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ibliographic Study on 『ChungMinKongKeicho (忠愍公啓草)』 by YI Sun-sin

이순신의 『충민공계초(忠愍公啓草)』에 대한 서지적 고찰

  • Received : 2015.09.30
  • Accepted : 2016.05.1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Jangkei(狀啓) made to the Royal Court by Yi Sun-si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s handed down under the names of Jangcho(狀草), Keicho(啓草), Keibon(啓本) and others depending on copying patterns of those times and later times as it was copied out by a third person. In particular, "YimjinJangcho(壬辰狀草)" which Yi drew up during his service as the director of the naval forces in Jeolla Jwasooyeong is known as the most popular Jangkei. "ChungMinKongKeicho" which has been re-located recently after loss is a national treasure level cultural property as valuable as "YimjinJangcho" and should be treated as a model of Yi Sun-sin's other Jangkeis by next generations. As of now, however it is not confirmed if it is a totally new book related to Yi Sun-sin or is supplementary to the lost Jangkei, this study decided to ascertain relevant information through a bibliographic discussion on the question. "Chungmin(忠愍)" was the title that was used after the death of Yi Sun-sin, and "ChungMinKongKeicho" was completed when Jangkei was copied in 1662. 12 books that would not be found in YimjinJangcho are included in the book and such books are also present in the Jangkei supplement which has been known lost so far. What should be especially focused on here is that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se (11) photographs that Japanese shot from "ChungMinKongKeicho" in 1928 turned out to be completely identical to those of the original copy. The point that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dded the 12 books to Jangkei as referring to the book as "One Keicho(啓草) partially copied(抄寫) in separation" and that Cho Sung-do categorized the 12 books into a supplement and others can be solid proofs to make the Jangkei supplement called "ChungMinKongKeicho". In terms of "ChungMooKongKeicho", since it consists of 62 books in total, it is not reasonable to see the book as Jangkei supplement which has the extra 12 more books for itself. "ChungMooKongKeibon" in "ChungMooKongYusa" was written with a total of 16 books. In the body, Yidumun is only clearly present, and the three books in the later part are same with the original copy of "ChungMooKongKeicho". "YimjinJangcho" by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has been the only book in which Yidumun was observed so far but now, it is assumed that the publication date of "ChungMooKongKeibon" goes before that of the former. The counterargument to the opinion that "ChungMinKongKeicho" is the supplement to Jangkei is based on Lee Eun-sang's comment "One page of a log in the Jangkei copy supplement." At first Seol Ui-sik introduced a piece photo of the rough draft of "MoosulIlki" in a drawing form through "Nanjung Ilkicho by Yi Sun-sin" in 1953. Lee Eun-sang also added two pages of the handwritten Yilkicho in the Jangkeichobon supplement to "MoosulIlki" and for the second time, the phrase "One page of a log written during the last 10 days after the Jangkei copy supplement" and "Supplement" were used. Those views are originated from the comment "One photograph of the rough draft of "MoosulIlki"" which Seol Ui-sik introduced without knowledge of the exact source. Lee Eun-sang said, "One page of a log in the Jangkei copy supplement" because Lee mistook "ChungMooKongYusa" for a book related to Jangkei. Since it is the wrong argument different from the actual situation of the original copy, if it has to be corrected, it should be rephrased "One page of a log in ChungMooKongYusa." After all, the source of the counterargument is the mistake because there has never been the Jangkei supplement with one page of a log included. All the Jangkeis other than "YimjinJangcho" can be said as the Jangkei supplements but still, they are separated from the other Jangkeis for the extra 12 more books are present in the commonly-called Jangkei supplement. Due to that reason, the argument on how "ChungMinKongKeicho" with the 12 books added is the popular Jangkei supplement should be considered more reasonable.