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Naeil Chaeum deduction system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 total of 159 small to medium-sized enterprise workers participated in the deduction for Naeil Chaeu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0, which includ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ost analysis. First, the suitability of the method of the Naeil Chaeum deduction system has the highest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Second, the correlation of job satisfaction after filling in Naeil Chaeum deductions showed that fitness (p <.01, ${\beta}=.307$) and efficiency (p <.01, ${\beta}=.296$)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cademic ability of the workers who were enrolled in Naeil Chaeum deduction system was analyzed that professional college graduates (2.08) were higher than job college graduates (1.99).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Fill - Down System on the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quality of life, job satisfaction, and muscle strength, analyz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And helping to stabilize the work life,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본 연구는 내일채움공제 제도가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은 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한 중소기업 근로자로 총 159명이며, 분석 자료는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및 사후분석을 포함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내일채움공제 제도 요인 중 방법의 적합성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높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일채움공제 가입 후 업무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적합성(p<.01, ${\beta}=.307$)과 효율성(p<.01, ${\beta}=.296$)이 업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일채움공제 제도에 가입한 근로자의 학력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분석은 전문대졸(2.08)이 대졸(1.99) 보다 직무만족도에 더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는 내일채움공제 제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삶의 질, 업무만족도, 근속성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근로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을 알아보고 내일채움공제 제도가 고용유지 및 직장 생활안정에 도움을 주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그 효과성을 검증 했다는데 연구의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