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t-benefit Analysis of Installing Crime Preventive CCTV: Focused on Theft and Assault

범죄예방용 CCTV설치의 비용편익분석: 절도와 폭력범죄를 중심으로

  • 윤우석 (계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찰행정학과) ;
  • 이창훈 (한남대학교 법정대학 행정경찰학부) ;
  • 심희섭 (한남대학교 법정대학 행정경찰학부)
  • Received : 2017.02.13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ories on 'opportunity for crime' have utilized CCTV in crime prevention approach, and empirical studies showing crime prevention effects of CCTV have supported expansion of CCTV installation. Particularly, in Korea, the number of CCTV installation had tripled from 2011 to 2015, and governmental policies regarding CCTV have become one of the mainstream social control strategies. Although a couple of empirical studies showed decrease in crime rate due to CCTV installation, there is no study investigating B/C analysis(Benefit vs. cost analysis) of CCTV installation. B/C analysis results will be beneficial for official decision-making of criminal justice policy, and this study is purported to produce such fundamental evidence for policy making procedure. To fulfill this goal,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financial information, crime data between 2011 and 2015 across the nation from 232 governmental district offices and the Korean National Police. This study then conducted two different B/C analyses(simple B/C analysis, regression-based B/C analysis). The simple B/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1) total costs for CCTV installation in 2014 was 68,626,000,000 won(approximately, US$57,188,333.00, money exchange rate 1200won=US$1), 2) benefits of crime reduction was 90,888,000,000 won(appx. US$75,740,000), and 3) B/C rate was 1.32. The regression-based B/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1) B/C rate was 1.52 when only reduced costs of criminal justice processes for crime employed, and 2) B/C rate was 3.62 when overall social costs including reduced costs of criminal justice processes and social benefits, e.g., reduction in costs for managing fear of crime, due to the crime reduc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범죄 발생의 '기회'를 차단하여 범죄를 억제하려는 여러 이론들은 CCTV 활용의 가능성을 확대시켰으며, CCTV 설치로 인한 범죄율 감소와 범죄피해 두려움 감소 결과를 보여주는 실증적 연구들은 현실에서 CCTV 증설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최근 5년간 약 300%이상의 CCTV 증설이 이루어졌으며, 매년 수천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중요한 국책사업 중 하나이다. 하지만, CCTV 증설에 따른 편익효과는 과연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단순히 CCTV 설치로 범죄가 감소하였다는 결과는 정책적 결정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CCTV의 설치에 대한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 B/C 분석)을 실시하여, CCTV 설치에 관한 정책 판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및 경찰청으로부터 2011년부터 2015년 사이 CCTV 설치 대수 및 비용, 예산, 운영위원회, 범죄 발생 자료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비용편익분석은 단순비용편익분석 방법과 회귀 계수에 기초한 비용편익분석 방식을 활용하였다. 범죄발생으로 인한 비용은 2010년 형사정책연구원이 수행한 연구 결과를 활용하였다. 단순비용편익분석 방법 결과, 2014년 CCTV 설치 총 비용은 2016년 물가 기준 686억 2천 6백만 원이었고, 범죄(절도 및 폭력) 발생 감소로 인한 범죄비용절감효과는 908억8천8백만 원이었다. 이는 CCTV 설치에 100원을 쓸 경우 132원의 효과가 있다는 결과이다(B/C 효율성 = 1.32%). 최귀계수를 활용한 비용편익분석 결과, CCTV 설치비용(3,192억 2천 2백 38만 원) 대비 절도 및 폭력 감소에 따른 이익이 4,863억 7천 5백 20만원으로 나타나, B/C효율성은 1.52로 나타났다. 동일한 방식으로, CCTV 설치로 인한 범죄감소의 사회 전체적 이익을 분석한 결과, 절도 및 폭력 감소로 인한 이익이 1조 4,756억 8천 6백 4십만 원으로, B/C효율성은 3.62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CCTV 설치에 대한 실증적 정책 판단 근거가 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완 (2011). 상점절도 방지를 위한 상황적 경비기법의 효과성, 경호경비연구, 27권:9-30.
  2. 강은경.박미랑.박현호.강석진 (2010).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의 제도화 방안(III): 학교 및 학교주변 범죄예방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 강석진.박지은.이경훈 (2009).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주거지역 방범용 CCTV효과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4):235-244.
  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2차 불법도박 실태 조사,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5. 김건위.고경훈.윤종현 (2014). CCTV 설치사업 추진성과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6. 김연수 (2008).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 효과분석: 범죄의 전이효과와 범죄통제 이익의 확산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1:209-245.
  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불법사행산업의 효율적인 감시방안 및 근절대책 연구,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8. 박경래 (2013). 사법협조자 형벌감면제도 도입에 대한 비용편익분석 연구, 한국경찰연구, 12(2):79-114.
  9. 박경래.최성락 (2011). 충북지방경찰청 주폭척결 프로그램의 비용편익분석: 경찰대응비용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10(4):3-30.
  10. 박경래.김수동.최성락.이종한 (2010). 범죄 및 형사정책에 대한 법경제학적 접근 III: 범죄의 사회적비용 추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1. 박경옥.나유향.박지현.한송이 (2011). 공동주택의 범죄예방환경디자인 적용 및 범죄불안감 관련특성분석, 생활과학연구논총, 15(2):187-203.
