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Rural Development

농촌개발 연구동향에 관한 사회연결망분석 - 주제어 중심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

  • 박수진 (전남대학교 지역개발학과) ;
  • 나주몽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지역개발학 전공)
  • Received : 2016.07.06
  • Accepted : 2016.09.13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research subject that has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and contribute to seek to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rural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studies in the last 30 years on rural society. In this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for identifying the changes in research themes and connection structure of keyword. The study shows that in the previous Roh Moo-Hyun's Administration from 1986 to 2000, the convergence of the research is not active. In terms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keyword, lots of keywords are connected to the 'Migration, IMF, Satisfaction, Green Tourism' but its form is not complicated. In the Roh Moo-Hyun's Administration from 2001 to 2007, the academic exchanges and convergence of keywords on rural development were promoted research. The connection structure of keyword was formed like a complex cluster associated with 'The Rural Elderly, Rural Tourism, Rural Development Policy, Urban-Rural Comparison'. Although some scholars who study 'Women's Studies, Tourism' formed the cluster, its form is still passive. Since 2008 until now, the keyword network of rural development research clustered densely and formed singly. It reveals that the convergence of research subjects has proceeded actively. And studies such as the 'Community, Participation, Social capital, Quality of life, Social networks, Alternative food movement' have begun.

본 연구에서는 농촌개발에 관한 지난 30년간의 연구사를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연구 과제를 도출, 향후 농촌개발의 연구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정책시기별 주요 연구주제어의 변화와 주제어들 간의 연결 구조를 분석하였다. 1986년부터 2000년까지 참여정부 이전에는 연구 분야 간 융합이 활발하지 않으며, 주제어 연결구조에서는 '인구이동, IMF, 녹색관광'의 주제어를 매개로 주제어 간 연계가 일어나고 있지만 그 형태는 복잡하지 않다. 참여정부 시기에는 '노인, 농촌관광, 농촌개발정책' 등의 핵심어를 중심으로 통합된 형태의 복잡한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2008년 이후 현재까지 농촌개발연구의 주제어 네트워크는 클러스터의 결집이 조밀하고 단일형태로 구성되었으며, '공동체, 주민참여, 사회적자본'과 같은 주제어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실.조부연, 2015, 기업지원사업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과 정량평가의 단계적 적용, 상품학연구, 33(3), pp.91-98.
  2. 곽기영, 2014, 소셜네트워크분석, 서울: 청람.
  3. 김솔희.서교.김태곤, 2016, 한국농촌계획의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한국농촌계획학회 학술논문(1995-2014)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농촌계획, 22(1), pp.1-11. https://doi.org/10.7851/ksrp.2016.22.1.001
  4. 김태연, 2015, 농촌개발정책의 패러다임은 변화하고 있는 가: 신내생적 발전론 관점의 적용, 동향과 전망, 통권 93호, pp.86-131.
  5. 김학영.최성원.김준, 2015, 지속가능한 영농, 영림을 위한 국내외 연구동향 및 향방,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7(3), pp.236-247. https://doi.org/10.5532/KJAFM.2015.17.3.236
  6. 농촌진흥청, 2009, 기후변화와 농업생태계 변동 연구동향, 농촌진흥청.
  7. 농촌진흥청, 2010, 국내외 녹색성장 정책 및 연구동향, 농촌진흥청.
  8. 농촌진흥청, 2013, 배 유기재배 국내 연구동향 및 최신 재배기술, 농촌진흥청.
  9.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6, 농촌계획의 이론과 실제, 서울: 보성각.
  10. 박재완, 2010, 농촌관광 관련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8(4), pp.40-45. https://doi.org/10.20924/CCTHBL.2010.8.4.040
  11. 사이람, 2015, NetMiner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기본과정, 서울: 사이람.
  12. 서정아, 2015,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대구의 관광지 이미지 분석: 온라인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관광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13. 안덕초 외, 2015,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농촌경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농촌계획, 21(3), pp.121-129. https://doi.org/10.7851/ksrp.2015.21.3.121
  14. 오수호, 2011, 도시민의 농촌지향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동향: 1996-2010년의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2), pp.77-90.
  15. 이시원 외, 2005, 한국의 지역사회 인구변동: 지방자치단체의 인구증감 분석, 경기: 한울.
  16. 이인회.권혁진.현길아, 2015, 농어촌학교 연구동향 분석, 열린교육연구, 23(3), pp.409-433.
  17. 이제욱, 2016,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스포츠 사회과학 분야 학술 Knowledge Map 분석, 중앙대학교 스포츠산업정보학과 박사학위논문.
  18. 이지민 외, 2012, 농촌고령화 위기 대응을 위한 지역특성 변화 분석지표 개발, 농촌계획, 18(4), pp.69-78. https://doi.org/10.7851/ksrp.2012.18.4.069
  19. 전진태.박건우.이상훈, 2011, 소셜 네트워크 분석과 지휘 통제시간을 고려한 네트워크 영향력 요소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6(2), pp.257-266. https://doi.org/10.9708/jksci.2011.16.2.257
  20. 조재인, 2011,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 최근 연구 경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8(4), pp.65-83.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065
  21. 네이버 지식백과(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8488&cid=43667&categoryId=43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