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ritical Review on Open, Useful, Reusable Government Data Index by OECD with Level of Domestic Open Government Data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Open Data Barometer

국내 공공데이터 개방수준을 통해서 본 OECD의 Open, Useful, Reusable Government Data Index에 대한 비판적 논의: Open Data Barometer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서형준 (인하대학교 글로벌e거버넌스학과)
  • Received : 2017.04.02
  • Accepted : 2017.06.12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In 2015, Korea won the first place among 30 countries in Open, Useful, and Reusable (OUR) Data Index, which is an OECD's open government data indicator. On the other hand, Korea was ranked the 17th among 86 countries in Open Data Barometer (ODB) of World Wide Web Found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 subject comes from two reasonable academic doubts on why the gap is wide between the two indicators of Korea and whether the OUR Data Index made proper evaluation on Korea's open government data.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may be some critical points in the measuring method of OUR Data Index, the study conducted a comparison of the two indicators. The result found that first, the two indicators almost had no correlation to each other; second, OUR Data Index had a more vague evaluation framework as well as less amount of government data for evaluation than ODB; third, while the government support takes a significant share in the OUR Data Index, it is considered as a mere input element; and fourth, the OUR Data Index does not evaluate the impact of open government data, whereas ODB includes the impact of open data on the government, economy, and society.

한국은 2015년 OECD에서 발표한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인 OUR Data Index에서 30개국 중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나 같은 해 발표된 WWW 재단의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인 ODB에서는 86개국 중에서 17위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두 지표의 괴리된 평가결과와 OUR Data Index가 실제 한국의 공공데이터 개방수준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한 학술적 의구심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OUR Data Index의 국가 간 공공데이터 평가방식에 문제점이 있다고 보고 ODB와의 비교를 진행하였다. 두 지표에 대한 비교결과, 첫째, OUR Data Index와 ODB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두 지표는 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OUR Data Index는 ODB와 비교해서 평가체계가 모호하고, 평가 공공데이터도 부족하였다. ODB는 평가하는 공공데이터의 종류도 더 많고, 평가방식도 다양하였다. 셋째, OUR Data Index는 정부지원 항목이 평가지표상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것은 투입요소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ODB는 이와 유사한 준비도라는 항목이 있으나 정부만이 아닌 다른 이해관계자의 역량도 평가한다는 차이가 있다. 넷째, OUR Data Index는 공공데이터 개방에 따른 효과에 대한 평가항목은 없었다. 반면 ODB는 정부, 경제, 사회 등 세 분야에 대한 공공데이터 개방의 파급효과를 하위항목으로 구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건 (2016). "한국의 공공데이터 개방의 법제와 쟁점." 행정법연구, (47): 1-27.
  2.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2016). 데이터로 국민과 기업이 풍요로운 디지털 사회 제2차('17-'19) 공공데이터 기본계획. 제8회 공공데이터전략 위원회 회의자료, 12월 15일.
  3. 김선호.이창수.정승호.김학철.이창수 (2015). "공공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조직 성숙도 평가 모델." 정보화정책, 22(1): 28-46. https://doi.org/10.22693/NIAIP.2015.22.1.028
  4. 김윤명 (2016).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규범적 논의와 법정책적 대응." 정보화정책, 23(4): 24-37. https://doi.org/10.22693/NIAIP.2016.23.4.024
  5. 김현철.김광용 (2015). "공공데이터 품질 요인이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4(1): 53-68. https://doi.org/10.9716/KITS.2015.14.1.053
  6. 서형준 (2017). "공공데이터 개방에 관한 실증연구: ODB와 OUR Index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24(1): 48-78. https://doi.org/10.22693/NIAIP.2017.24.1.048
  7. 서형준.명승환 (2014). "수요자 중심의 공공 데이터 민간 활용 방안: 민간부문 정보통신 담당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3): 61-86.
  8. 송인국 (2015). "인터넷기반 공공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혜택, 기회, 비용, 그리고 위험요소 관점 에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6(4): 131-139. https://doi.org/10.7472/jksii.2015.16.4.131
  9. 송효진.황성수 (2014). "정부 3.0 추진에 따른 공공데이터 개방과 지방정부의 방향성 모색: 공공데이터법에 관한 이해와 개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2):1-28.
  10. 안전행정부 (2014). 정부3.0 길라잡이, 서울: 안전행정부
  11. 이현정.남현정 (2014). "우리나라 공공데이터의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연구: 링크드 오픈 데이터화 전략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4): 249-266.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249
  12. 채승병 (2013). 스마트 뉴딜: 공공데이터 개방과 기업의 활용. CEO Information, 제907호,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공공데이터 민간 개방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오픈데이터 플랫폼과 국가 데이터 전략방향." IT&Future Strategy, 제16호,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5. 한은영 (2015). "글로벌 국가들의 공공 데이터 개방(Open Data) 현황 및 시사점: 오픈데이터지수를 중심으로." 정보통신방송정책, 27(4): 25-46.
  16. 행정안전부.문화체육관광부.방송통신위원회 (2010). 공공정보 민간활용 촉진 종합계획(안).
  17. 행정자치부 (2015). 대한민국, OECD가 발표한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에서 1위 달성, 행정자치부 보도자료, 7월 7일.
  18. 행정자치부 (2016). 가상현실 등 신산업 분야 공공데이터 개방 본격 확대: 행자부, 제2차 공공 데이터 3개년 기본계획 확정.발표. 행정자치부 보도자료, 12월 20일.
  19. 현미환.이혜진.김혜선.박진호 (2014). "개방형 데이터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현황 분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식리포트. 42.
  20. 홍필기.윤상오.방민석 (2007). "공공정보자원의 상업화 모델 개발 및 적용방안." 정보화정책, 14(3): 54-80.
  21. 황주성 (2015). "전자정부가 공공데이터 개방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제도적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8(2): 1-28.
  22. 황주성 (2016).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효과에 대한 분석, 선형 모델인가 생태계 모델인가."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9(2): 1-28.
  23. Bates, J. (2014). "The strategic importance of information policy for the contemporary neoliberal state: the case of Open Government Data in the United Kingdom."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1(3): 388-395. https://doi.org/10.1016/j.giq.2014.02.009
  24. G8 Summit. (2013). G8 Open Data Charter and Technical Annex.
  25. Janssen, M., Charalabidis, Y. & Zuiderwijk, A. (2012), "Benefits, adoption barriers and myths of open data and ope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29(4): 258-268. https://doi.org/10.1080/10580530.2012.716740
  26. Janssen, M. & van den Hoven, J. (2015). "Big and Open Linked Data (BOLD) in government: A challenge to transparency and privacy?"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2(4), 363-368. https://doi.org/10.1016/j.giq.2015.11.007
  27. Meng, A. (2014). "Investigating the Roots of Open Data's Social Impact." Journal of eDemocracy and Open Government, 6(1): 1.13. https://doi.org/10.29379/jedem.v6i1.288
  28. OECD (2015). Government at Glance 2015.
  29. Ubaldi, B. (2013), "Open Government Data: Towards Empirical Analysis of Open Government Data Initiatives." OECD Working Papers on Public Governance, No. 22, OECD.
  30. UN (2014). A World that Counts: Mobilising the Data Revolu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31. WWW Foundation. (2015). Open Data Barometer Global Report Second Edition.
  32. Yannoukakou, A. & Araka, I. (2014). "Access to government information: Right to information and open government data synerg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47: 332-340. https://doi.org/10.1016/j.sbspro.2014.07.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