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ipbuilding Industry's Employment Linkage Effects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 using the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

가상추출법을 이용한 조선업의 지역·산업간 고용연관효과

  • 변장섭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 Received : 2015.08.15
  • Accepted : 2016.09.27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In order to address the crisis of the regional employment structure caused by the recent restructuring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this study estimates the shipbuilding industry's Employment Linkage Effect(ELE)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 Consequently, the study uses the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 on the shipbuilding industry from the 2013 Regional Input-output Tabl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hipbuilding industry's ELE across industries is estimated at its highest in wholesale and retail, followed by shipment, other manufacturing, project supporting service, machine and equipment manufacturing, and metal product manufacturing. These industries either have a high employment to GDP ratio or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terms of production activities. Second, the Southeastern Korea's ELE on South Jeolla Province is very low, and, accordingly, South Jeolla Province is isolated in the employment structure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Therefore, when the government establishes measures to tackle the crisis of employment caused by the shipbuilding industry's restructuring, it should prioritize identifying such regional employment structures, as demonstrated above, and incorporate them into the regional industry policy.

본 연구는 최근 조선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지역고용구조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조선업이 집중된 전남과 부산,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조선업의 지역 산업간 고용연관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추출법을 이용하여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에서 조선업을 추출하였고,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조선업의 제외 전 후의 고용연관효과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조선업의 산업간 고용연관효과는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기타 제조업, 사업지원 서비스업, 기계 및 장비 제조업, 금속제품 제조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산업들은 취업계수가 높거나, 생산활동 측면에서 조선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산업들이다. 둘째, 지역의 조선업에 의한 전국에 파급되는 산출액 당 고용연관효과는 전남이 가장 높지만, 부산과 울산, 경남에서 전남으로 파급되는 고용연관효과는 매우 낮게 추정되었다. 즉 이 지역들과 전남과는 고용연관관계가 매우 낮고, 이에 따라 조선업의 고용구조에서 전남이 고립되어 있는 상황이 나타났다. 따라서, 조선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지역의 고용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반영한 지역산업정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2016), "조선업 구조조정 대응 고용지원 및 지역경제 대책", 제45차 고용정책심의회, 2016.6.30.
  2. 김태룡(1989), "조선산업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8집, 85-103.
  3. 나주몽.김일태(2016), "가상추출방법을 이용한 고용창출형 선도산업의 고용연관효과", 한일경상논집, 제70권, 199-222.
  4. 송가영.김의준(2007), "수도권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국가 및 지역 생산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제8권 제3호, 1-12.
  5. 이승철.이승재(2011), "중국 조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중경상연구, 제10집 제1호, 31-52.
  6. 이홍배(2009), "한중일간 무역연관효과 분석: 경제통합에의 시사점", 동북아경제연구, 제21권 제3호, 103-131.
  7. 정영근.임응순(2011), "한국 조선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4호, 129-143.
  8. 채종훈(2010),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한 한국 조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14권 제1호, 33-53.
  9. 한국은행(2014), 산업연관분석해설, 한국은행
  10. 한국은행(2015), 2010년 및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 한국은행.
  11. 허재용.이진섭.곽승준(2008), "한국과 일본 제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제10집 제3호, 1-28.
  12. Cella, G.(1984), "The Input-Output Measurement of Interindustry Linkages,"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46, 73-84.
  13. Clements, B.J.(1990), "On the Decomposition and Normalization of Interindustry Linkages," Economics Letters, Vol.33, 337-340. https://doi.org/10.1016/0165-1765(90)90084-E
  14. Clements, B.J. and Rossi, J.W.(1991), "Interindustry Linkages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Case of Brazil Reconsidered," The Developing Economies, Vol.29 No.2, 166-187. https://doi.org/10.1111/j.1746-1049.1991.tb00205.x
  15. Groenewold, N., Hagger, A.J. and Madden, J.R.(1987), "The Measurement of Industry Employment Contribution in an Input-Output Model," Regional Studies, Vol.21 No.3, 255-263. https://doi.org/10.1080/00343408712331344438
  16. Groenewold, N., Hagger, A.J. and Madden, J.R.(1993), "Measuring Industry Importance: An Australian Application," Annals of Regional Science, Vol.27, 175-182. https://doi.org/10.1007/BF01581945
  17. Hirshman, A.O.(1958), The Stratgey of Economic Development, New Heaven: Yale University Press.
  18. Kelly, S., Tyler, P. and Crawfford-Brown, D.(2013), "The Economics of UK Infrastructure Using Key Linkage Analysis," University of Cambridge, Cambridge Center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Research Working Paper.
  19. Lopes, J.C.(2011), "High Employment Generating Industries in Portugal. An Input-Output Approach," Schoo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Technical University of Lisbon, Working Papers, WP24/2011/DE/UECE.
  20. Meller, P. and Marfan, M.(1981), "Small and Large Industry: Employment Generation, Linkages, and Key Sectors,"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Vol.29, 263-274. https://doi.org/10.1086/451246
  21. Miller, R. E. and Blair, P.D.(2009),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Seco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Schultz, S.(1977), "Approaches to Identifying Key Sectors Empirically by Means of Input-output Analysis,"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Vol.14 No.1, 77-96. https://doi.org/10.1080/00220387708421663
  23. Strassert, G.(1968), "Zur Bestimmung Strategischer Sektoren mit Hilfe von Input-Output Modellen(The Determination of Strategic Sectors Using Input-Output Models)," Jahrbucher fur Nationalokonomie und Statistik, Vol.182, 2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