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Direction for Police Activities to respond to the Industrial Technology Outflow Crime

산업기술유출범죄 대응을 위한 경찰활동의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 조준택 (경찰교육원 생활안전학과) ;
  • 전용태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Received : 2017.02.15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Despite the trend and severity of industrial technology outflow crim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bout the effect of police force on that kind of crime in Korea. Consequently, this research preliminarily empirically examined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affairs police forces such as policemen, budget, establishing special investigation unit and the arrest of industrial technology outflow crime due to the limit of related data.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foreign police budget and the arrest of crime in the country. On the contrary, foreign police force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rrest and occurrence of crime overseas. Based on the result, the effect of the police force such as hardware factors including policemen, budget on the industrial technology outflow crime seemed to be weak. Consequently, considering police alternatives from previous researches, several implications such as reinforcement of foreign police force by increasing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enriching training program, strengthening the domestic and foreign cooperative network between police and related bodies can be suggested. Also, the improvement of the formal statistics on the industrial technology outflow crime and strenthening public relations can be recommended.

산업기술유출범죄의 추세와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경찰 등 법집행기관의 노력이 이러한 범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는 많지 않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산업기술유출범죄를 담당하는 경찰청의 외사기능에 초점을 두어 경찰력을 외사경찰 인력, 예산, 전담부서 설치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산업기술유출범죄의 검거와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예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찰력 중 외사경찰예산의 증가만이 산업기술유출사범의 국내 검거건수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외사경찰력은 산업기술유출사범의 해외 검거건수와 국내 및 해외 검거인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경찰의 산업보안 활동 중 인력과 예산 등 하드웨어적인 측면이 산업기술유출범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다는 점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리하여 각종 선행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경찰의 산업보안 활동에 정책 대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찰의 산업보안 인력과 조직개선,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시스템 개선, 국내외 협력과 공조강화, 산업보안 관련 통계개선 및 홍보강화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2016). 2016 경찰교육 훈련계획, 경찰청
  2. 경찰청 (2016). 2015 경찰통계연보, 경찰청
  3. 경찰청 (2012). 국제범죄수사대, 산업기술유출수사의 첨병으로 거듭나, 2012. 2. 경찰청 보도자료
  4. 김신혜.박길준 (2013). 산업기술유출 범죄에 대한 제도적 개선방안,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제24권 제1호, 77-86.
  5. 김신혜.박준석.박길준 (2013). 산업기술유출 범죄의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안전학회지, 제9권 제1호, 91-109.
  6. 남재성 (2012).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범죄 피해실태와 대책: 법.제도적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46호, 45-75.
  7. 노호래 (2008). 산업기술 유출범죄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0호, 45-77.
  8. 박강우 (2012). 산업스파이범죄의 실태와 법적규제의 문제점, 형사정책연구 제23권 제3호, 129-160.
  9. 박기범.김형욱 (2014). 산업기술 유출방지를 위한 전문인력 확보방안,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3호, 148-166.
  10. 박락인 (2015). 한국 산업스파이 범죄의 처벌규정 및 양형기준에 대한 개선방안,치안정책연구 제29권 제3호, 103-132.
  11. 박준석 (2014). 산업보안.민간경비론, 서울: 백산출판사
  12. 선종수 (2014). 산업기술유출범죄 수사체계의 재검토, 가천법학 제7권 제3호, 193-216.
  13. 신성균.박상진 (2009). 민간조사원(탐정)을 활용한 기업보안활동의 강화방안: 산업 스파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0호, 199-228.
  14. 오인규 (2012). 내부자 산업스파이의 증가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찰연구 제11권 제2호, 205-226.
  15. 이상열 (2010). 한국 외사경찰의 역사적 변천과 활동에 관한 고찰, 한국치안행정논집 제7권 제1호, 181-208.
  16. 이수창 (2014). 경찰력 증강과 경찰활동 강화가 범죄발생 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ARIMA 시계열분석, 치안정책연구 제28권 제1호, 65-103.
  17. 이준복 (2014). 산업스파이 및 M&A에 따른 산업기술유출 대응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경찰학연구 제14권 제3호, 89-119.
  18. 이하섭 (2012). 경찰의 산업보안 예방활동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제7권 제1호, 41-61.
  19. 이훈재 (2011). 산업스파이 범죄실패 및 대응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경찰학논총 제6권 제1호, 179-202.
  20. 이창무.김민지 (2013). 산업보안 이론. 서울: 법문사
  21. 이창훈.하옥현 (2010). 기밀유출방지를 위한 융합보안 관리체계, 정보.보안 논문지 제10권 제4호, 61-67.
  22. 이하섭.조현빈 (2012). 민간조사제도를 활용한 산업보안 활동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14권 제6호, 257-281.
  23. 제갈돈.제갈욱.송건섭 (1999). 경찰력 강화와 범죄억제간 인과관계의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8권 제2호, 165-181.
  24. 조호대 (2013). 경찰의 기술유출 범죄 대응 역량 강화방안, 한국경찰학회보 제15권 제3호, 193-213.
  25. 조호대 (2012a). 글로벌화에 따른 외사경찰 기능강화: 외사경찰의 조직 및 인력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제14권 제1호, 131-148.
  26. 조호대 (2012b). 기술유출 사례 분석을 통한 효과적 산업보호 방안, 한국경찰학회보 제14권 제6호, 335-352.
  27. 주성빈 (2011). 산업스파이 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 법정리뷰 제28권 제1호, 161-178.
  28. 최순호.정우일 (2009). 경찰의 산업보안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경찰학회보 제11권 제1호, 227-252.
  29. 최응렬.송봉규.이영일.박경민 (2012). "산업기술 유출경로 연구", 치안정책연구 제26권 제1호, 225-258.
  30. 치안정책연구소 (2014). 치안전망 2014, 치안정책연구소
  31. 한광종 (2015). SPSS활용 미래예측과 시계열분석. 서울: 백산출판사
  32. 허명회 (2013). SPSS Statistics 시계열분석. 서울: 데이터솔루션
  33. 홍성삼 (2015). 경찰의 산업스파이 대응 정책 연구, 경찰학논총, 제10권 제3호, 67-93.
  34. Cameron, S., S. (1988). The Economics of Crime Deterrence: A Survey of Theory and Evidence, Kyklos, 41: 301-323. https://doi.org/10.1111/j.1467-6435.1988.tb02311.x
  35. Marvell T. B., & Moody, C. E., (1996). Specification Problems, Police Levels and Crime Rates, Criminology, 34(4): 609-646. https://doi.org/10.1111/j.1745-9125.1996.tb01221.x
  36. Swimmer, E., (1974). Measur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Urban Law Enforcement: A Simultaneous Approach, Southern Economic Journal, 40: 618-630. https://doi.org/10.2307/1056380
  37. Wilson, J. Q., and Boland B., (1978). The Effect of the Police on Crime, Law & Society, 12: 367-390. https://doi.org/10.2307/3053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