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mployment and Industrial Structure and Poverty of the Regions

지역의 고용 및 산업 구조와 빈곤의 관계

  • 백학영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1.30
  • Accepted : 2016.04.01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abour Market Structure and Poverty of the Region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make an investigation in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vert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regional labour market structure. Most previous studies on poverty were more likely to examine internal factors like the characteristics of poor households or family structures than external factors in terms of the regional environm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used the Small Area Estimation designed to estimate the income of each household and then calculate the poverty rate of each local area in order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verty. The poverty distribution in Korea showed the local labour market structures effect on the region poverty rate. The Korean economy now exhibits a big gap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s and betwee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The poverty rate of particular regions will increase and those in the areas will face deteriorated circumstances falling into poverty traps. This study reflects this stern reality and empirically proved the strong need for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in conducting studies on poverty and related policy amendments.

본 연구는 지역의 고용 구조와 빈곤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빈곤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급자 개인을 넘어 지역에 기반한 다양한 정책적 모색이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지역추정법을 통해 지역별 빈곤 공간분포와 지역의 다양한 특성과 빈곤과의 관계를 탐색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지역의 고용 및 산업 구조와 빈곤율의 관계는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다.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율이 높을수록 지역 빈곤율은 낮아서, 최근 근로빈곤의 심각성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지역의 일자리 질은 부분적으로 지역의 빈곤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지역의 산업 구조와 빈곤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역에 농업, 임업, 어업 종사인구가 많을수록 빈곤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제조업,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종사자 수와 비율은 빈곤율과 부적의 관계를 보여, 도시와 농산어촌 지역의 빈곤율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간 국내의 빈곤 연구들은 가구나 가구에 속한 개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빈곤을 접근하는데 있어서 보다 거시적이고 구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점에서 빈곤을 설명하는 시각을 더 넓히고 빈곤문제에 대해서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