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Parents' Perceptions of and Implementa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10.15
  • Accepted : 2017.02.06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basic information for parent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parent's implementation and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8 parents who have a child in kindergarten or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J city. Th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the Parent's Perception of and Implementation for Children's Right to Play(PPICRP),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PPICRP is a 5type rating scale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the selection of a space for play, play time, play mate, instrument, etc.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implementation for children's right to play was lower than the parent's perception of it except for the selection of play instrument.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re is a need for parent education which contains concepts and stresses the importance of play, which implement children's right to play. The unexpected result in the play instrument, the excessive organization of the play by adults, and the difference of parent's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ir children were further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선영 (2013). 숲유치원의 발전과 유아의 신체활동.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4(2), 45-55.
  2. 고여훈 (2009).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의 양상과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의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여훈 (2013).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 특징과 교사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경숙 (2003). 고누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 인지능력습득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기헌, 임희진, 장근영, 김혜영, 황옥경 (2011). 제 5차 청소년 정책 기본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6. 김미나 (2013). 영유아 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참여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숙, 전진아, 하태정, 김효진, 오미애, 정은희 등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정책보고서 2013-92). 서울: 보건복지부
  8. 김민영 (1996). 유아기 부모의 사회 계층별 놀이인식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병숙, 김경아 (2006). 성 및 출생순위가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19(1), 1-24.
  10. 김성재 (2011).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61-387.
  11. 김소양 (1989). 유치원 교사, 부모, 유아의 놀이 인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순자, 김희태 (2010).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4), 375-400.
  13. 김영희 (2005).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과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정래 (2002). 아동권리향연. 서울: 교육과학사.
  15. 김정선 (2000). 유아 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정원 (2012). 자연친화적 실외활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실태파악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희정 (1998).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의 놀이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나상미, 김혜순 (2011).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2(1), 7-25.
  19. 남윤희, 김금주 (2013).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1), 61-80.
  20. 노영신 (2004). 유아기 자녀의 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조사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마혜린 (2013).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문혁준, 홍현재 (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245-274.
  23. 박남옥 (2003). 부모-자녀관계와 친구관계 및 자아개념간의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영미 (2013). 신체접촉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교사관계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영애, 김리진 (2011).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2), 37-56.
  26. 박영애, 김리진 (2012). 어머니가 지각하는 자녀의 놀이현황 및 지원 기대 분석.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5(2), 283-300.
  27. 박은아 (2003). 유아놀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태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박정은 (2014).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박창옥, 이성희 (2012). 유아를 위한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자아개념,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325-349.
  30. 박혜정 (2013).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복지상담교육연구, 2(2), 1-22.
  31. 박효정 (2010). 놀이이론의 교육적 함의: D. Elkind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박희숙 (2003). 유치원 교사 및 부모의 유아 놀이 인식 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 35, 221-240.
  33. 서진영, 이주연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및 양육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369-389.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369
  34. 손남숙, 이숙희 (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만4세-6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49-77.
  35. 송지홍, 최경란 (2015). 조형놀이를 통한 유아의 감성발달 특성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6(1), 269-286.
  36. 송혜영, 김은숙, 마여실, 왕세진 (1996). 자녀가 인지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성취 및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가정관리연구, 15, 169-185.
  37. 신동주 (2004). 유치원의 실외놀이활동 실태 및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연구, 24(6), 299-324.
  38. 신말예 (1994). 유아기 부모의 놀이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신지연, 김정현, 정이정 (2012). "숲유치원 접근"의 유치원과 일반 유치원 유아의 기초체력 및 행복감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6(6), 5-25.
  40. 심성경, 이현순 (1985). 유아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일 연구. 교육연구, -(4), 83-122.
  41. 안숙연 (2011). 유아기 자녀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놀이 인식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양옥승, 이정란, 나은숙 (2002). 유아의 관점에서 본 자유놀이. 열린유아교육연구, 7(1), 143-165.
  43. 원계선 (2016). 교사와 또래 존재 여부 및 활동 공간에 따른 유아의 유치원 활동에 대한 놀이 인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381-404.
  44. 원계선, 박서연, 장수지, 정유나, 윤미영, 이지연 등 (2013). 어린이집 자유놀이의 제한 규칙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7(2), 46-62.
