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of the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Job Performing Abilities from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보육교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 비교

  • Jun, Yun Soo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 Eui University)
  • Received : 2017.10.30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by the nursery school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For this purpose, 35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 home daycare centers and corporation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randomly sampl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30 sub-elements based on 45 sub-competency unit elements extracted from 12 areas of job ability of the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Fin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17 questionnaires of 28 national daycare teachers, 30 private daycare teachers, 30 home daycare teachers, and 29 corporation daycare teacher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mong the four groups in all 12 performance capability units. For the 12 job performance units, the importance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corporate daycare center, national daycare center, home daycare center, and private daycare center. Among them, "Establishment of Child Care Center Management Policy", "Construction of Child Care Service", "Child Care Activity Management", "Infant and Child Playing Guide", "Body and Art Activity Guidance", "Language, Nutritional guida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rporate daycare teachers and national daycare teach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ational daycare teachers and home daycare teacher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corporate daycare teachers and home daycare teachers..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between home daycare teachers and private daycare teachers. In the remaining five job competence units, "Child Care Assessment", "Support for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he Home and Community", "Child Care Management", and "Child Care Research", corporation daycare centers, national daycare cente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ivate daycare teachers. Also this tendency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45 sub-capacity unit elements.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어린이집 운영추체별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교사 각 35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능력단위 12개 영역에 근거하여 추출된 45개의 하위 능력단위요소를 토대로 작성된 하위요소 230개를 문항으로 작성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28명, 민간어린이집 교사 30명, 가정어린이집 교사 30명, 법인어린이집 교사 29명 총 117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가지 모든 직무수행능력단위에 있어 네 집단 간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12가지 직무수행능력단위에 대하여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중, "어린이집 운영방침 수립", "어린이집 활경구성", "보육활동운영", "영유아놀이지도", "신체 예술활동지도", "언어, 수 과학활동지도", "건강 안전 영양지도"의 일곱 가지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교사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와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법인어린이집 교사들과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어린이집교사들과 민간어린이집 교사들 간에도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다섯 가지 직무능력단위인 "보육평가", "영유아발달지원", "가정 지역사회와의 협력", "보육운영관리", "보육연구"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민간어린이집 교사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가지 하위 능력단위요소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일관되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애순(2006). 한국 민간 보육시설의 실태점검을 통한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운영 및 재정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영분(2010). 영유아보육시설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주섭(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 활성화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정책 세미나 2014.
  4. 김진모(2001). 기업의 인적 자원개발을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개발. 직업교육연구, 20(2), 109-128.
  5. 김현지(2010).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교사 역할수행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지, 15(1), 45-53.
  6. 나승일(2013). 학별이 아닌 능력중심사회를 위한 NCS구축과 활용. 대한민국정부, 2013-2017 국가재정운용계획.
  7. 나승일(2015). 능력중심사회로의 항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알파와 오메가. THE HRD REVIEW, 82, 1-6.
  8. 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2009). 국가직업(직무)능력 표준개발 매뉴얼. 서울: 노동부.
  9. 박동렬(2013b).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역량교육 추진 실태와 과제. THE HRD REVIEW, 68, 52-71.
  10. 박동렬(2013a). 교육기관에서의 NCS 적용 성과와 향후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료집: 제1차 포럼: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NCS 활용 전략, 57-74.
  11. 배정인(2010). 가정보육시설 시설장의 보육시설 운영과정에 관한 연구: 보육교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배진호(2013).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수준 및 요구 조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보건복지부(2015). 보육통계. http://www.mohw,go.kr.
  14. 성병창, 부재율, 한경임, 이경화(2009).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수산 해양교육연구, 21(1), 78-95.
  15. 손흥숙(2015).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전문성: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2), 65-84.
  16. 신혜원, 김의향(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따른 보육분야 3.4수준 교사양성 방향성 모색. 한국보육학회지, 14(4), 1-38.
  17. 심정선(2004). 민간보육시설의 운영실태 분석: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오만덕, 이승희(2014). NCS를 활용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9), 651-662.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651
  19. 우남희(2009). 한국 보육사업의 현황과 발전과제.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유희정, 이연승, 강민정(2012).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운영 및 교사처우 실태에 대한 분석: 부산광역시 보육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2(4), 18-202.
  21. 이동임(2015).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자격제도 운영현황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이윤미(2010). 직장보육시설의 조직문화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임석기(2002). 법인보육시설과 개인보육시설 운영 실태 비교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전정민, 김정미(2016). 시설유형별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차이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0(3), 89-108.
  25. 정외숙(2006). 민간과 국.공립 보육시설 운영 실태 비교.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정정희(2011). 한국보육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정향진(2013). NCS의 도입 및 당면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료집: 제1차 NCS 포럼: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NCS 활용 전략, 1-24.
  28. 주인중, 조정윤, 임경범(2010).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사업의 현안 및 정책방안. THE HRD REVIEW, 13, 19-39.
  29. 최동선(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도입의 주요 이슈와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Cited by

  1. Effects of Grit and Teacher Efficacy on Managing Strategies for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mong Child Care Teachers vol.39, pp.6, 2017, https://doi.org/10.5723/kjcs.2018.39.6.57
  2.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이 집단응집력, 공감능력과 소통만족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운영주체 별 차이를 중심으로 vol.21, pp.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21.21.03.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