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ning to Change Prejudice into Hope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cademically talented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

편견을 희망으로 바꾸는 달리기 - 학업성취 우수 시설보호아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 Received : 2017.08.01
  • Accepted : 2017.10.26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We usually expect that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are not able to have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 even though their school achievement in adolescence is crucial as a part of whole lifespan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efully understand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only a few academically talented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and to find out the practical suggestion to suppor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For this purpose, we had interviewed eight children in depth and analyzed the data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we found a total of 21 subcategories and 5 categories. The categories included that 'always being faithful despite being not fast', 'believing myself when I face limitations', 'conflict in high support and high expectation', 'sometimes refusing to support on me, but I am leaning on my mind', 'relieving anxiety by studying'.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central theme of 'running to change prejudice into hope' were found through the cases with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guideline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and providing the academic support services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청소년기의 학업수행은 전 생애적 발달과업의 한 부분으로서 중요하나, 시설보호아동에게 학업성취가 우수할 것이라는 기대는 거의 하지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수에 불과하지만 시설보호아동 중에도 학업수행에 특출한 이들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들의 특성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시설보호아동의 학업수행 지원을 위한 실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는 8명의 시설보호아동에 대해 심층면접을 수행하고 장기간에 걸쳐 다각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접근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총 21개의 하위범주와 5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학업성취 우수 시설보호아동의 사례를 총체적으로 드러내는 상위범주로는 '빠르지 않아도 걸음마다 충실함', '한계와 마주해도 스스로를 믿음', '많은 지원과 높은 기대 속에서 갈등함', '밀쳐내기도 하지만 마음 다해 기댐', '퇴소의 불안함을 공부로 채워감'이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각각의 학업성취 우수 시설보호아동의 사례를 관통하여 '편견을 희망으로 바꾸며 달려감' 이라는 중심주제의 특성을 발견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시설보호아동의 복지 향상을 위해 학습지원서비스 개발 및 제공 시에 고려해야 할 방향을 제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6년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NRF-2016S1A3A2924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