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lyrical expression of Mono no aware aesthetic -concentrated on

모노노아와레 미학의 서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곤 사토시의 <천년여우>를 중심으로-

  • 하예 (한서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대학원, 한서대학교 예술관 영상애니메이션 학과사무실) ;
  • 김홍균 (한서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한서대학교 예술관 영상애니메이션 학과사무실)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 the animation (2001) based on the three phases of the lyrical expression derived from Ye Weiqu's Mono no aware Aesthetic-a Japanese classical aesthetics' perspective, on the aspects of the perceptions of human, world, and nature. By analyzing each component of three phases of Mono no aware Aesthetic, the thesis illustrated that how (2001) utilized and expressed Japanese classical aesthetic and how Japanese classical aesthetics were widely utilized into modern Japanese animations. Moreover, the thesis also stated that Mono no aware Aesthetic has become a creative element in order to answer a development direction with future Japanese animations. Through integrating Japanese unique classical aesthetics into the animation elements, Satoshi Kon, the director of the animation, well carried and expressed the cultural content of Japanese nation, thus promoting a deep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for Japanese animation which have a wide appeal. In his masterpiece -, the characters building, plot describing, theme expressing, cultural meaning could be analyzed respectively by means of Ye Weiqu's 3 phases of Mono no aware aesthetic, reflecting how inherited the legacy of Japanese classical aesthetics. Furthermore, based on the analysis method, the animation contributed tremendously to Japanese classical aesthetics and Mono no aware aesthetics. Tradition for classical aesthetics could play a role as a creative tool for contemporary and future animation.

본 연구는 예웨이쥐가 제기한 '모노노아와레 미학'의 서정적 표현인 '사람에 대한 감동', '세상에 대한 감동', '자연에 대한 감동' 등 3단계를 기준으로 애니메이션 <천년여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예웨이쥐의 모노노아와레 미학적 표현의 3단계 구성이 애니메이션 <천년여우>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일본 고전미학이 현대 일본애니메이션에서 폭넓게 응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모노노아와레가 향후 일본 애니메이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창조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근거라고 제시하였다. 일본애니메이션 감독 곤 사토시는 일본 특유의 고전미와 애니메이션 요소를 융합, 일본의 민족적 문화 내용을 표현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일본애니메이션 특징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천년여우>는 작품 속의 인물, 스토리, 사상내용, 장면 구성 등을 분석한 결과, 예웨이쥐가 제기한 모노노아와레 미학의 3단계를 통해 일본 고전미를 충분히 계승한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일본의 고전적, 예술적 서정성을 통해 작품 속 농후한 일본 고전 색채와 다채로운 모노노아와레 미학을 확인하였으며 고전 미학적 전통이 현대는 물론 미래의 애니메이션 영화에도 창조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모토오리 노리나가, 역 김병수, 모노노아와레, 모시는사람들, 2016.
  2. 조성기, 아니메에서 일본을 만나다, 어문학사, 2009.
  3. 추혜진, 콘 사토시 작품에서 나타나는 양면성을 지닌 캐릭터의 페르소나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2014.
  4. 최광진, 한국의 미학, 미술문화, 2015.
  5. 폴 발리, 역 박규태, 일본 문화사, 경당, 2011.
  6. 本居 宣長著, 王向遠譯, 日本物哀, 吉林出版集團有限責任公司, 2010.
  7. 大西 克禮著, 幽玄.あはれ.さび, 書肆心水, 2013.
  8. 和辻 哲郞著, 日本精神史硏究, 岩波書店, 1926.
  9. 魯思.本尼迪克特著, 馬小鶴, 孫志民, 朱理勝譯, 菊花與刀, 九州出版社, 2005.
  10. 田中 久文著, 日本美を哲學する あはれ.幽玄.さび.いき, 靑土社, 2013.
  11. 西鄕 信綱著, 日本文學史, 人民文學出版社, 1978.
  12. 叶渭渠著, 日本文化史, 北京理工大學出版社, 2010.
  13. 叶渭渠, 唐月梅著, 日本文學史, 經濟日報出版社, 2000.
  14. 叶渭渠著, 日本文學思潮史, 經濟日報出版社, 1997.
  15. 叶渭渠, 唐月梅著, 物哀與幽玄 : 日本人的美意識, 广西師范大學出版社,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