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posal of Alternative Regulatory Considering Game Mechanism for Game at Game Providers : Focusing on The Reward Ratio for Betting

게임제공업소용 게임물에 대한 게임 메커니즘을 고려한 대안적 규제 제언 : 베팅에 대한 보상 비율을 중심으로

  • 송승근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Received : 2017.11.01
  • Accepted : 2017.11.26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Looking back at the last 10 years of the enactment of the Game Industry Act, the law was revised as a regulation rather than a promotion of the ga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re game regulation originated and derived through the history of those, and to find out what areas were missed, and to solve the tangled threads by regulation.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the implications of 10,000 won per hour, and discussed alternative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a review of regulatory literature and in - 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hen regulating games, we found that the side effects were further amplified by simply regulating the amount. Especially, we found that the vicious cycle in which functions such as indication, hit repeatedly, and automatic progress are made and immediately following prohibited is repeated. The point at which there is a sharp interest between the game user and the game operator in the game progression is the 'reward ratio for betting'. This is the key to protecting users. This could be a regulation considering the mechanism of the game. If the regulatory paradigm shifts in the future due to game regulatio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reward ratio for betting'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of price regulation and create a sound game ecosystem.

지난 게임산업법 제정 10년을 돌이켜 보면 게임의 진흥보다는 규제일변도로 법이 개정되었다. 본 연구는 게임규제가 어디서 시작되고 파생되었는지 그 역사를 집어보고 그 동안 놓치고 보지 못한 영역이 무엇인지 고찰하여 규제로 엉킨 실타래를 푸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시간당 1만원 규제가 담고 있는 함의를 살펴보고 대안을 고찰하였다. 규제관련 문헌 고찰과 전문가의 심층 면담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게임을 규제 할 때 단순히 금액으로만 규제를 하게 되면 그 부작용이 더욱 증폭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예시, 연타, 자동진행 등과 같은 기능들이 만들어지고 또 다시 이를 금지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게임 진행에서 게임이용자와 게임 운영자 간의 첨예한 이해 관계가 발생하는 지점이 바로 '베팅에 대한 보상비율'이다. 바로 이지점이 이용자를 보호 할 수 있는 핵심이다. 이는 게임의 메커니즘을 고려한 규제가 될 수 있다. 향후 '베팅에 대한 보상비율'을 고려한 게임규제로 규제의 패러다임을 바꾸게 된다면 금액규제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건전한 게임 생태계가 만들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게임물등급위원회, 제5조(비경품게임물 세부적용 기준), 게임제공업소용 비경품게임물 등급분류기준 세부규정, 2007.11.07. https://www.grac.or.kr/board/Inform.aspx?bno=22&searchtext=&searchtype=001&type=view&pageindex=51
  2. 게임물관리위원회, 제17조(사행성확인사항), 게임물관리위원회 등급분류 규정, 2016.11.16. https://www.grac.or.kr/board/Inform.aspx?bno=531&searchtext=&searchtype=001&type=view&pageindex=2
  3. 권준모, 박태순, 게임의 사행성, 게임산업저널, pp. 41-44, 2002.
  4. 김윤명, 게임물 이용금액 제한의 법률문제, 한국컴퓨터게임학회, 제26권, 제3호, pp. 145-154, 2013.
  5. 노웅래, 불법사행성 게임 근절을 위한 아케이드 게임산업 정상화 방안,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2006. http://dlps.nanet.go.kr/DlibViewer.do?cn=MONO1200635208&sysid=nhn
  6. 대통령, 별표2 게임물 관련 사업자 준수사항(제17조 관련),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2017.8.9.][대통령령제28236호, 2017.8.9., 일부개정] .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A%B2%8C%EC%9E%84%EC%82%B0%EC%97%85%EC%A7%84%ED%9D%A5#J7020675
  7. 문화관광부장관, 게임제공업소의 경품취급기준 개정. 고시, 문화관광부고시 제2004-14호, 2004.12.31. http://www.mcst.go.kr/web/s_notice/notice/noticeView.jsp?pFlagJob=N&pSeq=1769
  8. 박태순, 사행성게임의 내재적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게임학회, 제7권, 제3호, pp. 57-68, 2007.
  9. 박훈민, 국내외 아케이드게임 법.제도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10. 성정환, 이홍주, 청소년이용불가 아케이드 게임물 사행성 확인기준 수립 연구, 게임물관리위원회, 2015.
  11. 송승근, 책임게임시스템 기반 소셜 카지노 게임 정책 제언, 한국정보통신학회, 제20권제11호, pp.2039-2044, 2016. https://doi.org/10.6109/jkiice.2016.20.11.2039
  12. 송승근, 최훈, 국제표준 측면에서 국내 아케이드 게임에 대한 기술심의 분석 : 청소년이용불가 게임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3권제33호, pp. 551-578, 2013.
  13. 송승근, 3차 문화산업 지원정책의 과제와 새로운 패러다임(게임), 문화정책의 대안모색을 위한 연속토론회 자료집 : 문화연대, 2017. 2.22. http://www.culturalaction.org/xe/center_01/1133474
  14. 이은주, 한국 경품취급게임의 사행성 기준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디지털콘텐츠학과 박사학위 논문, pp. 75-76, 2005.
  15. 정영수, 게임물의 사행성기준에 관한 연구, 영상물등급위원회, 2003.
  16. 헌법재판소, 선고 2012헌마1029, 전원재판부 [게임산업진흥에관한법률시행령별표2제7호위헌확인], 2014.9.25. https://casenote.kr/%ED%97%8C%EB%B2%95%EC%9E%AC%ED%8C%90%EC%86%8C/2012%ED%97%8C%EB%A7%88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