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ew works obtained by the combination of prints and various media

판화와 다양한 매체와의 결합으로 얻어지는 새로운 작품에 관한 고찰

  • Received : 2017.02.01
  • Accepted : 2017.03.05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Printmaking is a field of fine arts and is placed on a vague boundary that is perceived as a commercial product with a popular character due to the speciality of editions. Advances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developed a new technique of printmaking, and the fusion of printmaking and computer has shown the possibility of reproduction art. Reproduction printmaking has been heavily influenced by photography and extended areas, and the various forms of printing have brought about many changes and attempts by stimulating the possibilities of indirect art at various angles. As the history of printmaking and technology closely relate, the development of computer makes widespread expansion of plural artistry, technological and artistic change. A new conceptual shape can be created on the copied image simply by placing the material of the print on the smoothly flat surface expressed in digital form.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such work show the area of unique work which is different from the value of the $\grave{a}$ la carte art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given by the print. The deprecated perception of reproducibility evaluated the value of the work in a direct sense of printmaking. It is undeniable that it is devalued by a bundle of works regardless of the value of each edition. Howev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ints on the paper are brought up with hand drawings drawn on the canvas by hand. And it becomes an opportunity to show new aspect and change through the process of combining digital print information on paper. The diversity of media is sometimes a controversy of identity between art and technology. In the future, it should be discussed how the limit of the media which can be enjoyed in the field of art can be set as a standard.

판화는 순수예술의 한 분야이면서 에디션(edition)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대중적인 성격을 띤 상업적 결과물로 인식되는 모호한 경계에 놓여져 있다. 현대의 과학기술 발전은 판화의 새로운 기법을 발달시켰고 디지털(digital)이라는 컴퓨터와의 융합은 복제예술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복제 판화는 사진과 접하며 확장된 영역으로의 지대한 영향을 받았고 프린트의 다양한 형태는 간접예술의 가능성을 여러 각도로 자극함으로써 많은 변화와 시도를 가져왔다. 판화와 과학기술의 역사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듯이 컴퓨터의 발달은 복수예술성의 광범위한 영역확대, 기술적, 예술적 변화를 시도하게 만든다. 디지털이 갖는 매끈한 평면위에 판화의 물성을 얹음으로 단순히 복사된 이미지 위에 새로운 개념의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는 과정과 결과는, 일품미술의 가치 혹은 판화가 주는 물성의 특성과는 또 다른 독특한 작품의 영역을 보여준다. 복제성에 대한 폄하된 인식은 판화와 직결된 의미로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였고 복제된 각 에디션의 가치와는 무관하게 한 묶음의 작품으로 평가절하 되는 것은 부인 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종이 위에 찍혔던 판화의 물성은 캔버스위에 손으로 직접 그리는 핸드드로잉(hand drawing)과 함께 올려지고, 디지털 프린트라는 정보의 종이위에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면모와 변화를 보여주는 계기가 된다. 매체가 주는 다양성은 예술과 과학기술사이에서 때로는 정체성의 논란이 되기도 한다. 앞으로 예술의 영역에서 누릴 수 있는 매체성의 한계를 어떤 기준으로 정할 수 있을지도 논의가 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발터베냐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도서출판 길, 2007
  2. 스티븐 파딩, 501 위대한 화가, 마로니에 북스, 2009
  3. 이현주, 로버트 메이플소프(Robert Mapplethorpe)의 작품에 나타나는 페시티(Fetish)적 특징, 홍익대학교 학위논문(석사), 2005
  4. 신희주, 초상사진(Self-Portrait)에 나타나는 양성적 표현에 관한 연구 :이성의 옷 입기(Cross-Dressing)를 활용한 작품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학위논문(석사), 2008
  5. 송대섭, 하임성, 현대 디지털 예술작품의 복제성에 대한 고찰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지, 2008, p208
  6. 임영길, 임장훈, 사진과 판화의 재생산, 한국기초조형학회 학회지, 2006, p522-p524
  7. 정정화, 개념미술에서의 사진(존 발데사리와 더글라스 휴부러를 중심으로), 한국사진학회지, 1988
  8. 심희정, 정보기술 이미지의 기원과 새로운 모델, 한국영상미디어협회학회지, 2013, p82
  9. 이지현, 임영길, 물성으로서의 한국현대판화 연구, 한국영상미디어협회 논문집, 2014, p13
  10. 송대섭, 김지혜, 예술의 복수 생산과 멀티미디어적 특성, 한국영상미디어 협회 학회지,2012, p34-p39
  11. 이종한, 복제의 탄생- 근대판화의 시원으로서의 마이너 아츠에 관한 고찰(1), 한국일러스트학회 학회지, 2009
  12. 이종한, 판화예술의 기원- 근대판화의 시원으로서 마이너 아츠에 관한 고찰(2), 한국일러스트학회 학회지, 2010
  13. 송대섭, 모노타입과 모노프린트의 판화 매체적 특성연구, 한국조형예술학회, 2007
  14. 김재원, 디지털 매체를 통한 인체 이미지의 심층적 표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15. 임영길, 심희정, 판화와 재생산의 관계, 한국기초조형학회 학회지, 2006, p390-p395
  16. 김용식, 복제시대의 판화미학- 에디션, 한국판화가 협회, 2008
  17. 김영태, 개념미술에서의 사진, http://cafe.daum.net/hanbit2u/PwjI/125?q=%B0%B3%B3%E4%B9%CC%BC%FA%BF%A1%BC%AD%C0%C7%20%BB%E7%C1%F8,2015/ 검색인용, 2017,1,2
  18. 정영숙, 작가의방 판화작가 신수진- 반복되는 작은것들의 에너지를 모으다, 중앙시사매거진, 201411호, 2014, http://imagazine.joins.com/monthly/list/010501?page=16 검색인용, 2016,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