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orbidity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Korea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의료이용 및 질병특성 비교

  • Received : 2017.05.10
  • Accepted : 2017.05.25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orbidity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in Korea to evaluate the health disparities. We used medical claim data of 2010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isabled children are not in good health condition because they have more frequency of medical service use, hospitalization rate, and more number of diseases and spent more on medical expenses than non-disabled children. Patterns of the most frequent disease differ from significantly between disable and non-disabled. Disabled children had a higher prevalence of selected birth defects and selected health conditions associated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a lower prevalence of selected infection disease than children without disability. In conclusion, Health policy changes that would extend the access to health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aracterized by frequent medical care, hospitalization, excessive medical expenditure and complex diseases.

본 연구는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의료이용 및 질병이환의 특성을 분석하여 건강격차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자료는 2010년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자료를 이용하여 0-19세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의료이용량과 진료비, 질병보유수, 다빈도질환과 아동장애와 관련질환의 환자비율 등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아동은 비장애아동보다 의료이용빈도 및 입원율, 질병보유수가 많아 건강상태가 좋지 않고 진료비를 더 많이 지출하였다. 두 집단 간에 많이 겪는 다빈도질환도 차이가 나서 장애아동은 신경계통질환, 순환기계질환 및 정신행동장애의 순으로 많은 반면, 비장애아동은 호흡기계질환, 손상 및 중독질환, 감염성질환 순이였다. 장애아동은 신경계통의 선천기형질환이나 신체장애와 밀접한 건강관련질환의 의료이용이나 진료비지출이 많으나, 비장애아동은 감염성질환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장애아동보다 잦은 진료와 입원, 과다한 의료비 지출과 복합적으로 보유한 질환 등으로 특징지워지는 장애아동의 의료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보건의료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손상으로 인한 장애가 추가적으로 발생하거나 심화되지 않도록 장애아동 및 비장애아동의 부모에게 예방교육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J. Banks, Z. Oldfield, and J. P. Smithy, "Childhood Health and Differences in Late-Life Health Outcomes Between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NBER Working Paper, No.17096, pp.1-26, 2011.
  2. R. Ayyangar, "Health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childhood disability,"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Clinics of North America, Vol.13. pp.793-821, 2002. https://doi.org/10.1016/S1047-9651(02)00046-3
  3. V. Shilling, V. Edwards, M. Rogers, and C. Morris, "The experience of disabled children as inpatients: A structured review and synthesis of qualitative studies reporting the views of children, parents and professional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Vol.38, No.3, Retrieved April 20, 2012.
  4. M. C. Peterson, P. Davis, L. Newman, and C. Temple, "Eating and feeding are not the same: Caregivers' perceptions of gastrostomy feeding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48, pp.713-717, 2006. https://doi.org/10.1017/S0012162206001538
  5. E. Petridou, S. Kedikoglou, E. Andrie, T. Farmakakis, A. Tsiga, and M. Angelopoulos, "Injuries among disabled children: A study from Greece," Injury Prevention, Vol.9, pp.226-230, 2003. https://doi.org/10.1136/ip.9.3.226
  6. M. Prince, V. Patel, S. Saxena, M. Maj, J. Maselko, and M. R. Phillips, "No health without mental health," Lancet, Vol.370, No.9590, pp.859-877, 2007. https://doi.org/10.1016/S0140-6736(07)61238-0
  7. 김지수,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아동의 건강문제와 건강관리 현황,"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18권, 제3호, pp.127-134, 2012. https://doi.org/10.4094/jkachn.2012.18.3.127
  8. 한영란, 이명희, 방미란, "장애아동 양육을 위한 어머니의 건강관련 교육요구,"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12권, 제1호, pp.44-56, 2006.
  9. 이애란, 한경자, "학령전기 장애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어머니의 행위 측정도구 개발,"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13권, 제4호, pp.444-453, 2007.
  10. 이애란, 김지수, "장애아동의 건강관련 행동문제 및 건강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돌봄 행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3권, 제1호, pp.24-37, 2009.
  11. 박순옥, 신현균, "심리건강 향상에 초점을 둔 부모역할 프로그램이 중도, 증복 장애아동 어며니의 자존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4권, 제3호, pp.329-345, 2009.
  12. 이병희, 고주연, "정신지체아동 및 뇌성마비아동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49권, 제2호, pp.105-126, 2010.
  13. 윤현정, "건강장애아동의 어머니가 인식한 아동의 병원학교 참여경험,"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9권, 제3호, pp.515-527, 2015. https://doi.org/10.5932/JKPHN.2015.29.3.515
  14. 최병호, 신현웅, "의료이용의 소득계층별 형평성: 대상환자집단별 접근," 보건복지포럼, 제106권, pp.90-98, 2005.
  15. 김혜련,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의 불평등 양상과 추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부문, 서울: 질병관리본부, 한국보건사회연구, 2007.
  16. 김민경, 정우진, 임승지, 윤수진, 이자경, 김은경,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의 차이와 건강행태 기여요인 분석,"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제43권, 제1호, pp.50-61, 2010.
  17. 이소영, "장애인 건강격차의 문제와 건강지표 활용추세-발달장애인의 건강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융합인문학, 제1권, 제1호, pp.73-106, 2013.
  18. 유창민, "한국복지패널로 본 한국 성인의 건강궤적과 예측요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집단 내, 집단 간 불평등 정도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1호, pp.440-472, 2016.
  19. 신현웅, 윤장호, 김현정, 하솔잎, "진료비 지출요인 분석 및 거시적 관리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1-263, 2013.
  20. 김성희, 이연희, 황수희,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1.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ustralia, AIHW cat. no.DIS 38. Canberra: AIHW, pp.1-117, 2004.
  22. 보건복지부, "학교감염병 감기,결막염,유행성이 하선염 순으로 많이 발생," 보도자료(석간), 2013.2.15.
  23. 최정수, 서경, 한영자, 이승욱, 부유경, 이상욱, 선천성이상아 조사 및 분석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1-156, 2009.
  24. 김지수, 이애란, "학령전기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아동을 위한 건강증진행위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pp.315-323, 2008.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2.315
  25. S. A. Sinclair and H. Xiang, "Injuries Among US Children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8, No.8, pp.1510-1516, 2009. https://doi.org/10.2105/AJPH.2006.097097
  26. 김동진, 윤흰뫼, 이정아, 채희란, "의료패널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의 의료이용 불평등 측정,"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3호, pp.33-58, 2014.
  27. P. W. Newacheck, M. Inkelas, and S. E. Kim, "Health Services Use and Health Care Expenditur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diatrics, Vol.114, No.1, pp.79-85, 2004. https://doi.org/10.1542/peds.114.1.79
  28. 이용우, "가구소득과 아동기의 건강불평등,"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3호, pp.7-32, 2014.
  29. 이한나, 장애인의 건강불평등 연구-집중지수 분석을 이용한 비장애인과의 비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0.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Working paper no.21: Child Poverty and disability, 2012.
  31. 이보우, 우리나라 미충족 의료의 지역간 변이 연구, 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2. 홍주연, 김가중,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이용한 의료급여수급권자와 건강보험가입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477-48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477
  33. 임유진, "중년기 성인의 건강관리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198-206,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2.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