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환경의식 태도에 따른 사회적지지 추구와 의류제품 소비행동

Social Support Pursuit and Apparel Consumption Behavior by the Environment Awareness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 박은희 (경북대학교 가정교육과, 중등교육연구소)
  • Park, Eun-Hee (Dept. of Home Economic Education, Secondary Institute of Education,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2.18
  • 심사 : 2017.01.30
  • 발행 : 2017.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 thei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pursuit, and apparel consumption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36 college students living in Daegu City and Kyoungbuk province.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test, and t-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ttitudes had factors a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ssues,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public opinion legislation awareness, interests on eco-friendly product, and eco-friendly practice. Social support pursuit were found as marginal people support pursuit, emotional support pursuit, informational support pursuit, and problem-solving support pursuit. Apparel consumption behavior were found as planned purchase, social participation attitude, clothes recycling, life practice, low-price orientation, emphasis on designs, clothing-life practice, and consciousness over other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of Consumers of Environment-Awareness, Consumers of Environment-interests, Consumers of Environment-practice, and Consumers of Low Environment-awareness.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pursuit, and apparel consumption behavior.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ttitudes, social support pursuit, and apparel consumption behavior.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in a social context between environment recognition and social support pursuit related by friends. This study also offered a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social support pursuit by the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attitude and consumption on clothing, which is necessar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green consuming behavior.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윤승. (2011). 친환경상품에 대한 그린소비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9, 1-14.
  2. 강승호, 문은식, 차미영. (2011).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교육심리연구, 25(2), 277-293.
  3. 김관희, 이경희. (1997). 중학생의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4), 145-165.
  4. 김재문. (2002. 05. 29). 명품의 조건. LG 주간경제.
  5. 김윤호. (2015. 12. 30). 기업&CEO 기후변화가 초래한 식량난, 유전공학에 해답 있다. 자료검색일 2016. 2. 16, 자료출처 http://economy.donga.com/3/all/20151229/75625824/2
  6. 남미우. (2010). 대학생의 허영심 유형에 따른 가격태도와 소매점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2), 23-38. https://doi.org/10.6115/khea.2010.48.2.023
  7. 민윤희, 장성화. (2013).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아동교육, 22(3), 123-137.
  8. 민현선, 이기춘. (1999). 환경친화적 소비태도와 소비행동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7(1), 29-44.
  9. 박성연. (1998). 체계적 분석의 틀을 이용한 한국 녹색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12(3), 281-301.
  10. 박운아. (1997). 기혼여성의 환경친화적 소비자행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은희. (2013). 체면민감성이 허영심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1(4), 413-424.
  12. 박은희. (2016). 대학생의 소비가치가 환경의식 소비자태도와 환경 의생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8(4), 1-15.
  13. 배정숙, 조은영, 박은희. (2001). 성인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의복의 세탁관리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9(6), 1-13.
  14. 오경화, 김현숙. (2011).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자기관리, 외모만족도 및 유행의사선도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10), 71-79. https://doi.org/10.6115/khea.2011.49.10.071
  15. 오진숙, 김정숙. (2009).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와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10), 13-28.
  16. 유명의, 안혜자. (2001). 의복재활용 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4(1), 107-126.
  17. 이기춘, 여정성, 민현선, 양희. (1996).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제품에 대한 구매 의사. 소비자학연구, 7(1), 109-126.
  18. 이지은, 성희원. (2012). 그린패션제품 확산을 위한 한국과 영국 소비자 비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6(10), 1087-1099. https://doi.org/10.5850/JKSCT.2012.36.10.1087
  19. 이형권, 송성섭. (2012). 대학생들의 신체활동을 향상시키는 사회적지지의 역할.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1), 43-50.
  20. 장경문. (2005).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자기통제력이 학교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2(1), 1-16.
  21. 전윤희, 구인숙. (2013). 고등학교 학생들의 저탄소 녹색성장 인식과 친환경 의생활 태도. 패션비즈니스, 17(1), 42-63. https://doi.org/10.12940/jfb.2013.17.1.042
  22. 조은미. (2012).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행동에 관한 연구: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경영관리연구, 5(2), 49-76.
  23. 진병호. (1998). 의복구매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격(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2(3), 417-427.
  24. 최경하, 정순희, 신민경. (2010). 그린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11(1), 61-73.
  25. 최나영, 김문숙. (2000). 그린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와 행위적 특성분석. 복식, 50(1), 145-159.
  26. 최미경. (2014). 사회적지지가 남녀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52(6), 651-668.
  27. 최연실, 성미애. (2011). 저탄속녹색성장정책과 녹색생활양식, 가족에 대한 실천적 함의와 전망. 대한가정학회지, 49(1), 79-91. https://doi.org/10.6115/khea.2011.49.1.079
  28. 허경옥. (2007). 소비자구매행동유형에 따른 의류제품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23-36.
  29. 홍승범, 박혜경. (2013). 문화성향과 사회적지지. 한국심리학회지, 32(1), 125-150.
  30. Butler, S. M. & Francis, S. (1997). Effects of environmental attitudes on apparel purchasing behavior.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15(2), 325-337.
  31. Courneya, K. S. & McAuley, E. (1995). Reliabil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subjective norm, social support, and cohesion in an exercise setting.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7, 325-337. https://doi.org/10.1123/jsep.17.3.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