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evelopment of mobile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voluntary problem solving of disabled persons and families  

Cho, NamOk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Cho, KyooLak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20, no.3, 2017 , pp. 47-5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the Mobile Disabilities Family Counseling (MDFC) application as a tool to voluntarily solve problems that disabilities family faces in every day lif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To do so, counseling contents were designed and the MDFC application was developed based on ADDIE, an educational program model. Contents consisted of the results of need analysi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and extracted literature review. The MDFC developed has follow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1)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MDFC and solve real problems and intrinsic ones; 2) chatting counseling of the MDFC allows client to choose his/her time and chatting program; 3) the MDFC and confirms client's objective data in mobile counseling by connecting and recommending online psychological tests of counselor. The effectiveness of the MDFC contained high satisfaction rate in contents, counseling procedure, problem solving, manual, recommendation, information gathering and showed high level of counseling access. These results of the study also suggest useful development ideas for future mobile counseling programs.
Keywords
People with Disabilities; Counseling for the Disabilities; Mobile Counseling;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2014 모바일무선인터넷이용실태조사_최종보고서.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2 전은주․천성문․이영순 (2013). 저자동시인 용분석을 통한 상담학의 지적 구조 분석. 상담학연구, 14(1). 461-480.
3 보건복지부 (2016). 2016년 장애인 등록현황. 서울: 보건복지부
4 정청자 (1989). 장애아 가정의 긴장과 적응에 관한 일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5 최미숙 (2011). 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경험과 상담요구에 대한 질적연구. 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6 이장호 (1982). 상담심리학. 서울: 박영사
7 박성희 (2001). 상담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학지사
8 유영준․이명희․백은령․최복천 (2011). 장애아동․청소년 가족의 양육부담 및 가족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 10(1), 209-234.
9 이정미 (2013). 긍정개입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서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장애아동인권연구, 4(2), 63-80.
10 정대영․최정아 (2010).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심리적 안녕감 비교. 정서.행동장애연구, 26(3), 319-343.
11 이태욱․정재훈 (2013).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 적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7(2), 87-90.
12 송승훈․박두순․홍민 (2008). 시각장애인 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1(2), 45-53.
13 장애인복지법 제2조 제1항.
14 이영주․임새미․최유진․문봉희 (2015) 청각장애인을 위한 발음교정 모바일 앱-See&Speech.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9(4), 11-18.
15 김창대 (2003).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 의 개발과 평가. 한국청소년상담원편저. 청소년집단상담(pp.76-107).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6 한정선 (2004). 교육공학: 인포맵을 통해 찾아 본 뿌리와 줄기. 서울: 교육과학사.
17 조규락 (2012). 고등학생의 모바일 러닝 실태 및 인식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6), 53-64.
18 Sussman, P.(2001).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Behavior: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 Sage.
19 이가람․김정은․구성우․안원주․조규락 (2016).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자기주도학습 수학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3), 21-34.
20 이재인 (2003). 웹기반 사이버상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정보시스템연구, 12(2), 21-39.
21 윤명희․강성빈․성낙운․김학룡(2002). 오프라인 상담과 웹 상담의 비교연구. 교육학연구, 40(5), 181-205.
22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1조.
23 Kirpatrick, D. L.(1998).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Francisco. CA:Berret-Koeh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