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ing Factors on the Increase in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with Data Mining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 상승의 예측요인

  • Received : 2017.01.19
  • Accepted : 2017.03.29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ing factors on the increase in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with the sample from KYPS data. The results of the Decision Tree model revealed that: (1) Neighbor supervision, self-belief, parent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peer attachment were significant for the increase in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2) Neighbor supervision, class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or male students' increase in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3) Optimistic disposition,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were significant for female students' increase in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aningful factors and their divers interac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methods and programs for regulating and preventing the increase in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에서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 상승을 예측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 패널조사(KYPS)의 초 4패널의 3차년도(초등학교 6학년; 총 2331명, 남: 1236명, 여: 1095명) 자료와 5차년도(중학교 2학년; 총 2331명, 남: 1236명, 여: 1095명) 자료를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트리를 하였다. 그 결과, 전체 학생들은 이웃감독, 자기신뢰, 부모애착, 생활만족도, 또래애착이, 남학생은 이웃감독, 수업참여도, 여가활동이, 여학생은 낙관적 성향, 교사애착, 또래애착이 조합되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 상승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 상승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 및 조건들을 이해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중재하는 데 고려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Festl, R., Scharkow, M., & Quandt, T. (2013). Problematic computer game use among adolescents, younger and older adults. Addiction, 108, 592-599. https://doi.org/10.1111/add.12016
  2. Griffiths, M. D. (2000). Does internet and computer "addiction" exist? Some case study evidence. CyberPsychology & Behavior, 3, 211-218. https://doi.org/10.1089/109493100316067
  3. 이경님 (2004).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이 아동의 게임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4), 99-118.
  4. 조남근.양돈규 (200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인터넷 증독경향 및 인터넷관련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1), 91-111.
  5. Armstrong, L., Philips, J., & Saling, L. (2000).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53, 537-550. https://doi.org/10.1006/ijhc.2000.0400
  6. 김세진, 김교헌, 최훈석 (2011). 청소년 고위험 게임사용의 발현과 이후 변화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4), 759-781.
  7. 윤명숙, 송행숙 (2011). 중학생의 충동성과 인터넷게임 중독관계에서 부모, 친구, 교사 애착변인들의 매개효과검증. 사회과학연구, 27(1), 227-253.
  8. Young, K. S. (1996).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1(3), 237-244. https://doi.org/10.1089/cpb.1998.1.237
  9. Berry, M. J., & Linoff, G. S. (2004). Data mining techniques for marketing, sales,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MA: Wiley Publishing.
  10. 이주리 (2009). Data Mining을 이용한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 탐색. 아동학회지, 30(1), 11-25.
  11. 김완섭, 이수원(2006).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설문조사의 심층 분석. 공학교육연구, 9(4), 71-82.
  12. 정영호 (2011).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이용과 공격성 그리고 실제 비행에 관한 연구: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8(1), 89-125.
  13. 홍세희.노언경 (2013). 남자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이용시간 변화형태에 대한 잠재계층 추정 및 비행형태와의 관련성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4(4), 119-148.
  14. Witten, I. H., & Frank, E. (2005). Data mining: Practical machine learning tools and techniques. San Francisco, MA: Morgan Kaufmann.
  15. Griffiths, M. D., & Hunt, N. (1998). Dependence on computer games by adolescents. Psychological Report, 82(2), 475-480. https://doi.org/10.2466/pr0.1998.82.2.475
  16. 이숙.남은주 (2004).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인터넷 사용에 따른 인터넷 중독. 대한가정학회지, 42(3), 1-16.
  17. 이혜주.정의현 (2012). 의사결정트리 기반의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유형별 관련 변수 추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2), 9-18.
  18. Ryan, R. M., Stiller, J. D., & Lynch, J. H. (1994). Representations of relationships to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as predic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4(2), 226-249. https://doi.org/10.1177/027243169401400207
  19. 조한익 (2011).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3(4), 269-287.
  20. 백혜정(2007). 자아통제, 자기신뢰 및 교사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357-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