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llenges and Directions for Reforming Public Records and Archives Act in Korea

공공기록물법 개정을 위한 방향과 과제

  • 현문수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7.10.19
  • Accepted : 2017.10.26
  • Published : 2017.10.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task areas which have to be discussed for reforming of the Public Records and Archives Act in Korea. For drawing the task areas, it analysed the pending issues mainly presented in the policy forums co-hosted by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and Korean Association of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and examined researches providing tasks of revising of the law or rebuilding public records policies related in digital records management. The 4 task areas were identified, which were the exhaustive documentation of the public agencies' activities, the reexamination of the appraisal systems for public records and archives, the transition into the 2nd generation-digital records management, and the redefinition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records/archival institutions. Then it placed the issues into the 4 areas, and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iscussions in each tasks. Reminding that the task areas proposed in this study are not comprehensive, further suggestions and arguments will be expected for reforming the Public Records and Archives Act.

이 연구는 향후 전면적인 공공기록물법 개정을 위해 논의되어야 하는 주요 과제 영역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진행된 기록공동체 내의 현안 진단과 최근의 법령 개정 및 기록관리 체제와 관련된 연구를 바탕으로 과제 영역을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최근의 논의를 다시 정리하였다. 철저하고 투명한 공공업무 기록화, 국가 기록평가체계의 전면적 재검토, 2세대 전자기록관리체제로의 전환, 기록관리기관의 역할과 책임 재정의 등 4개 과제 영역이 도출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진행된 논의와 향후 풀어야 할 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제안한 과제와 방향을 포함하여 법령 개정을 위한 과제 논의 각각은 큰 주제이며, 모든 과제를 포괄하지도 않는다. 더욱 다양한 과제가 제기되고 이를 세분하고 연계하면서 과제를 풀어나갈 방향성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 2010. 11. 8. 총리실, '디가우저' 사용...'사찰' 수십만건 지웠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11082224005&code=.
  2. 곽건홍. 2017. 3. 11. '해체와 재구성'-차기 정보의 역사.기록 분야 조직 개혁 방향. 한국기록학회-한국전문가협회 정책포럼(제113회 한국기록학회 월례발표회) 발표자료, 덕성여대 종로캠퍼스, 서울.
  3. 국가기록원. 2011. 기록물 보존기간 준칙 작성 절차 및 운영 지침[NAK/A 15: 2011(v1.0)]. 대전: 국가기록원.
  4. 국가기록원. 2015. 8. 12. 공공기록물법 개정 공개설명회 설명자료. 국가기록원 서울기록관, 성남.
  5. 국가기록원. 2015. 9. 8.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 입법예고 의견 검토결과 회신[공문]. 대전: 국가기록원.
  6. 국가기록원. 2017. 정부기관 기록정보 공유 업무효율 향상 기대. e-기록속으로, 72. http://theme.archives.go.kr/next/pages/new_newsletter/2017/html/vol_72/sub03_2.html.
  7. 권도균. 2017. 5. 13. 현재의 기록관리 체계중 변화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의견 및 제안. 한국기록학회-한국전문가협회 정책포럼(제115회 한국기록학회 월례발표회) 발표자료, 덕성여대 종로캠퍼스, 서울.
  8. 서울중앙지방법원. 2013. 2013고합1232 제30형사부 판결.
  9. 손주연. 2016. 공공기관 전자기록물 민간 시설 보존에 관한 쟁점. 이슈와 논점, 1120. http://www.nars.go.kr/brdView.do?brd_Seq=18129&currtPg=26&cmsCd=CM0018&category=a4&src=&srcTemp=&pageSize=10.
  10. 김익한. 2016. 11. 12. 다시 대통령기록이다: 2016 기록현안 토론회 플로어 토론, 덕성여대 종로캠퍼스, 서울.
  11. 김장환. 2016. 국회 기록관리 실태와 개선방향. 최순실 사태와 대통령기록 자료집, 49-52.
  12. 명지대학교 디지털 아카이빙연구소. 2017. 차세대 기록관리 모델 재설계 : 제2차 워크숍 발표자료. 대전: 국가기록원.
  13. 박성진. 2017. 형사사건 기록 편철보존기간 책정 개선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189-205.
  14. 서혜란. 2009. 한국 공공기록관리 정책의 연대기적 검토.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89-214.
