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dvertisement Types of Global Fashion Brands : A study focused on the trends of photo image components and styles of expression in global fashion advertisements.

글로벌 패션브랜드 광고의 유형 분석 - 패션광고 사진이미지 구성요소와 표현형식을 중심으로 -

  • 장경혜 (계명문화대학교 패션학부)
  • Received : 2017.05.06
  • Accepted : 2017.10.27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photo image components and forms of expression in global fashion advertising photos. First, photo image components a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location (indoor-outdoor), the model's movement, pose, facial expression, gender, race and number of models. The forms of expression a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direct expression, sensual expression, symbolic expression, storytelling expression, dramatic expression, and sexual expression. With the aforementioned classifications, the trends were studied for three years from 2013 to 2015. The analysis result indicates the following: for the details of photo image components, the portion of indoor photos, static poses and conscious facial expressions was over 60% of the total for every season of the 3 years, while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 number of models and the diversity of races. For the forms of expression, the sensual expression showed the largest portion accounting for over 50% of the total, followed by direct expression and storytelling expres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 that the trends of photo image components and forms of expression in global fashion advertisements are changing. Therefore, domestic companies will need to develop photo image components and forms of expression in line with the changing global fashion advertisement trends.

Keywords

References

  1. 김수경. (1994). 의류상품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예림. (2016). 사회공헌활동이 반영된 제품인쇄광고의 비쥬얼이미지 요소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문미라, 김용숙. (2014). 대학생들의 온라인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인터넷 광고의 유형별 효과. 복식문화연구, 22(1), 112-125.
  4. 민귀홍, 송정미. (2016). 백화점 DM광고의 정보성과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광고 태도 및 회피에 미치는 영향. 광고PR실학연구, 9(2), 99-120.
  5. 박미영. (2001). 한.미간 글로벌 패션잡지 광고의 표현형식과 표준화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은정. (2016). 소셜미디어 광고에서 정보원 유형과 메시지 소구 방식이 광고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삼성디자인넷. (2017). www.samsungdesign.net
  8. 오두범. (1996). 광고커뮤니케이션원론. 경기 용인: 전예원.
  9. 유승길. (1999). 의류광고 카탈로그의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지영, 김용숙. (2005). 외국산 색조화장품의 광고표현형식에 따른 이미지 지각. 한국복식학회, 55(7), 101-113.
  11. 임미경. (1988). 우리나라 의류광고의 표현형식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전예원, 김민경. (2014).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인터렉티브 패션광고효과와 전략 연구. 장안논집, 35(2), 439-457.
  13. 정어지루. (2006). 신광고학, 경기 파주: 형설출판사.
  14. 한맑음, 류명식, 성열홍. (2016). 스토리텔링광고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독특성 욕구 및 자기조절 초첨의 조절효과. 광고학연구, 27(6), 97-127.
  15. 홍주표. (2003). 라이프스타일 패션사진의 표현형식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한국사진학회지AURA, 10(10), 85-92.
  16. 홍주표, 최선영. (2006). 브랜드 컨셉에 따른 패션광고의 표현형식 분석: 구찌와 버버리를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26(1), 25-43.
  17. 황왕수. (1995). 렌즈와 표현효과. 서울: 다보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