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spect on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Village by Delphi Method

귀농·귀촌 인구 전망과 정책 방향

  • Received : 2017.02.15
  • Accepted : 2017.03.22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village is one of the most hot social issues in Korea.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tried to make up a policy program, which aims to support for the urban residents to get appropriate informations and to make right decisions about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village. For the sparsely populated rural communities, this phenomena are some good opportunities for thei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government needs the resasonale prospect on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village, because their policy program should be made on the basis sound data and information. But, with the current data about returning to farming in Korea, it is impossible to make an econometrical model that can forecast the population who will return to farming and rural village. So, we tried a delphi method to sketch the future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village. The delphi panels gave us some prospects on the issues. They anticipated that the population of returning to farming will increase for the next five years. And, they recommended some policy directions.

Keywords

References

  1. 고성준. (2008). 귀농자의 실태와 안정적 정착을 위한 연구: 전라북도 귀농자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정섭. (2014). 귀농인의 사회.경제 활동과 함의. 농촌지도와 개발, 21(3), 53-89.
  3. 김정섭. (2015). 청년 귀농 정책의 방향. 경상북도 2015 귀농.귀촌 활성화 포럼 자료집. 경상북도.
  4. 김정섭, 임지은, & 박천수. (2012). 농어촌 지역의 인구. 산업.일자리 동향과 전망. 농업전망: 2012: 도농상생을 위한 농업.농촌 가치의 재발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김정섭, 김경덕, & 임지은. (2015). 농촌 지역의 사회적 경제 실태와 활성화 방안.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김정섭, 엄진영, & 유찬희. (2016). 일자리 없는 농촌, 할일 많은 농촌 - 농촌 지역의 고용 실태와 정책 방향. 농업전망 2016 - 급변하는 농업.농촌, 내일을 기획한다 (pp.353-376).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김정섭, & 김종인. (2016). 일본의 청년 신규 취농 지원정책과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23(2), 115-122.
  8. 김한종. (2016). 도농간 인구이동 현황과 시사점. 농촌지역 인구문제 세미나 자료집. 전주: 전북연구원.
  9. 농림축산식품부. (2014). 지난 해 귀농.귀촌 가구 사상 최고인 10,503가구, 23,415명. 보도자료.
  10. 농림축산식품부, 통계청, 해양수산부. (2016). 2015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보도자료.
  11. 농촌진흥청. (2016). 주말농장 참여 후 농업.농촌 이해도 높아졌어요. 보도자료(4월 12일자).
  12. 서규선.변재면. (2000). U턴 귀농자 장.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1), 137-153.
  13. 성주인, 임진영, 박유진, & 정규형. (2014). 농촌의 중장기 인구변화에 대응한 지역 활성화 과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성주인, & 채종현. (2012). 농어촌의 과소화 마을 실태와 정책 과제. KREI 농정포커스, 2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송미령, 김정섭, & 박주영. (2009). 농어촌 기초생활권의 전망과 정책 과제. 농업전망 2009(I) - 한국 농업.농촌, 도전과 새로운 희망 (pp. 423-449).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 우성호, & 이성근. (2015). 귀농.귀촌의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2(2), 101-116.
  17. 이민수, 박덕병. (2012). 도시민의 귀촌행태 유형화와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19(4), 1137-1170.
  18. 장민기, 이준우, 허재욱, 김혜민, 채상헌, 김기현, & 송기선. (2014). 귀농.귀촌 인구 정착실태 및 관련 정책 발전 방안.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9. 채종현, 박주영, & 김정섭. (2007). 농촌 지역의 인구 변화와 3차산업 분포, 농촌경제, 30(1), 109-127.
  20. 통계청. (2012). 2011년 국내인구이동 통계: 최근 10년간 수도원 인구이동. 보도자료.
  21. Bock, B. (2016). Rural marginalisation and the role of social innovation; A turn towards nexogenous development and rural reconnection. Sociologia Ruralis, 56(4), 552-573. https://doi.org/10.1111/soru.12119
  22. Falanigan, S., & Sutherland, L. (2016). Buying access to social capital? From collaboration to service provision in an agricultural co-operative. Sociologia Ruralis, 56(4), 471-490. https://doi.org/10.1111/soru.12092
  23. Halfacree, K., & Rivera, M. (2012). Moving to the countryside and staying: Lives beyond representations. Sociologia Ruralis, 52(1), 92-114. https://doi.org/10.1111/j.1467-9523.2011.00556.x
  24. Hodge, I., & Whitby, M.(1981), Rural employment: Trends, options, choices, London: Methuen.
  25. Sorensen, D. (1977). Reverse migration and th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blem. Wester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1(1), 49-55.
  26.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http://kosis.kr/).
  27.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28. 통계청. 귀농귀촌인통계(http://kosis.kr/).
  29. 통계청. 농림어업조사(http://kosis.kr/).
  30. 통계청. 인구총조사(http://kosis.kr/).
  31. 통계청. 전국지가변동률조사(http://kosis.kr/).
  32.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http://www.bigkinds.or.kr).

Cited by

  1. 청년 농업인 지원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사례 - vol.25, pp.3,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8.25.3.0161
  2. 일본 홋카이도 비라토리정의 신규취농 지원정책과 마을조직의 역할 vol.25, pp.4, 2018, https://doi.org/10.12653/jecd.2018.25.4.0211
  3. Life Satisfaction of Urban-to-Rural Migrants in South Korea - Income vs. Nature - vol.25, pp.4, 2017, https://doi.org/10.7851/ksrp.2019.25.4.065
  4.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통한 청년활동 정책방안 연구 - 충청남도 홍성군 사례 - vol.28, pp.1,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21.28.1.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