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iority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s: Comparing the Practical and the Academic Experts Using the AHP

계층분석방법(AHP)을 활용한 보육교사 교권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실무 및 학계 전문가 비교

  • Choi, Yang Mi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yang University) ;
  • Park, Mi Kyung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Hong Jae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Anyang University)
  • 최양미 (안양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박미경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 이홍재 (안양대학교 공공행정학과)
  • Received : 2017.04.30
  • Accepted : 2017.06.24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ies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s using hierarchical analysis process(AHP) and sugges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 conducted the survey of the practitioners and academics in order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balanced discussion o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s and sub-factors. The results of analyses show that the professional authority is the most important rights of establish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s.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the rights to guide young children and to decide on a teaching method are more important than other factors in professional authorities. Thir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ight to have an their identity and the right of claim for remuneration are more important than others in the Publicness. In the labor factor, the experts emphasize that the right to make un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s more important than the right of teachers' union for bargaining. These confirm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s of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n the area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s and sub-factors between the practitioners and academic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s.

본 연구에서는 계층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여 보육교사의 교권 영역 및 하위 요인을 선정하고 이들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교권 영역은 전문성, 공공성, 근로성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각 영역별 하위 요인을 선정하였다. 교권 영역 및 하위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검토하기 위해 실무 전문가와 학계 전문가 집단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권 확립을 위해 전문성이 공공성 및 근로성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전문성' 영역에서는 영유아 지도권 강화와 교육 방법 결정권 개선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영유아 평가권 강화, 교육내용 결정권 개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성' 영역에서는 신분보유권 및 보수청구권 강화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근로성' 영역의 경우, 교원단체 결성권, 교원단체 교섭권 등의 순으로 제시되었다. 한편 보육교사의 교권 확립을 위한 영역별 하위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있어서는 전문가 집단 간에 상당 부분 인식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교권확립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권리는 무엇인지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길곤, 하혜영(2008). 정책학 연구에서 AHP 분석기법의 적용과 활용. 한국정책학회보, 17(1), 287-329.
  2. 구은미, 정혜영(2015).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권리 개념 연구. 아동과 권리, 19(3), 343-366.
  3. 구은미, 정혜영(2016).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교사권리에 대한 개념도 분석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27.
  4. 김경화, 박재학(2016).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경로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6(2), 1-16.
  5. 김광병, 김기화(2015).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법적 지위 비교 분석. 교육문화연구, 21(5), 203-227.
  6. 김기철, 신애선(2016). 영아교사의 전문성, 민감성, 행복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6(2), 57-82.
  7. 김길숙, 문무경, 이민경(2015).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권익 보호 실태 및 증진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8. 김보영(2011). 보육교사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인식조사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2), 7-24.
  9. 김언순(2014). 기본권으로서 교권에 대한 논의: 교권보호의 출발점. 한국교육사학, 36(1), 79-114.
  10. 김은영, 장혜진, .조혜주(2013). 영유아 교사 복지 실태와 개선방안. 육아정책연구소.
  11. 김정래(2014). 권리와 권위의 차원에서 본 교권의 의미. 교육철학, 52, 1-27.
  12. 김치영, 임상도(2014). 유아교사의 권위 상실에 대한 원인 분석과 권위 정당화 방안 탐색. 유아교육, 23(4), 25-44.
  13. 백혜리(2009). 예비보육교사의 직업에 대한 기대와 포부에 대한 연구. 보육정책연구, 5(2), 103-117.
  14. 보건복지부(2015a). 보육통계.
  15. 보건복지부(2015b). 2015 보육사업안내.
  16. 서은희, 이미숙(2002).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3), 155-170.
  17. 손흥숙(2015). 보육정책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2), 65-84.
  18. 손희권(2007). 교원의 교육권의 법리. 교육행정학연구, 25(4), 47-72.
  19. 송순옥, 김하종 ,성연정(2015).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5(3), 89-107.
  20. 신은수, .안부금, 이선명(2014). 표준직업분류(ISCO, KSCO)에 의한 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교사, 보육교사직업 비교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5), 127-152.
  21. 신은수, 유흥옥, 안부금, 안경숙, 김은정, 유영의, 김소향(2013). 유아교사론. 서울: 학지사.
  22. 안내래, 김희수, 안선희(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직선택동기의 조절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5), 87-102. https://doi.org/10.7466/JKHMA.2015.33.5.87
  23. 양다경, 이연승(2012). 교권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어린이미디어연구, 11(1), 25-51.
  24. 양다경, 이연승(2016).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755-776.
  25.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2014). 유아교사론. 경기: 정민사.
  26. 위미숙(2005).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4(1), 127-151.
  27. 유수경, 이연선, 손유진(2007). 이야기 나누는 시간동안 교사-유아의 담화에 나타난 교사의 수업유지 전략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249-272.
  28. 이경진, 이유진(2017). 보육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 전략 적용을 통한 영아의 중심축 행동 발달. 한국보육학회지, 17(1), 1-28.
  29. 이경민, 박주연(2015). 유아교사의 행복, 소진, 이직의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5(6), 33-48.
  30. 이현주(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31. 임승렬(2007).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수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 12(3), 1-18.
  32. 임영미, 정희정(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77-105.
  33.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2003).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동현출판사.
  34. 통계청(2007). 한국표준직업분류-제6차 개정. 대전: 통계청.
  35. 표갑수, 황영자(2011). 중.소도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시설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3.
  36. 홍다희(2016). 유치원 교사의 권리에 대한 기대수준과 보장수준 간의 집단별 차이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7. 황보영란(2011). 유치원 교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1(5), 87-112.
  38. 황보영란(2012). 유치원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인식 연구. 유아교육연구, 32(5), 375-393.
  39. Aczel, J., & T. L. Saaty.(1983). Procedures for synthesizing ratio judgement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27(1), 93-102. https://doi.org/10.1016/0022-2496(83)90028-7
  40.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2012).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ISCO-08. Geneva, Switzerland: International Labour Office.
  41. OECD(2006). Starting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42. Saaty, T. 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s allocation. New York: McGraw.
  43. Saaty, T. L.(1986). Axiomatic foundation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32(7), 841-855. https://doi.org/10.1287/mnsc.32.7.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