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motional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Attitud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효과

  • Beak, Seung Se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on Yang University) ;
  • Ahn, Youn Ky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on Yang University) ;
  • Kwak, Kyeong Hwa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wangju Women's University)
  • 백승선 (건양대학교 유아교육과) ;
  • 안연경 (건양대학교 유아교육과) ;
  • 곽경화 (광주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7.04.30
  • Accepted : 2017.06.24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nformation about effective parent education method by examining effect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on emotional coaching,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attitude and emotional expression. For this purpose, 43 parents who have a toddler who is financed in H daycare center and Y daycare center in G city of Jeonbuk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mong them, twenty - two mothers of infants who are financially supported by H day care center were selected as experiment group and they conducted a total of 8 cycles of emotional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120 minutes per week and once a week.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ANCOVA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arenting program of emotional coaching positively affects mother '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attitud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of parent education method which helps the desirable interaction with infant through more specific steps through emotional coaching to parents with toddlers.

본 연구는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 및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부모교육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 G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과 Y어린이집에 재원중인 걸음마기 영아를 둔 43명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H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영아의 어머니 2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1회기에 120분, 주 1회씩 총 8주기의 감정 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영아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 정서표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걸음마기 영아를 둔 부모에게 감정코칭을 통해 영아와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돕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부모교육 방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숙희(2013). 감정코칭을 활용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정서지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연희, 조미숙(2015).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1), 49-69.
  3. 김갑순, 박윤조(2016).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3), 27-44.
  4. 김영옥, 박성연(2011). 걸음마기 모-아 놀이에서의 긍정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동학논집, 32(1), 71-85.
  5. 김정아(1990).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제 변인에 관한 연구-어머니와 교사의 평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종남(2012).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감정 교육방식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현미(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현주(2015). 활동 맥락에 따른 어머니-걸음마기 자녀 간 갈등의 특성과 영아의 기질 및 애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효정, 이희선(2015). 어머니 양육행동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5(4), 113-134.
  10. 노미경(2003). 대상관계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성연, 신영아(2007). 걸음마기 아동의 순종행동에 관련된 변인들: 아동의 성, 연령,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요구내용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6), 11-20.
  12. 박응식(2015). John Gottman의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부모교육의 양육스트레스와 갈등대처능력,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용문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혜성(2014).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정서조절양식과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소정, 변민지, 하지영(2016).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관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245-270.
  15. 서숙경(2011).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서숙경, 김은경(2012).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6(1), 95-109.
  17. 서유리안나(2010).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손영희, 김판희(2015).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24(2), 249-264.
  19. 신정민(2014). 어머니 대상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갈등대처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안라리(2005).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안지영(2001). 2 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양승희(2016). 부모와 영아 간 상호작용 행동 평가를 위한 부모의 반응성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129-147.
  23. 유민임(2005). 유아 개인변인 및 어머니 양육태도와 대인문제해결력과의 인간관계. 대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유인숙, 김민화(2016).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2), 21-44.
  25. 이규연(2012). 감성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 자기격려 및 사회적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사라, 권정임, 이혜린(2009).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도 조사연구: 학령기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보육학회지, 9(4), 1-24.
  27. 이수진(2012). John Gottman의 감정코치법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승근(2010). 정서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원영(1986). 부모교육론. 서울: 교문사.
  30. 이원영, 이태영, 강정원(2008). 영유아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서울: 북카페.
