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arrative Analysis of a TV Documentary o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Fever: Focus on the Coverage of

영어교육 열풍에 관한 시사다큐멘터리의 서사분석: '조기 영어교육 열풍, 신음하는 아이들' 방송을 중심으로

  • 심우진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 신동일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Received : 2017.05.08
  • Accepted : 2017.06.30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TV documentary titled o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rough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Chatman, 2003). It performed syntagmatic analysis to clarify the story structure with a focus on the development of events, and paradigmatic analysis to understand the semantic structure hidden in the text by binary opposition analysis. The documentary was constructed in the frame of 'balance-confusion-rebalance', and it was explicitly delivered that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 prohibited in the private elementary schools has stimulated the market of private English education. However, the government's and students' voices were missing, and the group of parents, private elementary school officials, and people involved in private English institutes played as main agents to lead the discourse of English immersion an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the documentary.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에 방영된 '조기영어교육 열풍, 신음하는 아이들' 시사다큐멘터리의 서사구조를 Chatman(2003)의 모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통합체 분석을 위해 사건의 전개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의 내용 흐름을 탐색하고, 계열체 분석을 통해서는 텍스트에 잠재되어 있는 이항대립 구조를 분석했다. 해당 방송은 '균형-혼란-재균형'의 서사 구조를 바탕으로, 영어 몰입교육 금지에 따른 혼란의 상황이 영어 사교육 시장을 확장시켰으며, 학생들의 영어학습이 점점 앞당겨지는 상황이 발생했고, 그로 인해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는 내용으로 전개시켰다. 그러나 조기 영어교육의 열풍을 유발했다는 정부의 목소리는 제대로 등장하지 않고, 피해자로 위치화된 학생들의 모습도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지 않은채, 학부모, 사립초등학교 관계자, 영어학원 관계자들이 조기 영어교육의 열풍과 영어 몰입교육의 행위를 유발하는 핵심 주체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조기 영어교육 열풍을 잠재울 해결안으로 정서적 단면, 교수 방법적 차이 등을 다루면서 보다 중층적인 진단과 대안을 모색하지 못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정, "영어교육열풍에 대한 텔레비전 담론: 시사다큐멘터리의 서사분석,"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5호, pp.7-52, 2008.
  2. 이경숙, "텔레비전 텍스트의 서사 분석 방법," 한국언론정보학회 (편),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 컬처룩, pp.111-141, 2015.
  3. W. Penfield and L. Roberts, Speech and brain mechanisms, Atheneum, 1959.
  4. 이윤영, 최호성, "초등학생 어머니들의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교과교육학연구, 제13권, 제2호, pp.343-368, 2009.
  5. 김정오, 허만임, 김혜정,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학부모들의 인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2권, 제1호, pp.193-197, 2014.
  6. M. McGroarty, "Home language: Refuge, resistance, resource?," Language Teaching, Vol.45, No.1, pp.89-104, 2012. https://doi.org/10.1017/S0261444810000558
  7. L. van Lier, "From input to affordance: Social-interactive learning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n J. P. Lantolf(Ed.), Sociocultural theor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Recent advances, pp.245-259, OUP, 2000.
  8. N. H. Hornberger, "Multilingual language policies and the continua of biliteracy: An ecological approach," Language policy, Vol.1, No.1, pp.27-51, 2002. https://doi.org/10.1023/A:1014548611951
  9. 우남희 "유아의 영어교육 경험과 지능, 창의성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4권, 제4호, pp.453-474, 2007.
  10. 신동주, "유아기 영어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제11권, 제2호, pp.349-374, 2007.
  11. 장영희, "조기특기교육-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것인가?," 교육개발통권, 제133권, pp.24-39, 2002.
  12. 김명숙, "조기영어 공교육이 영어학습에 대한 자기결정동기 및 언어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pp.71-96, 2012.
  13. 김태영, 이희진, "조기영어교육과 초등영어교육의 연구동향: 2000-2015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3권, 제3호, pp.67-91, 2015.
  14. 나미수, 전오열, "TV시사다큐멘터리의 서사 비교연구: '트렌스젠더' 주제 <추적 60분>, <그것이알고싶다>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6권, 제4호, pp.89-132, 2006.
  15. 김지영, "스포츠영웅에 대한 한일 스포츠 다큐멘터리의 서사 비교: 피겨 여왕 김연아와 아사다마오의 스포츠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17권, pp.219-251, 2010.
  16. 심훈, "'쓰나미'에 대한 한미 양국 간의 이야기구조 서사분석: MBC의 <시사매거진 2580>과 CBS의 60Minutes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6호, pp.286-313, 2005.
  17. 최현주, "다큐멘터리 장르에 따른 서사구조 비교분석: '새만금 간척사업'에 대한 KBS의 <환경스페셜>과 <추적60분>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6권, 제2호, pp.415-441, 2006.
  18. http://www.imbc.com/broad/tv/culture/pd/vod/
  19. R. Barthes, "An introduction to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narrative," In T. Bennet (Ed.), Culture, ideology and social process: a reader, Batsford, pp.165-184, 1981.
  20. M. Gurevitch, M. Levy, and L. Roeh, "The global newsroom: convergences and diversities in the globalization of television newa," In Dahlgren & C. Sparks (Eds.), Communication and citizenship, Routledge, pp.195-212, 1991.
  21. 백선기, "TV 뉴스 영상 재현의 의미구조 및 이데올로기 구조 - KBS 9시 뉴스의 이라크전 보도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16권, pp.243-309, 2004.
  22. 한승백, "벤쿠버 동계올림픽 이규혁 보도의 서사구조와 이데올로기,"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3권, 제3호, pp.221-236, 2010.
  23. 이윤진, "영국에서의 한국이미지와 스토리텔링/서사의 변화: 2002년-2005년 에 나타난 한국관련 기사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1호, pp.32-58, 2007.
  24. 송명진, "서사 전략과 대중문화 콘텐츠-방송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 K2'와 '위대한 탄생'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5권, pp.205-228, 2011.
  25. S. Chatman, 이야기와 담론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한용환 역), 푸른사상, 2003.
  26. 한용환, 서사 이론과 그 쟁점들, 문예출판사, 2002.
  27. T. Todorov, The poetics of prose, Blackwell, 1977.
  28. http://appida.tistory.com/667(2013년 11월 13일)
  29.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wojan&logNo=130180203596(2013년 11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