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린이집 CCTV 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Preliminary Study on Utilization of Big Data from CCTV at Child Care Centers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유애형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투고 : 2017.10.15
  • 심사 : 2017.12.07
  • 발행 : 2017.12.31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easibility to utilize image data recorded and accumulated from CCTV at child care centers. Methods: Literature reviews, consultations and workshops with scholars studying child development, legal professionals, and engineer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and surveys targeting parents, directors and teachers were implemented. Results: It was found the big data from CCTV at child care centers can be used to make policies and implement research as a secondary data set after anonymization. Extracting implicit and useful data from images stored on CCTV is technically feasible. Also, it can be legally guaranteed to analyze the data under the condition of acquiring informed consents. Conclusion/Implications: It was likely to utilize image data from CCTV at child care centers as a secondary data set in order for policy development and scholarly purposes, after overcoming obstacles of the budget for additional infrastructures and consents of information hold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경 (2015). 유아교육기관 내 CCTV 설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Q 방법론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은진, 이정림, 조혜주 (2015). 아동인권 보호를 위한 CCTV의 설치 및 운영방안: 유치원.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 고종국, 배유석, 박종열, 박경 (2014). 영상 빅데이터 분석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9(4), 21-29. https://doi.org/10.22648/ETRI.2014.J.290403
  4. 권건보 (2011). 보육현장에 대한 전자적 감시의 법적 문제점. 세계헌법연구, 17(3), 79-105.
  5. 권미란 (2012). CCTV 존재 여부가 보육교사의 안전의식 및 안전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2), 822-826. https://doi.org/10.5762/KAIS.2012.13.2.822
  6. 김경미, 이의규, 정미옥 (2008). 마이크로데이터 제공현황에 관한 해외사례 연구. 통계연구, 13(1), 95-127.
  7. 김민호 (2013). CCTV 관리를 위한 법제연구. 성균관법학, 25(2), 219-243.
  8. 김영옥 (2016. 9). 빅데이터 시대와 한국유아교육학의 과제. 한국유아교육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부산.
  9. 김용대, 조광현 (2013). 빅데이터와 통계학.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4(5), 959-974. doi:10.7465/jkdi.2013.24.5.959
  10. 김유경, 엄기문, 조기성 (2016). 객체 추적 연동 다중 PTZ 카메라 제어 기반 객체 중심 다각도 영상 획득 기술. 정자통신동향분석, 31(3), 1-8. https://doi.org/10.22648/ETRI.2016.J.310301
  11. 김은하, 손수민 (2015). 어린이집 CCTV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아동교육, 24(1), 99-117.
  12. 김지섭, 남장군, 장병탁 (2015). 딥러닝 기반 비디오 분석 기술. 정보과학회지, 33(9), 21-31.
  13. 문해민, 곽근창, 반성법 (2011). 감시카메라 시스템에서 PCA에 의한 보간법과 거리별 얼굴인식률 분석.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1(6), 153-160.
  14. 박화진 (2013). 객체 추적을 통한 이상 행동 감시 시스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4(4), 589-596. https://doi.org/10.9728/DCS.2013.14.4.589
  15. 보건복지부 (2015). 어린이집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운영 가이드라인. 세종: 보건복지부.
  16. 보건복지부 (2015. 12. 22). 어린이집 CCTV 설치율 99.9%, 아동학대 사전예방 기대. 보건복지부 보육기반과 보도자료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29140&page=1에서 2017년 1월 28일 인출
  17. 보건복지부 (2016). 2016년도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8. 보건복지부 (2017). 2017년도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9. 심규호, 박시내 (2010). 통계이용 활성화를 위한 2차 자료 생산.활용 방안 연구. 대전: 통계청.
  20. 심영빈, 박화진 (2015). CCTV에서 폭력 행위 감지 시스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6(1), 25-32. https://doi.org/10.9728/DCS.2015.16.1.25
  21. 안영주, 김승인 (2014). 빅 데이터의 효용성 검토와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한 제고: 빅데이터의 공공부문 활용 가치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3), 501-510.
  22. 연합뉴스 (2016. 8. 24). 학교 CCTV 절반가량은 무용지물...얼굴도 차량번호도 식별 못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8/23/0200000000AKR20160823117300054.HTML?input=1195m에서 2017년 4월 29일 인출
  23. 이우범 (2010). 자기조직형 얼굴 인식에 의한 학생 출결 관리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3), 72-79. https://doi.org/10.5392/JKCA.2010.10.3.072
  24. 이정헌 (n.d.). 빅데이터 분야를 위한 이미지 마이닝 기술 동향 분석 및 산업 동향 고찰. http://www.slideshare.net/opendori/ss-28754144에서 2016년 2월 10일 인출
  25. 이현우 (2009). 패널조사의 유용성과 문제점: 17대 대선자료를 대상으로. 조사연구, 10(2), 23-43.
  26. 임수정, 이일랑, 이대균 (2013). CCTV와 함께 생활하는 유아교사 이야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3), 433-453.
  27. 정용찬 (2013). 빅데이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8. 정현성, 김태현 (2015). 어린이집 CCTV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타전공대학생과의 비교. 아동교육, 24(4), 293-309.
  29. 정현옥 (2011). 서울형 어린이집의 CCTV 및 IPTV 운영실태 및 활용방안.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완섭, 최상현, 나종화, 류관희, 김용채 (2015). 빅데이터 이해와 활용. 청주, 충북: 충북대학교 출판부.
  31. 주주자 (2014). 학교 내 범죄발생에 따른 CCTV 설치 동의와 인권침해 인식. 법과인권교육연구, 7(1), 107-134.
  32. 최제영 (2012). 스마트교육 환경에서의 빅데이터 동향.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3. Davies, A. E., & Velastin, S. A. (2005). Progress in computational intelligence to support CCTV surveillance systems. Intranational Scientific Journal of Computing, 4(3), 76-84.
  34. IBM Institute for Business Value. (2013). Analytics: The real world use of big data in finance services: How innovative banking and financial markets organizations extract value from uncertain data. Somers, NY: IBM Global Services.
  35. McKinsey Global Institute. (2011).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Retrieved January 18, 2017 from http://www.mckinsey.com/business-functions/digital-mckinsey/our-insights/big-data-the-next-frontier-for-innovation.
  36. Vartanian, T. P. (2011). Secondary data analysis. NY: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