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d the Handling Fee Decline Cause Consumer Surplus in the Port Business Market in Korea? : The Case of Busan port

컨테이너 하역요율 하락은 소비자잉여를 증가시켰는가? : 부산항을 중심으로

  • 최건우 (한양대학교 응용경제학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연구본부) ;
  • 김찬호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연구본부) ;
  • 김용규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 Received : 2016.08.12
  • Accepted : 2016.09.29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As increasing of container throughputs, port business market in Korea has been developed. However, due to the introducing of a handling fee reporting system in 1999 and surplus of facilities, port business market in Korea turned into deadly competition with lowering the handling fee. Due to the reasons, the handling fee in 2015 declined as much as 50% of in 2000.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handling fee decline caused consumer surplus in the port business market of Korea or not. To do that, this study applied a methodology of Alexander for estimating the consumer surplus and Hausman's model using Hicksian demand. As the result of the analyzing, due to the excessive decreasing of the handling fee compared the import & export demand, consumer surplus of the port business market in Korea was decreased. However, due to the exception of transshipment from demand in this study, transshipment demand is needed to be considered to estimate of economic value of port business market in Korea in the future. Also, economic value of port business including subsidiary businesses will be estimat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method for estimating economic benefit of port construction.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로 이를 처리하는 하역산업 증가하였다. 하지만 1999년 이후 하역요율의 신고제 전환과 시설 공급 과잉으로 인해 하역사간의 과도한 요율경쟁이 발생하여 2015년 기준 컨테이너 하역 요율이 2000년에 비해 절반 이하로 하락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역 요율의 하락이 항만 물동량 수요에 영향을 미쳐 항만 하역산업의 시장을 확대 시켰는지? 아니면 과도한 요율 경쟁으로 인해 소비자잉여가 오히려 축소되었는지를 경제학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항만부문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연구에서 사용한 직접추정방식이 아닌 수요함수를 이용한 추정방식을 제시하였으며 소비자잉여 추정을 위해 타분야에서 주로 사용된 알렉산더방식 외에 힉스의 수요함수를 이용한 하우스만방식을 이용하여 추정의 신뢰성을 높였다. 그 결과 컨테이너 수출입 수요에 비해 하역 요율이 과다하게 하락하여 소비자잉여를 포함한 하역산업의 경제적 가치는 오히려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향후 환적 컨테이너 물동량을 포함한 경제적 가치추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하며 나아가 항만산업 전체로 확대하여 현재 항만부문 예비타당성 조사 표준지침에서 이용되고 있는 경제적 편익 방식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균.문성혁.노홍승(2001), "항만가치의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6호, 75-87.
  2. 길광수(2011), "부산항 컨테이너 하역시장 안정화방안", 한국해운물류학회지, 제27권 제2호, 161-191.
  3. 류동근.최진이.김태균(2012), "부산항 항만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6권 제10호, 895-904. https://doi.org/10.5394/KINPR.2012.36.10.895
  4. 박계각.김태기(2006), "세계 주요항만의 항만요율 비교분석 및 거시경제지표와의 실증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2권 제4호, 81-98.
  5. 박진호.이한덕.송여효(2013), "국내 자동차 수리용 부품시장의 소비자잉여 손실 최소화 방안", 산업경제연구, 제26권 제1호, 11-136.
  6. 어승섭.유승훈(2010), "공업용수의 소비자잉여와 경제적 가치 추정", 국토연구, 제65권 제2호, 151-162.
  7. 양창호.여기태.정현재.김호균.손유리(2011), "AHP를 이용한 항만 리모델링 비시장적 편익요인 분석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제23권 제1호, 57-62.
  8. 이민규.이기열(2016),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지, 제32권 제2호, 299-322.
  9. 이창근.김의준(2016), "물류산업의 공급지장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산출승수와 생산-생산승수의 적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1권 제3호, 273-290.
  10. 최진이(2016),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요금 인가제가 항만운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9권 제4호, 71-96.
  11. 하태영.최상희.김정현(2013), "컨테이너 하역시장 경쟁구도 정상화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본과제, 1-204.
  12. 한국개발연구원(2014), 항만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13. 허연.홍준호(2005), "온라인 보험료 비교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계약자의 소비자잉여 추정", 한국리스크학회, 제16권 제1호, 1-24.
  14. Alexander, D.L..W. Kern and J. Neil(1981), "Valuing the Consumption Benefits from Professional Sports Franchis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48, 321-337.
  15. Danielis, R..T. Gregori(2013), "An input-output-based methodology to estimate the economic role of a port: The case of the port system of the Friuli Venezia Giulia Region, Italy,"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Vol.15 No.2, 222-255. https://doi.org/10.1057/mel.2013.1
  16. Hausman, J.A.(1981), "Exact Consumer's Surplus and Deadweight Los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71 No.4, 662-676.
  17. Hausman, J.A.(1997), "Valuing the Effect of Regulation on New Services in Telecommunications,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Microeconomics, 1-54.
  18. JICA(2005), The Feasibilit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dicated Freight Corrior For Delhi-Mumbai and Ludhiana-Sonnagar in India.
  19. Syafi'i.Katsuhiko Kuroda.Mikio Takebayashi(2005), "Forecasting The Demand of container Throughput in Indonesia," Memoir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Research Institue, Vol.47 No.3, 1-10.
  20. Veerachai Gosasang.Watcharavee Chandraprakaikul.Supaporn Kiattisin(2010), "A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Neural Networks Forecasting Techniques for Container Throughput at Bangkok Port,"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27 No.3, 463-482. https://doi.org/10.1016/S2092-5212(11)80022-2
  21. Wen-Yi Peng.Ching-Wu Chu(2009), "A comparison of univariate methods for forecasting container throughput volumes," Mathematical and Computer Modelling, Vol.50 No.7-8, 1045-1057. https://doi.org/10.1016/j.mcm.2009.05.027
  22. Willig, R.D.(2076), "Consumer's Surplus Without Apology," American Economic Review, Vol.66 No.4, 589-597.
  23. Ying Wang.Chien-Chang.Chou Gi-Tae Yeo(2013),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a System Dynamics Model to Forecast the Volume of Containers," Journal of Applied Science and Engineering, Vol.16 No.2, 187-196.
  24. www.spidc.go.kr. (해양수산부 해운항만물류정보센터, 해운항만통계, 2016년 6월 21일 검색).
  25. www.dart.fss.or.k,(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2016년 7월 3일 검색).
  26. www.ecos.bok.or.kr(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2016년 6월 25일 검색).
  27. www.molit.go.kr(국토교통부, 2016년 6월 25일 검색).
  28. kosis.kr(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016년 8월 2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