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ation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ing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ing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to cultivate right understanding toward North Korean society and rational perception of unification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ethnic commun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and also to build the consciousness and attitude that will achieve unification in a peaceful way. For developing the program, this paper, with requested survey of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and with study of references, consists of a purpose, objective, and education cont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ing for re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ing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mainly consist of having an identity as a people of Korea(historical identity, cultural identity, identity as Korean in the worl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understanding of culture, language, food, and nature of North Korea), reconcil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between individuals, groups, and nations), and peaceful unification(peace, unification).

본 연구는 유아에게 민족공동체 의식과 민주시민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사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통일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을 함양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실현할 수 있는 의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및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갖기(역사적 정체성, 문화적 정체성,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북한에 대한 이해(북한 문화 이해, 북한 언어 이해, 북한 음식 이해, 북한 자연 이해), 남북한 간의 화해(개인 간의 화해, 집단 간의 화해, 국가 간의 화해), 평화통일(평화, 통일)을 주된 내용요소로 하여 구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I. 총론. 서울: 미래앤 컬쳐그룹.
  2. 교육인적자원부(2001). 유아를 위한 통일교육 활동 지도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김경희(1999). 만 5세 유아의 북한 통일에 대한 인지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규수, 김숙자, 안영경, 김현정, 신수희(2004). 유아통일교육과 유아 민주시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1), 119-141.
  5. 김숙자, 김현정(2003). 교수-학습 과정 기본 모형에 대한 유아 통일 교육 관련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1), 51-69.
  6. 김영경(2002). 통합적 통일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이해.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옥(2015).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연구동향 (2011-2015년). KDI 북한경제리뷰.
  8. 김학님(2003). 교사의 통일관 및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서울, 경기 지역 중, 고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문화체육관광부(2008). 2008 이주민 문화향수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0. 박동주(2005). 고등학교 통일교육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시범/비시범 학교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박성재(2012).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통합제고를 위한 취업지원제도 개선방안. 월간 노동리뷰, 10월호, pp. 91-109.
  12. 박혜숙(2000). 통일을 주제로 한 통합적 교육 활동이 유아의 북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북한인권정보센터(2005). 새터민 정착상황 종합실태조사. 서울: 북한인권정보센터.
  14. 유지웅(2006). 북한이탈주민의'사회적 배제'연구: 소수자의 관점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윤기영(2008). 유아사회교육. 파주: 양서원.
  16. 윤인진(2007a). 북한이주민의 건강과 경제적응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21, 65-97.
  17. 윤인진(2007b).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착지원 방안. 아세아연구, 50(2), 106-143.
  18. 윤인진, 김숙희(2005). 국내 탈북자의 건강과 의료. 보건과 사회과학, 17, 149-182.
  19. 윤인진, 이진복(2006). 소수자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의 과제: 북한이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7(1), 41-92.
  20. 윤인진, 채정민(2010).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과 남한주민과의 상호인식.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1. 이명희(2000). 유아교육에서의 통일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361-390.
  22. 이수정(2014). 접촉지대와 경계의 (재)구성: 임대아파트 단지 남북한 출신 주민들의 갈등과 협상. 현대북한연구, 17(2), 85-126.
  23. 이원영, 이태영, 이경민(2001). 유아를 위한 통일교육 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4. 정미연(2007). 그림책을 통한 통일교육 활동을 경험한 유아의 통일 관련 인식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정향진(2005). 탈북 청소년들의 감정성과 남북한의 문화심리적 차이. 비교문화연구, 11(1), 81-111.
  26. 지성애, 김숙자, 최민수(2003).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실태. 미래유아교육학회, 10(2), 229-259.
  27. 최민수, 김숙자, 지성애(2002). 통일교육 관련 교육활동 자료 개발을 위한 유아 통일교육 내용요소에 한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7(3), 263-290.
  28. 최민수, 박혜숙(2001). 유치원의 통일교육 활동 적용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6(1), 125-145.
  29. 최민수, 정영희(2011). 통일한국의 유아교사 양성 및 재교육 방안 조사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477-502.
  30. 최양미(2001). 유아기 통일교육의 방향 탐색. 인문과학연구, 9, 219-240.
  31. 통일교육원(2012). 2012 학교용 통일교육 지침서.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32. 통일부(2011). 2011통일교육지침서(초등용). 서울: 통일부
  33. 통일교육원,통일부(2017). 2017 통일백서. 서울: 통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