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omputing Thinking Patterns revealed in Gifted Information Classroom Teaching based on a GoGo Bumper Car Project

고고범퍼카 프로젝트 기반의 정보영재반 수업에서 나타나는 컴퓨팅 사고 패턴 분석

  • Received : 2016.12.22
  • Accepted : 2017.01.26
  • Published : 2017.01.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eeply investigate the interactive patterns between a robot teacher and a participating gifted student who assembled GoGo Bumper car and controlled it with GoGo Monitor commands. Two days of classroom activities for the GoGo Bumper car project were videotaped between July 29 and 30 in 2013. Extra video-based recall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ree times between Nov 2013 and Jan 2014. The qualitative analysis of video data, GoGo Monitor codes and interview data revealed several unfolding patterns of computational thinking. The participating student while interacting with a robot teacher often contemplated and coded on his own ways as he worked with GoGo board testing and assembling a GoGo Bumper car. The overall process of coding and testing his own ideas by finding out relevant commands and arranging them attuned to his computational strategies seems to be cyclic.

본 논문의 목적은 수학정보 영재반 수업에서 고고보드를 사용하여 고고범퍼카의 조립 과정 및 고고모니터 명령어로 고고범퍼카를 제어하는 활동을 분석하여 강사와 참여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적 활동과 컴퓨팅 사고 패턴을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로봇 강사 및 참여 학생) 2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말에 이틀 동안 고고범퍼카 프로젝트 수업을 비디오로 촬영하였다. 그리고 그 이후에 진우를 대상으로 2013년 11월과 2014년 1월 사이에 별도의 후속 면담과 비디오 회상면담을 3회 실시하여 고고범퍼카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 관한 자료를 보완적으로 수집하였다. 비디오 및 면담 자료와 산출물인 고고모니터 코드를 분석한 결과 연구자는 고고범퍼카 프로젝트의 수행 활동에서 나타나는 컴퓨팅 사고의 전개 양상을 포착하였다. 참여 학생은 고고보드 부품 사용과 고고모니터 코딩 활동에서 로봇 강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종종 숙고하면서 자신이 생각하는 바에 해당되는 명령어의 조합을 배열하면서 수정과 테스트를 순환적으로 하는 컴퓨팅 사고의 전개 패턴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함성진, 김순화, 박세영, 송기상 (2014). 융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학생용 CT 기반 융합인재 교육(CT-STEAM) 프로그램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6), 81-91.
  2. 김석희, 유헌창 (2013). Hands on 센서 기반 고도화된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3), 79-89.
  3. 심규헌, 이상욱, 서태원 (2014). 아두이노를 활용한 STEAM 커리큘럼 설계,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4), 23-32.
  4. 박정호, 김철 (2010). 초등학교 교과통합 로봇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1), 35-44.
  5. 신승용 (2012). 로봇 활용 STEAM 교육에 참가한 초등학생들의 학습만족 요인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5), 11-22.
  6. 정인기 (2014).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센서데이터와 로봇 기본 동작의 관계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1), 25-33.
  7. 우정훈, 전영국 (2014). NetLogo 기반의 과학탐구용 시뮬레이션 콘텐츠 개발 및 형성평가.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2), 65-76.
  8. 전영국 (2014). 필리핀 학교에서 적용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로봇 AEEP 사례에 대한 형성 평가. 교사교육연구, 53(1), 77-93.
  9. 김경현 (2012). 로봇활용수업에서의 학습활동 소요 변인 분석. 교육종합연구, 10(4), 35-52.
  10. 박홍준, 전영국 (2015). IT융합 기반의 고고범퍼카 콘텐츠 개발 및 프로젝트 적용 사례.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2), 21-33.
  11. 박정호, 김철 (2011).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 미술수업이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277-285.
  12. 전영국 (2015). 초등학교 방과후 로봇 교실의 과학상자 조립 프로젝트 활동에 관한 수업 사례. 교사교육연구, 54(3), 381-392.
  13. 곽소아, 권대용, 이원규 (2014). 초등정보영재의 동기와 부모지지에 따른 창의적 산출물 성취도 차이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3), 41-51.
  14. 최형신 (2014). 로봇활용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사회.문화적 맥락 및 컴퓨팅사고 연계.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8(4), 541-548.
  15. 백제은, 김경현 (2015). UCR활용수업의 실제학습시간 및 소실된 수업시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3), 15-24.
  16. 장정숙, 전영국, 윤지현 (2013). 하노이 탑 프로그래밍 경험에서 나타나는 정보과학적 사고 패턴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4), 33-45.
  17.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roceedings of the 2012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ancouver, Canada.
  18. 전영국, 윤지현 (2016). 수학정보 영재반 학생의 고고보드 창작 프로젝트 활동에 관한 질적 분석. 과학영재교육, 8(2), 90-107.
  19. 허희옥, 안미리 외 (2001). 컴퓨터교육방법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