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actical Study of Area Error Formula in Numerical and Graphical Cadastral Surveying

수치 및 도해 지적측량의 면적오차 계산식에 관한 현실적 고찰

  • Received : 2017.11.21
  • Accepted : 2017.12.15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In cadastral surveying, there are problems that no area error is allowed where numerical surveying is carried out, and allowable area error is specified irrespective of parcel shape where graphic surveying is carried out. In this research, we derived a general formula of parcel area error necessary for grasping these two problems. The calculations using the derived formula showed that where the coordinate error of the boundary point is set to 5cm+10ppm practically, then even a small parcel of $100 m^2$ includes non-negligible area error of $0.71m^2$. And, it is found that the area error specified by the current egulation is based on a rectangular parcel of 1:5 aspect ratio.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rea error of polygon parcel can be determined by a single formula by specifying the coordinate error of the boundary points, and can be used to revise the current regulations that can be applied uniformly regardless of surveying methods.

지적측량의 경우 수치측량을 실시하는 지역에서는 사실상 면적오차를 허용하고 있지 않으며, 도해측량을 실시하는 지역에서는 필지 형상과 무관하게 면적오차를 규정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문제점의 파악에 필요한 면적오차의 일반식을 도출하였다. 이 수식을 이용한 계산에 의하면, 현실적으로 지적재조사 사업의 필지경계점의 좌표오차를 5cm+10ppm으로 둘 경우, $100 m^2$ 필지라 해도 면적오차가 $0.71m^2$ 로서 무시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적법시행령에서 규정한 면적오차는 경계점 오차를 ${\sigma}_o=0.3mm{\times}$ 도면축척으로 둘 경우 변장 비율이 1:5인 직사각형의 면적오차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각형 필지의 면적오차는 경계점 좌표의 오차 크기를 지정함으로써 측량 방법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수식에 의해 면적오차의 허용범위를 정할 수 있다는 것으로, 지적측량의 면적오차를 규정하는 현행 규정을 합리적으로 개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Choi, D.S., Kim, Y.J., and Lee, S.C. (2004), A study on removing area exceeding the error limit due to computerization of the cadatral map - Focusing on Deugu megapol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6, No. 1, pp. 85-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Lee, Y.G. and Kim, G.Y. (2015), Analysis on the error amount of land Register area for placing coordinates of land boundar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7, No. 1, pp. 91-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1.091
  3. Park C.B. (2009), A Study on Areal Error Limit of Cadastral Survey - Apply on Haeundae-Gu, Busan.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64p.
  4. Weisstein, E. (2017), Polygon Area, Wolfram MathWorld, http://mathworld.wolfram.com/PolygonArea.html (last date accessed: 20 Septembe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