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ight-Turn Traffic Opera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신호교차로에서 우회전교통류 운영방안

  • KIM, Youngcha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 KWON, Minyoung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김영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권민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right-turn opera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suggest appropriate right-turn operation strategy. From field investigation, right-turn signals have not only operated various type and shape, lacking of consistency, but also there was no clear regulations or standards. It could increase drivers' confusion and cause vehicle-to-pedestrian accidents. In order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there is urgent need to study the regulations and standards regarding to right-turn traffic control. This study suggests appropriate right-turn signal operation strategy. In case of permissive right-turn operation, it should be stated on regulations that red light means right-turn vehicles must stop temporarily at the stop line and then turn right. Necessary conditions for installing right-turn signal for protected operation are that there should have one or more exclusive right-turn lanes and right-turn signal face should contain the lenses with three-color arrow indication. In addition, we assort right-turn operation types as permissive, protected and protected/permissive right-turn and suggest specific signal operation strategy by the typ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신호교차로에서의 우회전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적절한 우회전 운영 방안을 정립 및 제시하는데 있다. 현장 조사 결과 국내 우회전 전용 신호등은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관련 규정이나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또한 우회전 신호등에서 사용하는 적색신호의 의미가 도로교통법 상에 명시된 적색 원형 등화의 의미에 위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고 이에 따른 사고 발생의 위험도 존재한다. 국내는 기존에 적신호시 우회전을 허용함으로서 우회전 운영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최근 우회전 교통류에 대한 제어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관한 제도 및 운영 방안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회전 운영과 관련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고 해외 여러 국가의 우회전 운영 관련 지침을 검토하여 국내 우회전 운영방안을 정립하고 제시한다. 우회전 비보호 운영시에는 적색 신호의 의미를 우회전 차량에 대하여 일단 정지 후 진행할 수 있도록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회전 보호 운영을 위한 우회전 신호등 설치 시 우회전 전용차로가 하나 이상 확보된 경우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기존 신호등과 우회전 신호등의 차별성을 위하여 삼색 화살표 신호등을 우회전 전용 신호등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우회전 운영방안을 비보호, 보호, 보호 비보호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ustroads (2003), Guide to Traffic Engineering Practice Series 7, Austrailia, 23-46.
  2. Du Y., Yu S., Zhang X., Bai Y. (2015), Prohibited-Permitted Right-turn Phasing Strategy Based on Capacity Analysis of Right-turn Movements, Elsevier, 457-479.
  3. FHWA (2008), Traffic Signal Timing Manual, United State, 4-20.
  4. FHWA (2010),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United State, 474-488.
  5. Lee N. S., Kim Y. C., Lim J. B., Kim Y. C. (2015), Right-Turn Vehicle Supplementary Signal Improvement at Intersections, J. Korean Soc. Transp., 33(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441-448. https://doi.org/10.7470/jkst.2015.33.5.441
  6. Lee S. H. (2014), Guidelines for Traffic Signal Control, Chungmungak, 20-22.
  7. Lichtzeichenanlagen für den Strasenverkehr (2010), RiLSA: Richtlinien fur Lichtsignalanlage, Germany.
  8. Lim Y. J., Kim D. K. (2013), An Analysis of Right-turn Treatment Considering for Traffic Conflicts and Delay at Intersections,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20(3), 65-81.
  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2016), The Road Traffic Laws, Korea.
  10. Ministry of Land of Japan (2007), Manual on Traffic Signal Control, Japan, 104-117.
  11. Road Traffic Authority (2010), Right-turn Traffic Lights Operation Strategy, 7-15.
  12. The Seoul Institute (2015), Traffic Operation Strategy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30-110.
  13. Yoon H. C., Che J. S. (2006), A Study of How Secondary Traffic Lights Are Used to Direct Right-turning Cars on at Intersections,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master's thesis.
  14. Ziwen L., Ying N., Keping L. (2013), Analysis of Conflicts Between Right-turn Vehicles and Pedestrians Under Different Right-turn Control Schemes: A comparative study, ICTIS, 206-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