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paring the Original and Current Jongmyo Jeryeak

종묘제례악 원형과 현행의 비교 고찰

  • 문숙희 (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 Received : 2016.01.13
  • Accepted : 2016.02.20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Jongmyo Jeryeak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which has been played till now since two great kings Sejong and Sejo who made it. But going through Japanese occupation, Jongmyo Jeryeak has been changed into a music totally different from the music the two kings intended. And the changed Jongmyo Jeryeak is being played these days. The original Jongmyo Jeryeak, which was made by the two kings, remains in old music scor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and current Jongmyo Jeryeak by interpreting the old music scores and recovering the original. This paper recovers the origianl Jongmyo Jeryeak from the music score Daeakhubo and compares it with the current Jongmyo Jeryeak.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origianl Jongmyo Jeryeak is a set of common songs made with Hyangak and Gochiak to sing the verses which extol royal ancestors' virtues. All of the musical elements are matched with the verses so that the meaning of the verses is transmitted naturally. Jangdan musical time musical structure are matched with the structure of verses, and the musical motif of the songs is matched with the meaning of the verses. The music, which is easy and expresses the meaning of the verses well, demonstrates King Sejong's talent as a musician. The current Jongmyo Jeryeak is a set of special songs in which Sigimsae is emphasized rather than the meaning of the verses. The melodies are broken into pieces inconsistently, the meaningless word 'ae' is added thoughtlessly, and Jangdan musical time musical structure are unrelated to the verses.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verses is not transmitted at all. These changes, which were mad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eem to desecrate the verses of the original songs. The melodies, which are broken into pieces inconsistently, revive into the current mysterious ritual music through Sigimsae. But in order to be a proper ritual music, some corrections have to be made to convey the meaning of the verses.

종묘제례악은 세종 세조 두 대왕에 의해 만들어진 이후 지금까지 연주되고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종묘제례악은 두 왕이 의도했던 음악과는 완전히 다른 음악으로 변했고, 변화된 종묘제례악이 현재 연주되고 있다. 두 왕에 의해 만들어진 종묘제례악 원형은 현재 고악보에 남아 있다. 따라서 고악보를 바르게 해석하여 원형을 찾아 현행과 비교함으로써 두 음악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악후보" 종묘제례악을 원형으로 복원하여 현행 종묘제례악의 노래선율과 비교하며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종묘제례악 원형은 '조종의 공덕을 칭송'하는 가사를 부르기 위해 향악과 고취악에 붙여 만든 일반적인 노래이다. 모든 음악적인 내용이 가사에 맞추어져 있어 자연스럽게 가사의 의미가 전달된다. 장단 박자 음악형식은 가사 형식에 맞추어져 있고 노래의 악상(樂想)은 가사의 내용에 맞추어져 있다. 쉬우면서도 가사의 의미를 잘 표현하고 있는 이 노래는 세종대왕의 작곡가로서의 재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종묘제례악 현행은 가사의 의미 보다는 시김새가 강조되어 있는 특별한 노래이다. 선율들은 일관성 없이 조각나 있고 의미없는 가사 '애'가 무분별하게 첨가되어 있으며, 장단 박자 음악형식 또한 가사의 내용과 무관하여, 가사의 의미는 전혀 전달되지 않는다. 일제강점기에 감행된 이러한 변화는 원 노래의 가사를 훼손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일관성 없이 조각난 선율은 시김새로 인해 현재의 신비스러운 제사음악으로 되살아났다. 하지만 이 음악이 완전한 제사음악이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가사의 의미를 살리는 수정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