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ate of Sword martial arts through Siye in 『Mangiyoram』

『만기요람』 시예(試藝)의 도검무예 현황

  • Received : 2016.05.26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Sword martial arts was enforced to military in Hullyeon dogam, Geumweyeong, and Eoyeong-cheong through Siye in chapter gunjeong of Mangiyoram.. The conclusion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typical type of siye performed to military were jungsun and gwanmujae. magun and bogun were performed separately with chosi as their center and the basic forms of test have wongi and byeolgi in common. Second, there was a special restriction of application in jungsun. applicants in waegeomgyojeonsu must not apply yedo and hyeopdo in duplicate and applicants in yedo and hyeopdo must not do in the same manner. this was a considerate system to the military because they could be a professional through a systematic training of only one kind of Sword martial arts. Third, one of the special features in gwanmujae was bogun byeolgi. waegeomgyojeon, yedo, hyeopdo, eonwoldo, jedokgeom, bongukgeom, deungpae were designated and performed. 7gi except Sword martial arts in muyedobotongji. Sword martial arts was actually supplied and very helpful to the military. Forth, Siye made the military practice skills and improve martial art ability of their own free will and it was a great reward system to an excellent military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concrete meaning of Sword martial arts at the central military camp in late Joseon dynasty.

이 연구의 목적은 "만기요람" "군정편" 시예를 통하여 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의 군사들에게 어떠한 도검무예가 시행되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기요람" "군정편"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조선의 군사제도 및 군사정책 그리고 중앙군영의 구체적인 운영규모 및 현황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 자료이다. 둘째, 도성을 방어하는 군사들에게 시행된 대표적인 시예는 중순(中旬)과 관무재(觀武才)였다. 시예의 종류로는 훈련도감은 중순, 관무재, 별시재, 서총대시사, 금위영은 상시재, 기사도시, 중순, 관무재, 별시재, 서총대시사, 어영청은 상시재, 기사도시, 중순, 관무재, 별시사, 서총대시사가 시행되었다. 셋째, 중순의 특징은 응시자지원 제한규정에서 왜검교전수가 예도와 협도를 응시할 수 없고, 예도와 협도수가 왜검교전을 중복해서 응시할 수 없었다. 넷째, 관무재의 특징은 보군 별기였으며 여기에는 왜검교전, 예도, 협도, 언월도, 제독검, 본국검, 등패 등 7기가 지정되어 시행되었다. 이 도검무예들은 "무예도보통지"에 모두 실려 있었다. 다섯째, 시예는 군사들이 자발적으로 평상시에 개인기량을 연마하여 평가하고 자신의 무예실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군사들에게 포상을 내리는 좋은 제도였다. 이 연구를 통해 "무예도보통지"의 도검무예의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