  45. 유정선, 엄정애 (2004). 서울시 사립유치원의 실외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35(1), 39-57.
  46. 이랑 (2003). 자녀 양육 태도 및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명순 (2012). 아동권리에 대한 어린이집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명순, 이은주 (2013).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아동과 권리, 17(2), 265-284.
  49. 이수민 (2011). 아동권리의 헌법적 보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숙재 (2007).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51. 이영녀 (2015).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이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코칭연구, 8(1), 79-101.
  52. 이옥자 (1985). 사회계층별 유아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인식 및 역할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윤진, 문무경, 김문정, 양시내 (2009). 유아학원 이용 및 운영 실태(연구보고 2009-09).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54. 이재숙 (1999). 유아교육기관 유아와 초등학교 아동의 놀이 인식조사. 배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이종희, 조은진, 김송이 (2009). 놀이. 아동학회지, 30(6), 309-321.
  56. 임재택, 하정연, 이소영 (2013). 숲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이 탐색. 유아교육연구, 33(2), 343-367.
  57. 임현주 (2014). 영아의 발달 상, 하위 집단별 영아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225-247.
  58. 장혜순 (2008). 유아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59. 정윤정 (2006).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유형 및 내용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조미상 (2003).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유형 및 내용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조성연, 박은혜 (2014). 유아의 그림을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이미지. 유아교육학논집, 18(2), 35-57.
  62. 주동욱 (2004). 부모와 교사의 기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주보라, 김은심, 유지안 (2015).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과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33(4), 123-142.
  64. 주정호 (2014).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태도가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6(2), 30-54.
  65. 차유미, 이진희 (2015). 유아 바깥놀이에 대한 어머니들의 관점. 육아지원연구, 10(3), 85-108.
  66. 최현희 (2016). 유아 흙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한혜진 (2009).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 및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홍수경 (2010). 유아의 놀이에 관한 부모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9. 황옥경, 한유미, 김정화, 양효현, 서예지, 박진우 등 (2014). 한국 아동의 놀 권리 현주소와 대안연구 보고서. 서울: 유니세프한국위원회.
  70. 황은실 (2015). 어린이집 부모참여프로그램 유형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황인영 (2004). 유치원 학부모의 놀이 인식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Bekoff, M., & Crain, W. (2011). A crime against children. Encounter: Education for Meaning and Social Justice, 24(4), 12-14.
  73. Brooker, L., & Woodhead, M. (2013). The right to play. Aberystwyth: Cambrian Printers.
  74. Chudacoff, H. P. (2007). Children at play: An American history. NY: University Press.
  75. Crain, W. (2010). Is children's play innate? Encounter: Education for Meaning and Social Justice, 21(3), 8-10.
  76. Elkind, D. (2011). The power of play, 놀이의 힘(이주혜 옮김). 서울: 한스미디어(원판 2007).
  77. Fogle, L. M., & Mendez, J. L. (2006).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Americ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507-518.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8.002
  78. Ginsburg, K. R. (2007). The importance of play in promoting healthy child development and maintaining strong parent-child bond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19(1), 182-191.
  79. Goodnow, J. J., & Collins, A. W. (1990). Development according to parents: The native, sources, and consequences of parents ideas. Hillsdale, NJ: Erlbaum.
  80. Landreth, G. L. (1991). Play therapy: The art of relationship. Muncie, IN: Accelarated Development Press.
  81. Lester, S., & Russell, W. (2010). Children's right to play; An examination of the importance of play in the lives of children worldwide. The Hague, The Netherlands: Bernard van Leer Foundation.
  82. Howard, J., Jenvey, V., & Hill, C. (2006). Children's categorization of play and learning based on social contex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6(3-4), 379-393. https://doi.org/10.1080/03004430500063804
  83. Miller, E., & Almon, J. (2009). Crisis in the kindergarten: Why children need to play in school. MI: Alliance for Childhood.
  84. Russo, H. L. (2009). Play, peer relationships, and academic learning: Exploring the views of teachers an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mbia University, USA.
  85. Zigler, E. F., & Bishop-Josef, S. J. (2006). The cognitive child versus the whole child: lessons from 40 years of Head Start. In Singer, D. G., Golinkoff, R. M. & Hirsh-Pasek, K. (Eds.), Play-learning: How play motivates and enhances children's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growth (pp. 15-35). NY: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