  12. 박영주 (2010).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구주민의 주거환경에 대한 인식이 범죄피해 및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9: 55-82.
  13. 박은형.정지수 (2014). 범죄예방정책으로서 방범용 CCTV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패널2SLS를 활용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16(1): 39-73.
  14. 박철현.최수형 (2009). 서울시 강남구의 CCTV 설치가 범죄예방에 미치는 효과연구,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20(3): 213-238.
  15. 박철현.최수형(2011). 기초자치단체의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 강남구 논현동의 시범설치를 중심으로, 법정리뷰, 30(2):25-42.
  16. 박철현.박정선.송태정 (2007). 청소년범죄의 사회적 비용 추정: 5대 범죄를 중심으로, 형사정책, 19(1):331-356.
  17. 박현호 (2006). 한국적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의 제도적 고찰-유럽의 사례를 통한 한국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5(2): 113-160.
  18. 박현호.황연선.김동근 (2011). WDQ분석을 통한 CCTV의 범죄전이연구: 광명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10(2):107-128.
  19. 이상원.이승철 (2005). 경찰CCTV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호경비연구, 10권: 215-242.
  20.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08). 불법도박의 실태조사 및 대책 연구,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1. 오정일 (2012). 비용편익분석의 유용성에 관한 이론적 검토.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2(1):33-57.
  22. 윤우석 (2015a). 범죄예방 환경조성사업의 범죄안전인식 개선효과 검증. 한국범죄심리 연구, 11(3):153-180.
  23. 윤우석 (2015b). 시계열분석을 통한 범죄예방환경 조성사업의 범죄억제효과 분석-구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9(3):131-164.
  24. 이경훈 (2008). 아동보호구역 내 CCTV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연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5. 이상현.이창한 (2014). CPTED구성요소에 대한 공동주택 주민의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 한국경찰학회보, 16(5):169-195.
  26. 이창훈 (2015). 공공안전이냐? 사생활보호냐? CCTV 선호도와 관련된 요인 연구. 경찰학논총, 10(2): 37-62.
  27. 이창훈.윤우석.심희섭.김원기 (2016). CCTV의 효과적 설치기준 및 제도개선 연구. 국민안전처.
  28. 임민혁.홍준현 (2008).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 분석을 통한 범죄예방정책의 방향,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6:145-186.
  29. 임형진.전용태 (2014a). 방범용 CCTV의 범죄유형별 범죄예방효과 연구, 한국범죄학, 8(2):75-96.
  30. 임형진.이주락 (2014b). 방범용 CCTV의 계절별 범죄예방효과, 한국경찰학회보, 16(2):99-119.
  31. 정승민 (2009). CCTV와 비공식적 통제, 경찰활동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8(2):173-208.
  32. 정진성.장윤식 (2014). 방범용 CCTV에 대한 인식이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 13(2):341-368.
  33. 정태황.서승영 (2009). 기계경비시스템의 기술변화추세와 개발전망, 경호경비연구, 19권:225-244.
  34. 조일형.이종구 (2012). 범죄예방정책의 확산 영향요인 분석-서울시 기초자치단체의 방범용 CCTV 도입 확산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1(2):221-244.
  35. 조흥식.민원홍.김현민 (2010). 우리나라 범죄의 사회적 비용 추정에 관한 연구: 범죄의 심각성 점수를 고려한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17(2):163-199.
  36. 최응렬.김연수 (2007).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26: 145-186.
  37. 최수형.이순래.박철현 (2013).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 안산시 통합관제센터 개소를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7(2):175-204
  38. Bullock, J. A., Haddow, G. D., Coppola, D.P. & Yeletaysi, S. (2009). Historic Overview of the terrorist threat In Introduction to homeland security : Principles of all-hazards response 3rd ed. pp. 1-28, Burlington, MA: Elsevier/Butterworth-Heinemann
  39. Comfort, K. L.., Waugh, W. L., Cigler, B. A., (2012). Emergency Management Research and Practice in Public Administration: Emergence, Evolution, Expansion, and Future Direc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pp. 539-548
  40. Derthick, M. (2009). The transformation that fell short : Bush, federalism, and emergency management pp. 1-27, The Nelson A. Rockefeller Institute of Government.
  41.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13). Threat and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Guide : Comprehensive Preparedness Guide 201 2nd ed., pp. 1-20, Washington, DC: U.S.
  42. Piza, E.L., Gilchrist, A.M., Caplan, J.M., Kennedy, L.W., & O'Hara, B.A. (2016). The financial implications of merging proactive CCTV monitoring and directed police patrol: a cost-benefit analysis, Journal of Experimental Criminology, Vol.12(3). pp:403-429. https://doi.org/10.1007/s11292-016-9267-x
  43. Roberts, P. S., (2010), Private Choices, Public Harms : The Evolution of National Disaster Organization in the United States, (Eds.) Disaster and the Politics of Intervention, A. Lakoff, Columbia University Press
  44. Schramm, D., & Newman, R. (1986). Principles of Management : Study Guide, University of Wisconsin Disaster Management Center
  45. The White House. (2003a). Homeland Security Presidential Directive/HSPD-5 : Management of domestic incidents, pp.1-6
  46. The White House. (2003b). Homeland Security Presidential Directive/HSPD-8 : National Preparedness pp.1-6
  47. 미국연방재난관리청 홈페이지 https://www.fema.g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