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mobile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voluntary problem solving of disabled persons and families

장애인과 가족의 자발적 문제해결증진을 위한 모바일 상담 프로그램 개발

  • 조남옥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 조규락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 Received : 2017.04.19
  • Accepted : 2017.05.28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the Mobile Disabilities Family Counseling (MDFC) application as a tool to voluntarily solve problems that disabilities family faces in every day lif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To do so, counseling contents were designed and the MDFC application was developed based on ADDIE, an educational program model. Contents consisted of the results of need analysi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and extracted literature review. The MDFC developed has follow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1)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MDFC and solve real problems and intrinsic ones; 2) chatting counseling of the MDFC allows client to choose his/her time and chatting program; 3) the MDFC and confirms client's objective data in mobile counseling by connecting and recommending online psychological tests of counselor. The effectiveness of the MDFC contained high satisfaction rate in contents, counseling procedure, problem solving, manual, recommendation, information gathering and showed high level of counseling access. These results of the study also suggest useful development ideas for future mobile counsel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과 가족이 생활전반에서 오는 문제를 자발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서 모바일 상담(MDFC)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여 효과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모형(ADDIE)을 기반으로 상담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장애인과 가족의 요구조사 내용과 상담 프로그램의 선행연구에서 추출하여 구성하였다. 개발된 상담 프로그램의 특징은 첫째, 장애인과 가족이 언제 어디서나 상담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현실적인 문제나 내재화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개발된 상담 프로그램의 채팅상담은 내담자의 시간과 채팅 프로그램 선택의 자율성이 주어진다. 셋째, 개발된 상담 프로그램은 상담자의 온라인 심리검사 추천과 연계로 모바일 상담에서도 내담자의 객관적인 자료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개발된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내용구성, 상담절차, 고민해결, 사용설명서, 추천, 정보수집의 만족도가 높았고 상담만족도, 상담접근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모바일 상담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2014 모바일무선인터넷이용실태조사_최종보고서.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2. 전은주․천성문․이영순 (2013). 저자동시인 용분석을 통한 상담학의 지적 구조 분석. 상담학연구, 14(1). 461-480.
  3. 보건복지부 (2016). 2016년 장애인 등록현황. 서울: 보건복지부
  4. 정청자 (1989). 장애아 가정의 긴장과 적응에 관한 일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5. 장애인복지법 제2조 제1항.
  6. 최미숙 (2011). 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경험과 상담요구에 대한 질적연구. 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7. 이장호 (1982). 상담심리학. 서울: 박영사
  8. 박성희 (2001). 상담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학지사
  9. 유영준․이명희․백은령․최복천 (2011). 장애아동․청소년 가족의 양육부담 및 가족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 10(1), 209-234.
  10. 이정미 (2013). 긍정개입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서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장애아동인권연구, 4(2), 63-80.
  11. 정대영․최정아 (2010).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심리적 안녕감 비교. 정서.행동장애연구, 26(3), 319-343.
  12. 이태욱․정재훈 (2013).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 적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7(2), 87-90.
  13. 송승훈․박두순․홍민 (2008). 시각장애인 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1(2), 45-53.
  14. 이영주․임새미․최유진․문봉희 (2015) 청각장애인을 위한 발음교정 모바일 앱-See&Speech.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9(4), 11-18.
  15. 김창대 (2003).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 의 개발과 평가. 한국청소년상담원편저. 청소년집단상담(pp.76-107).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6. 한정선 (2004). 교육공학: 인포맵을 통해 찾아 본 뿌리와 줄기. 서울: 교육과학사.
  17. 조규락 (2012). 고등학생의 모바일 러닝 실태 및 인식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6), 53-64.
  18. Sussman, P.(2001).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Behavior: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 Sage.
  19. 이가람․김정은․구성우․안원주․조규락 (2016).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자기주도학습 수학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3), 21-34.
  20. 이재인 (2003). 웹기반 사이버상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정보시스템연구, 12(2), 21-39.
  21. 윤명희․강성빈․성낙운․김학룡(2002). 오프라인 상담과 웹 상담의 비교연구. 교육학연구, 40(5), 181-205.
  22. Kirpatrick, D. L.(1998).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Francisco. CA:Berret-Koehler.
  23.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1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