑시에르의 미학의 정치, 시대와 철학, 제20권 3호, 2009. p. 406
  34. 염동철, 한국 단편애니메이션의 미학과 정체성, 디자인학연구, Vol.24 No.4, 2011.
  35. 염동철, 한국 단편애니메이션의 시각 예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Vol.7 No.3, 2011.
  36. 염동철,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의 국제적 평가와 창작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1, 2007. p.131.
  37. 전승일, 독립단편애니메이션의 이념과 방법, 독립영화, Vol.9 No.-, 2001.
  38. 조미라, 애니메이션, 대중예술로서의 미학적 의미와 가능성, 조형미디어학, Vol.16 No.1, 2013.
  39. 조미라, 애니메이션의 시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 2002.
  40. 최성규,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 영산논총, Vol.6 No-, 2000.
  41. Solomon, C. ed, The Art of the Animated Images: An Anthology, Los Angeles, AFI,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