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기술인력의 경력개발 촉진 요인에 대한 분석

A Study on 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in Scientist and Engineer Laborforce

  • 투고 : 2016.07.18
  • 심사 : 2016.08.29
  • 발행 : 2016.09.30

초록

본 연구는 이공계 대졸자 초기노동시장 경력개발 모형 연구로 과학기술인력의 경력개발을 촉진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학기술인력의 경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괄한 세 가지 로짓 분석 모형을 구성하고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인력 전문직업에 안착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설명변수는 크게 2011년 일자리 속성, 현재 일자리 속성, 근로조건 변화 속성, 취업 노력 속성, 대학 교육 속성, 인적 속성 등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세 가지 분석 모형은 일자리 속성 위주의 설명변수를 주로 포함한 수요측면 모형, 취업노력이나 대학 교육 속성 등을 중심으로 한 공급측면 모형, 모든 설명변수를 포함한 종합 모형이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인력의 안정적인 경력개발을 위해서는 대학교육 등 공급측면보다 수요측면의 일자리 속성이 훨씬 더 중요하게 나타났다. 결국 초기에 안정적으로 과학기술전문직업에 안착할 수 있도록 좋은 일자리 창출과 매칭 정책이 가장 절실한 정책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promoting career development of scientist and engineer laborforce. We made up three logit analysis models to figure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of scientist and engineer laborforce. Dependent variables were composed of job attributes in 2011, current job attribute, changing of working conditions, efforts of job seeking, university education, and personal characters. Three analysis model were composed of demand side model which including job attributes factors, supply side model which focus on employment or university education characters and total model including the demand and the supply factors. The results showed a stable career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st and engineer laborforce's job attributes on the demand side than the supply side, such as a college education even more important. After all, the initial stable jobs and good matching policy were the most important policies to be seated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profess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흥국 (2000), "경력개발 이론의 평가와 연구방향", 인적자원개발연구, 제2권 제2호, pp. 1-41,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 남춘호 외 (2005), 지식정보사회의 경력과 생애과정, 정보통신정책연구원.
  3. 박기범 외 (2014), 전환기 과학기술인재정책의 한계 및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 신종각.이주현.장지선 (2014), 2010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추적조사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5. 심정민.박진우.조근태 (2014), "과학기술인력의 성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제22권 제1호, pp. 89-117. https://doi.org/10.14383/SIME.2014.22.1.004
  6. 엄미정 외 (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 인력 지원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7. 정경자.이주량.이영민 (2010), "과학기술인력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 탐색과 근속에 대한 영향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8권 제2호, pp. 1-32.
  8. 최영섭 외 (2007), "이공계 고등교육 졸업생의 노동시장 이행 과정 분석: 일자리 유형별 취업 소요 기간 분석을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0권 제2호, pp. 1-24.
  9. 한국고용정보원 (2014), 2010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추적조사 원자료.
  10. 홍성민 외 (2011), "이공계 대졸자의 초기노동시장 경력개발 경로 확충방안", STEPI Insight, 제77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홍성민 외 (2013), 미래 과학기술 인재상과 이공계대학 지원정책의 전환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홍성민 (2015), "우리나라 과학기술인력의 경력이탈 현황 분석", 공학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한국공학교육학회.
  13. 홍성민.손경현 (2016), "이과학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R&D 연계 촉진방안", STEPI Insight, 제186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Arthur, M. B., D. T. Hall and B. S. Lawrence (1989), "Generating New Directions in Career Theory: The Case for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in M. B. Arthur, D. T. Hall, and B. S. Lawrence (eds.), Handbook of career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Dietz, J. S. and B. Bozeman (2005), "Academic Careers, Patents, and Productivity: Industry Experience as Scientific and Technical Human Capital", Research Policy, Vol. 34, pp. 349-367. https://doi.org/10.1016/j.respol.2005.01.008
  16. Driver, M. J. (1979), "Career Concepts and Career Management in Organizations", in C. L. Cooper (ed.), Behavioral problems in organiz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7. Greenhaus, J. H. (1987), Career Management, Chicago: The Dryden Press.
  18. Long, J. S. and R. McGinnis (1985), The Effects of the Mentor on the Academic Career, Scientometrics, Vol. 7, No. 3, pp. 255-280 https://doi.org/10.1007/BF02017149
  19. Mallon, M., J. Duberley and L. Cohen (2005), Careers in Public Sector Science: Orientations and Implications, R&D Management, Vol. 35, No. 4, pp. 395-407 https://doi.org/10.1111/j.1467-9310.2005.00397.x
  20. Merton, R. K. (1968),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New York: The Free Press.
  21. Rappa, M. A. and K. Debackere(1995), An Analysis of Entry and Persistence Among Scientists in an Emerging Field, R&D Management, Vol. 25, No. 3, pp. 323-341
  22. Zuckerman, H. (1977), Scientific Elite: Nobel Laureates in the United States, New York: The Fre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