  15. 설문원. 2013.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16. 설문원. 2017. 국가기록관리기구의 권한과 권위, 그리고 분권화. 국가기록관리 기구 독립성 확보를 위한 토론회 자료집, 15-25.
  17. 설문원. 2017. 3. 11. 한국기록학회-한국전문가협회 정책포럼(제113회 한국기록학회 월례발표회) 토론, 덕성여대 종로캠퍼스, 서울.
  18. 송정숙. 2015. 토론 발표자료. 공공기록물법 개정 공청회, 22-23.
  19. 안병우, 이상민, 심성보, 남경호, 김진성, 오동석, 정태영. 2012. 한국 공공기록관리의 쟁점과 전망 - 2013년 기록관리체제를 위하여. 기록학연구, 34, 3-28.
  20. 안세기. 2015. 토론 발표자료. 공공기록물법 개정 공청회, 27.
  21. 안전행정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 2015. 법안심사자료: 행정자치부 소관[국가기록원]. 서울: 제337회국회(정기회).
  22. 양광완. 2015. 토론 발표자료. 공공기록물법 개정 공청회, 25.
  23. 양은영. 2017. 5. 13. 현장 없는 공공기록물법에 대한 기록관의 고민. 한국기록학회-한국전문가협회 정책포럼(제115회 한국기록학회 월례발표회) 발표자료, 덕성여대 종로캠퍼스, 서울.
  24. 이광철. 2016. 최순실 사태를 통해 본 대통령기록물 관리의 법적문제점. 최순실 사태와 대통령기록 자료집, 25-35.
  25. 이상민. 2017. 3. 11. 국정 거버넌스의 거시적 기록화를 위한 대통령기록의 생산 관리. 한국기록학회-한국전문가협회 정책포럼(제113회 한국기록학회 월례발표회) 발표자료, 덕성여대 종로캠퍼스, 서울.
  26. 이세진. 2017. 5. 13. 기록관에서의 제도.업무기능 개선 방안. 한국기록학회-한국전문가협회 정책포럼(제115회 한국기록학회 월례발표회) 발표자료, 덕성여대 종로캠퍼스, 서울.
  27. 이소연. 2015. 토론 발표자료. 공공기록물법 개정 공청회, 19-21.
  28. 이승억. 2013. 한국 공공기록 평가선별제도 개선방안 - 기준실행의사결정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3-44.
  29. 이승억. 2014. 동시대 기록화를 지향한 보존기록 평가선별에 관한 제언. 기록학연구, 42, 185-211.
  30. 이승억. 2015. 전자기록 관리정책 전환을 위한 재검토 - 보존포맷.보존매체.관리체계를 중심으로. 기록인, 32, 22-29.
  31. 이승억. 2017. 6. 17. 차세대 전자기록관리체계 재설계를 위한 방안 모색. 한국기록학회-한국전문가협회 정책포럼(제116회 한국기록학회 월례발표회) 발표자료, 덕성여대 종로캠퍼스, 서울.
  32. 이승억, 설문원. 2017.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2, 5-37.
  33. 이영곤. 2015a. 토론 발표자료. 공공기록물법 개정 공청회, 24.
  34. 이영곤. 2015b.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기록관리의 위험요인과 대처방안. 기록인, 32, 40-45.
  35. 이영남. 2017. 박근혜 정부의 국가기록관리 평가와 전망. 박근혜정부의 기록관리.정보공개를 평가한다 자료집. 36-58.
  36.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기록관리혁신전문위원회. 2005. 국가기록관리혁신 로드맵.
  37. 전일. 2015. 토론 발표자료. 공공기록물법 개정 공청회, 26.
  38. 전자신문. 2015. 10. 14. 2017년부터 공공기록물 민간저장 허용. http://www.etnews.com/20151014000072.
  39. 조민지, 이영남. 2017. 민주주의 관점으로 본 국가기록관리체계 평가와 전망. 기록학연구, 53, 5-43.
  40. 최재희. 2014.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53-175.
  41. 최재희. 2016. 최근사태와 대통령 기록물에 대한 몇 가지 단상. 최순실 사태와 대통령기록 자료집, 15-21.
  42. 하승수. 2016. 세월호 진상규명, 청와대 기록관리, 정보공개 실태를 전면 개혁해야. 최순실 사태와 대통령기록 자료집, 36-48.
  43. 현문수. 2016. 11. 12. 다시 대통령기록이다: 2016 기록현안 토론회 플로어 토론, 덕성여대 종로캠퍼스, 서울.
  44. 현문수. 2017. 공공 기록의 처분 동결 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기록학연구, 53, 261-293.
  45. 현문수, 정상희, 박민영, 황진현, 이소연. 2017.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 개정을 위한 면담 연구. 기록학연구, 51, 279-306.
  46. JTBC 뉴스. 2017. 10. 12. 박근혜 청와대 세월호 첫 보고시점 '30분 뒤로' 조작.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533459.
  47. Cumming, Kate & Picot, Anne. 2014. Reinventing appraisal. Archives & Manuscripts, 42(2), 133-145. https://doi.org/10.1080/01576895.2014.926824
  48. LAC. 2014. Appraisal methodology: Macro-appraisal and functional analysis-part a: concepts and theory. Retrieved October 3. 2017 from http://www.bac-lac.gc.ca/eng/services/government-information-resources/disposition/records-appraisal-disposition-program/Pages/appraisal-methodology-part-a-concepts-theory.aspx.

Cited by

  1. 차세대 기록관리를 위한 법체계 개선방안 연구 vol.55, pp.None, 2018, https://doi.org/10.20923/kjas.2018.55.275
  2. 기록물관리기관 소요 인력 산출 기준에 관한 연구 vol.62,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9.6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