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Analysis on Private Security

민간경비에 대한 분류 분석

  • 조광래 (중부대학교 경찰경호학부)
  • Received : 2017.05.19
  • Accepted : 2017.06.1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gional clusters and discrimination on size and sector of private security in national 16 areas in 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us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can classify national 16 areas into 3 clusters, such as Large Area(1), Medium Area(2), and Small Area(3) according to the size of private security. The discriminant functions D for each cluster is as follows: (1) Large Area(1) = -383.981 + (.108 ${\times}$ number of security companies) + (.016 ${\times}$ number of guards), (2) Medium Area(2) = -35.570 + (.029 ${\times}$ number of security companies) + (.005 ${\times}$ number of guards), and (3) Small Area(3) = -5.381 + (.012 ${\times}$ number of security companies) + (.002 ${\times}$ number of guards). Second, we can classify national 16 areas into 3 clusters, such as Large Area(1), Medium Area(2), and Small Area(3) according to the sector of private security. The discriminant function D for each cluster is as follows: (1) Large Area(1) = -2224.402 + (-.562 ${\times}$ facilities security) + (1.245 ${\times}$ protection security) + (171.142 ${\times}$ convoy security) + (-2.722 ${\times}$ electronic security) + (2.020 ${\times}$ special security), (2) Medium Area(2) = -4.762 + (.052 ${\times}$ facilities security) + (.063 ${\times}$ protection security) + (-3.819 ${\times}$ convoy security) + (.110 ${\times}$ electronic security) + (-.165 ${\times}$ special security), and (3) Small Area(3) = -125.742 + (-.009 ${\times}$ facilities security) + (.432 ${\times}$ protection security) + (5.748 ${\times}$ convoy security) + (5.530 ${\times}$ electronic security) + (-.901 ${\times}$ special security).

본 연구는 2015년 기준으로 전국 16개 지역별 경비업체수(법인수), 경비원수 등 민간경비 규모, 그리고 시설경비, 신변보호, 호송경비, 기계경비, 특수경비 등 민간경비 업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군집분류 및 군집별 판별함수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 규모에 대한 전국 16개 지역별 군집분류는 대규모지역(1), 중규모지역 (2), 소규모지역(3) 등 3개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군집별 판별함수는 (1) 대규모지역(1)에 대한 판별함수 D = -383.981 + (.108${\times}$경비업체수) + (.016${\times}$경비원수), (2) 중규모지역(2)에 대한 판별함수 D = -35.570 + (.029${\times}$경비업체수) + (.005${\times}$경비원수), (3) 소규모지역(3)에 대한 판별함수 D = -5.381 + (.012${\times}$경비업체수) + (.002${\times}$경비원수)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둘째, 민간경비 업종에 대한 전국 16개 지역별 군집분류는 대업종지역(1), 중업종지역(2), 소업종지역(3) 등 3개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군집별 판별함수는 (1) 대업종지역(1)에 대한 판별함수 D = -2224.402 + (-.562${\times}$시설경비) + 1.245${\times}$신변보호) + (171.142${\times}$호송경비) + (-2.722${\times}$기계경비) + (2.020${\times}$특수경비), (2) 중업종지역(2)에 대한 판별 함수 D = -4.762 + (.052${\times}$시설경비) + (.063${\times}$신변보호) + (-3.819${\times}$호송경비) + (.110${\times}$기계경비) + (-.165${\times}$특수경비), (3) 소업종지역(3)에 대한 판별함수 D = -125.742 + (-.009${\times}$시설경비) + (.432${\times}$신변보호) + (5.748${\times}$호송경비) + (5.530${\times}$기계경비) + (-.901${\times}$특수경비)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비업법(법률 제13814호, 시행 2016.1.26.).
  2. 경찰청 (2011). 2011 경찰백서.
  3. 경찰청 (2012). 2012 경찰백서.
  4. 경찰청 (2013). 2013 경찰백서.
  5. 경찰청 (2014). 2014 경찰백서.
  6. 경찰청 (2015). 2015 경찰백서.
  7. 경찰청 (2016b). 2016 경찰백서.
  8. 경찰청 (2016b). 2015 경찰통계연보.
  9. 조광래 (2016). 민간경비 관련 사업체에 대한 탐색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5(5), 한국민간경비학회, 119-146.
  10. 주일엽 (2016). 민간경비에 대한 지역별 군집분석.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5(5), 한국민간경비학회, 169-196.
  11. Kevin, S., Marcus, B., Bonnie, S., Kelle, B., Crystal, D., Nicole, H., Susan, K. (2010).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A Review of the Definitions, Available Data Sources, and Paths Moving Forward. RTI International.
  12. North Carolina Military Foundation. (2009). The 2009 North Carolina Defense Asset Inventory and Target Industry Cluster Analysis A Strategy for Growing North Carolina's Defense and Homeland Security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