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Frontier Science Teaching and their Teaching Efficacy

초등교사의 첨단과학기술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교수효능감 조사

  • Park, HyunJu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 Baek, Yoon Su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Received : 2016.09.27
  • Accepted : 2017.01.23
  • Published : 2017.01.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39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frontier science teaching and their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showed: elementary teachers were interested in and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frontier science in human life and in this society. They also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teaching frontier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They, however, had perceptions that frontier science may not be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elementary students. Moreover, the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may act as constraints for frontier science teaching. The change of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efficacy(t=-13.67, p<.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ir participation of developing STEAM program on frontier science and practicing its lessons.

초등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첨단과학기술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교수효능감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초등교사들은 첨단과학기술에 대하여 관심이 있고 일상생활 속에서 첨단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한 초등학교에서의 첨단과학기술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해서도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교사들은 첨단과학기술 교육의 과학학습 동기 유발과 과학 분야의 진로 지도 등 유용성에 대하여 확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초등학교 수준에서 첨단과학기술 교육의 적합성에 동의하지 않았다. 또한 현재 초등학교에서 첨단과학기술을 가르칠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첨단과학기술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후의 초등교사의 첨단과학기술에 대한 교수효능감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3.67, p<0.01).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4). 미래 기술백서 2014. KISTI
  2. 교육개혁위원회 (1995).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3. 교육부 (2010). 제2차 과학기술인력 육성 지원 기본 계획. 교육부 2011년 1월 19일 보도자료.
  4. 교육부 (2009).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2009.
  5. 김영민, 박수경, 이승우 (2010).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첨단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및 관련지식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20(3), 901-919.
  6. 김진화, 박일우 (2009). 첨단 과학에 대한 초등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교과서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28(4), 390-403.
  7. 네이버용어해설 (201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97071&cid=50309&categoryId=50309. 2016년 7월 1일 검색
  8.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백윤수 (2012).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와 수업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533-557.
  9. 박현주, 백윤수 (2014). 초등 및 중학교 수준의 공학교육 내용표준 제안, 공학교육연구, 17(4), 87-94.
  10. 박현주, 백윤수, 변수용, 심재호, 손연아, 한혜숙, 김은진, 서영진 (2014). STEAM 프로그램 효과성 제고 및 현장 활용도 향상 기본연구 최종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11.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12. 백윤수, 박현주, 이성민, 손준호, 박상희, 지경준, 송명희, 민병욱 (2016). 첨단제품 활용형 프로그램: 초등 STEAM 프로그램 개발
  13. 미래창조과학기술부 (2015). 코딩교육 의무화, 왜 필요할까? 2015.11.02. 보도자료.
  14. 안병준 (2007). 첨단과학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교사연수 시범 사업.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5. 유영길 (2016). 첨단발명과학기술분야 체험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2), 2010.6, 117-136.
  16. 이상원, 김종우 (2007). 첨단과학기술 분야에 기반을 둔 미래 지향적인 실과 교육 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4), 101-125.
  17. Borko, H., & Putnam, R. T. (1996). Learning to teach. In Berliner, D. C., & Calfee, R. C.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NY: MacMillan.
  18. David, K. S. (2003). Change is hard: What science teachers are telling us about reform and teacher learning of innovative pratices. Science Education, 87 (1), 3-30. https://doi.org/10.1002/sce.10037
  19. Doppelt, Y., Schunn, C. D., Silk, E., Mehalik, M., Reynolds, B., & Ward, E. (2009). Evaluating the impact of a facilitated learning community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eacher practice and student achievement.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7 (3), 339-354. https://doi.org/10.1080/02635140903166026
  20.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cy, 76 (4), 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21. Gudmundsdottir, S. (1990). Values i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Teaching Education, 41 (3), 44-52.
  22. ITEEA EbD (2014). Engineering by design curriculum, http://www.iteea.org/EbD/ebd.htm에서 검색.
  23. Mackenzie, . C. (1984). The report of the committee of ten, The School Review, 2 (3), 146-155. https://doi.org/10.1086/433408
  24.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010). Standards for K-12 Engineering Education? Washington, D. 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5.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 (3), 307-332.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3307
  26. Riggs, I. M. (1988).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27.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 (4),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28.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 (4), 2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