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중 조정에 보고한 장계(狀啓)가 그 당시와 후대의 등록(謄錄) 형식에 따라 3자에 의해 등서되어 현재 장초(狀草), 계초(啓草), 계본(啓本) 등으로 전한다. 특히 전라좌수영의 수군절도사로 재직할 때 작성된 "임진장초(壬辰狀草)"는 대표적인 장계로 많이 알려졌다. 최근에 분실되었다가 소재가 확인된 "충민공계초"는 "임진장초"와 함께 후대의 이순신 장계류에 전범이 될 만큼 사료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국보급 유물이다. 그러나 이 책이 이순신 관련한 새로운 책인지 아니면 기존에 분실되었던 장계별책인지 불분명한 상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서지적인 고찰을 통해 관련 내용을 고증하였다. "충민(忠愍)"은 이순신이 사후에 사용했던 명칭이었고, 1662년에 장계가 등서되어 "충민공계초"가 완성되었다. 여기에는 "임진장초"에 없는 12편이 더 들어있는데, 그간 분실된 것으로 알려진 장계별책에도 "임진장초"에 없는 12편이 더 들어 있었다는 점이 서로 일치하는 점이다. 특히 1928년 일본인들이 촬영한 사진 11장의 형태와 내용이 "충민공계초"에 들어있는 12편과 완전 일치한다. 조선사편수회에서 이 책을 "별도로 초사(抄寫)한 계초(啓草) 1책"이라고 한 점, 이 책의 12편으로 장계를 보충한 점, 홍기문과 이은상이 장계초본에 기존 "임진장초"에 없는 12편이 더 들어있다고 한 점, 조성도가 12편을 따로 별책본으로 분류한 점 등은 12편이 들어있는 장계별책을 "충민공계초"라고 할 수 있는 근거가 되어준다. "충무공계초"는 편수가 총 62편이므로 12편이 더 들어있는 분실된 장계별책으로 보긴 어려울 것이다. "충무공유사"의 "충무공계본"은 모두 16편이다. 본문에는 이두문이 그대로 실려 있고, 뒤의 3편은 "충민공계초"원문과 동일하다. 지금까지 이두문이 그대로 실린 것은 1935년에 간행된 조선사편수회의 "임진장초"가 유일했는데, "충무공계본"의 간행된 시기가 오히려 이를 앞서는 것으로 추정된다. "충민공계초"가 장계별책이라는 것에 대한 반론은 이은상이 "장계등본 별책의 일기 1장"이라고 한 말에 근거한다. 1953년 설의식이 "이순신수록 난중일기초"에 "무술일기" 초고 사진 1장을 도판으로 처음 소개하였다. 이은상도 "무술일기"에 장계초본 별책 속의 친필 일기초 2면을 첨가했고, 다시 "장계 등본 별책 끝에 최후 10일 동안의 일기 한 장"과 "별책부록"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이 의견은 설의식이 정확한 출처를 모르고 소개한 "무술일기" 초고 사진 1장"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은상은 "충무공유사"를 장계관련 책으로 잘못 파악하고 "장계등본 별책의 일기 1장"이란 말을 하였다. 이는 실제 원본상황과 다른 잘못된 견해이므로, 굳이 이를 정정한다면 "충무공유사의 일기 1장"이라고 해야 한다. 따라서 일기 1장이 딸린 장계별책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반박의 근거가 잘못된 것이다. 요컨대 "임진장초" 이외의 모든 장계들을 장계별책이라 할 수 있겠지만, 지금까지 통상 지칭되었던 장계별책에 유독 12편이 더 실려 있다고 한다. 이 점이 다른 장계류와 차별화된 점이다. 그러므로 여러 장계이본 중에서 유일하게 12편이 더 수록된 "충민공계초"가 기존에 알려진 장계별책이라는 견해에 더 무게가 실릴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윤휴, 백호전서, 한국고전번역원
  2. 이긍익, 연려실기술, 한국고전번역원
  3. 이순신, 이충무공전서 , 한국고전번역원
  4. 이유원, 임하필기, 한국고전번역원
  5. 이인로, 파한집, 국립중앙도서관
  6. 이항복, 충민사기
  7. 조경남, 난중잡록, 한국고전번역원
  8. 조선사편수회, 임진장초, 현충사
  9. 조선사편수회, 1935, 조선사료총간제6
  10. 최시옹, 난중잡록서
  11. 경국대전, 국립중앙도서관
  12. 대동지지, 서울대 규장각
  13. 충무공계초,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14. 충무공시호교지, 덕수이씨종친회
  15. 충무공유사, 서울대 규장각
  16. 충민공계초, 국립해양박물관
  17. 현종실록
  18. 효종실록
  19. 노승석, 2014, 증보교감완역 난중일기
  20. 노승석, 2008, 충무공유사, 현충사
  21. 박선이, 2014, 충민공계초 임진왜란 시기 장계에 나타난 조선식 한문연구 부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박혜일 번역.노승석, 2014, 증보교감완역 난중일기, 여해
  23. 설의식, 1953, 이순신수록 난중일기초, 수도문화사
  24. 이은상, 1968, 난중일기, 현암사
  25. 이은상, 1960a, 난중일기 이충무공전서 상권, 충무공기념사업회
  26. 이은상, 1960b, 장계 이충무공전서, 충무공기념사업회
  27. 이은상, 1960, 이충무공난중일기 문화재연구자료 제1집, 문교부
  28. 이형중, 2012, 조선시대 등록(謄錄)체계의 기록학적 의미와 현대적 변용, 서울대학교 기록관리학 석사학위논문
  29. 정주호, 1992, 임진장초 중심으로 한 전후기 이두어휘 대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조성도, 1973, 임진장초, 동원사, 목차
  31. 홍기문, 1955, 장계 리순신장군전집, 국립출판사(평양)
  32. 靑柳南冥, 1916, 狀啓 原文和譯對照 李舜臣全集, 조선연구회
  33. 동아일보, 1969. 4. 29, 유물전시관 전시품목
  34. 부산 연합뉴스, 2015. 8. 17, 충민공계초 분실, 장계별책 동일여부 논란
  35. 연합뉴스, 2015. 4. 6, 이순신 장계별책으로 확인된 충민공계초
  3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37. e-뮤지엄사이트 http://www.emuseum.go.kr
  38. 종합영상시스템 http://gsm.nricp.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