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ion on the Range of an Urban Community to Form Healing Environment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어번 커뮤니티 탐구

  • Received : 2017.01.04
  • Accepted : 2017.01.25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A drastic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and transportation means as part of a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for the past half-century has consistently broaden the boundaries of urban dwellers while, at the same time, raising issues as to establishing relationships among them throughout the society following the materialization of modern urban planning.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ostmodern concept, there have been consistent efforts to create a community space in appropriate size and,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New Urbanism and Urban Village that emerged in mid 1800s along with the effort to build a community by building an ideal city provides an important meaning today when people are seeking to restore a healthy community.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community and to determine its optimal scope of implementation in the sense of healing environment under the premise that organizing a healthy city is based on building a solid urban community. The study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 community is a subject of constant consideration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ity and has required us to take a variety of strategic approaches and to determine the scope of implementation. Second, the activities of a healthy community have been conducted under various types of environments, including churches, commercial facilities, urban plazas, parks, and streets in various scales, reflecting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ir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 healthy and sustainable city, determination of location carries significant implications along with building a community of appropriate size, which requires multidisciplinary considerations in addition to functional approaches. Fourth, the composition and design of a modern urban community need to seek practical ways of its implementation within the concept of healing environment.

지난 반세기 동안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통해 도시 및 교통수단의 발전은 도시거주민들의 활동영역을 지속적으로 넓히는 계기가 되었고, 한편으로는 근대적 도시계획의 구체화 이후 사회 전반적으로 도시구성원간의 관계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루어져 왔다. 탈근대적 개념 속에서 적절한 규모의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하는 공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었으며, 특히 1800년대 중반 이상적 도시구성을 통한 공동체 사회 구현의 노력과 함께 이후 등장한 뉴어바니즘, 어번빌리지 등의 개념은 건강한 커뮤니티를 회복하고자 하는 현시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한 도시구성의 근간은 도시 공동체를 바탕으로 한다는 전제 아래 치유 환경적 의미에서의 커뮤니티 개념 및 그 범위 설정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티는 도시의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지속적인 고려의 대상으로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적 접근 및 범위 설정이 이루어져 왔다. 둘째, 건강한 공동체의 활동은 다양한 유형의 환경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대표적으로 교회와 상업시설, 도시 광장 및 공원, 다양한 스케일의 가로 등의 형태 특성으로 반영되어 왔다. 셋째,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의 설계과정에서는 적절한 규모의 커뮤니티 설정과 함께 위치의 결정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이는 기능적 접근 이외에 다양한 고려가 필요하다. 넷째, 현대 도시 공동체의 구성 및 설계는 치유 환경의 개념 속에서 그 실제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