  31. 이현림, 류현정, 김지혜(2007). 집단상담: MBTI를 활용한 적극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8(2), 533-547.
  32. 이혜숙(2012).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전은옥, 최나야(2017).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의 군집 예측가능성. 한국보육학회지, 17(1), 75-98.
  34. 정순종(2005). 학부모 정서관리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정윤주(2006).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양식 관련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4(11), 23-24.
  36. 조윤숙(2012). 감수성 훈련을 적용한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조희연, 이화도(2017). 아동정신분석학적 관점에 기초한 프랑스 육아법 연구: Francoise Dolto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1), 51-73.
  38. 최경화, 홍상욱(2016).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코칭연구, 9(3), 53-76.
  39. 최우미(2015) Gottman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어머니의 자녀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최인자(2005). 적극적 부모역할훈련(APT) 집단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인간관계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형성, 정옥분(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15.
  42. 한명숙(2016). 부모의 인성 리더십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 인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6(1), 121-140.
  43. 한영민(2005).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한지연(2016). 감정코칭 부모교육 적용과정에 나타난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에 대한 경험적 연구. 동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홍정연(2009). 놀이치료중인 아동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과 양육효능감 및 정서표현 수용태도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W.H. Freeman and company.
  47. Bradley, S. J.(2000). Affect 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New York: Guilford Press.
  48. Coleman, P. K., & Krraker, K. H.(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2), 47-85.
  49. Crease, S. J., Clark, S. G., & Pease, D.(1978).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annual.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50. Dumka, L. E., Stoerzinger, H. D., Jackson, K. M,. & Roosa, M. W.(1996). Examination of the cross-cultural and cross-language equivalence of the parenting self-agency measure. Family Relations. 45(2), 216-222. https://doi.org/10.2307/585293
  51. Eisenberg, N., & Fabes, R. A.(1992). Emotion, 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M. S. Clark(Eds.),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Vol. 14), Emotion and social behavior(pp. 119-150). Newbury Park, CA: Sage.
  52. Feldman, R.(2011). Child development (6th ed.). Boston, MA: Pearson.
  53. Floyd, F., Gilliom, L. A., & Costigan, C. L.(1998). Marriage and the parenting alliance: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ange in parent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Child Devekioment, 69(5), 1461-1479.
  54. Goodnow, J. J., & Collins, W. A.(1990). Development acccording to parent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5. Gottman, J. M.(1997). Raising an emotionally intelligent child. New York: Simon & Schuster paperbacks.
  56. Gottman, J. M., & Nam Eun Yeong(2007).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 감정코치.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57.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1997). Meta-emotion: How families communicates emotionally.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58. Haight, W., Garvey, C., & Masiello, T.(1995). Playing with conflict: A longitudinal study of varieties of spontaneous verbal conflict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at home. Social Development, 4(1), 92-107. https://doi.org/10.1111/j.1467-9507.1995.tb00053.x
  59. Halberstadt, A. G.(1986). Family socializ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tyles and skills. Jou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4), 827-836. https://doi.org/10.1037/0022-3514.51.4.827
  60. Hoffman, M. L.(1983). Affective and cognitive processes in moral internalization. In E. T. Higgins, D. Ruble, & W. Hartup(Eds.), Social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A socio-cultural perspective(pp. 236-27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Kagan, S.(1995). The changing face of parenting education. ERIC Digest (EDO-PS-95-7).
  62. Klimes-Dougan, B., & Kopp, C.(1999). Children's conflict tactics with mother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toddler and preschool years. Merrill Palmer Quarterly, 45, 226-241.
  63. Levandt, R. F., & Doyle, G. F.(1983). An evaluation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fathers of school aged children. Family Relations, 32(1), 29-37. https://doi.org/10.2307/583976
  64. Mondell, S., & Tyler, F. B.(1981).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s of problem-solving play behavior with children. Developemental Psychology, 17(1), 73-78. https://doi.org/10.1037/0012-1649.17.1.73
  65. Recchia, H., Ross, H., & Vickar, M.(2012). Power and conflict resolution in sibling, parent-child, and spousal negotiation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4(5), 605-615. https://doi.org/10.1037/a0020871
  66. Salovey, P., & Mayer, J. D.(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 Sluyter, D.(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NY: Basic Books.
  67. Teti, O. M., & Gelfand, D. M.(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o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https://doi.org/10.2307/1131143

Cited by

  1.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의 조절효과 vol.17, pp.3, 2017,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