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개발

Search Result 2,39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Evaluation of the Coordinating Systems of the Rural Development Policies (RDP) in the Philippines (필리핀 농촌개발정책의 추진과정에 있어서 분산성과 통합을 위한 조정시스템의 평가)

  • Yoon, Won-Ke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5 no.2
    • /
    • pp.339-365
    • /
    • 2008
  • 농촌개발에 관한 정책영역이 농촌공간 단위의 농업정책과 비농업정책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관련된 농촌개발주체는 분산, 다기화되어 있다. 필리핀의 경우 농촌개발과 관련된 중앙정부의 관련부처는 상대적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NGO 등의 관련기구도 많은 편이다. 또한 필리핀의 지방행정계층의 수도 다른 나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다. 이는 중앙정부 부처간, 중앙부처와 NGO 및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조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지방정부 레벨에 있어서는 농촌개발과 관련된 관련주체간의 조정시스템에 관하여 지방정부법(1991)에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으나, 실제적인 작동의 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필리핀의 농촌개발과 관련된 지방단위의 관련주체의 역량은 충분히 함양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민과 NGO의 농촌개발에 대한 참여(민주성)를 매우 중시하고 있다. 필리핀 농촌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련 주체들의 분산도를 감소시키고, 주체간의 통합성의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관련 개별주체의 역량강화와 효율성에 입각한 조정체계의 정립과 전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 PDF

The Transitions in Korea's Rural Development Policies: From 1960s to the Present (한국농촌개발정책의 시기별 전개와 구성요소의 변화)

  • Yoon, Won-Ke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7 no.2
    • /
    • pp.279-304
    • /
    • 2010
  • 한국의 농촌개발정책은 지난 50년에 걸쳐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농촌개발정책은 국내외의 정책 환경인자와 관련성을 맺는 가운데, 농업 농촌이 처한 시대별 과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의 결과라고 여겨진다. 농촌개발정책은 1960년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 동안에 4단계의 시기별, 정책구성요소별로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000년을 전후하여 국가발전을 위한 행정이념이 효율성에서 형평성으로 전환됨에 따라 농촌개발정책은 전반적이고 근본적인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농촌지역은 국가발전을 위한 새로운 가치와 자원을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 재인식되고 있다. 농촌은 곧 마을이라는 으로 변화되고, 농촌의 소도읍이 새로운 농촌지역의 삶의 미시적인 관점에서 접근되던 정책이 인근의 도시와 연계를 맺는 방향 공간으로 접근되고 있다. 농촌개발정책은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에서 비농업부문의 개발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지역농업과 공간정책을 통합하여 개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농촌개발과 관련이 있는 중앙정부 부처의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지방정부와 지역주민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수직적 수평적인 분권화와 협치 체제의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지역의 고유성과 지역단위사업의 연계성에 대한 강조는 자연히 지역단위 계획제도의 정착과 이를 현실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예산제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들깨 들불병 저항성 유전자원 탐색

  • 김상우;김정인;이명희;이영기;최수연;이봉춘;김성업;오은영;이정은;김민영;조광수;정찬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21.10a
    • /
    • pp.182-182
    • /
    • 2021
  • PDF

Perspectives on Agricultural Concerns an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A Qualitative Approach for Distribution Dimention (농업 ${\cdot}$ 농촌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관점)

  • Shin, Yun-H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4 no.1
    • /
    • pp.91-96
    • /
    • 1997
  • 미래사회의 농업-농촌은 다양성과 복합성을 지닌 도시화된 형태로의 변화를 예견해 볼 수 있다. 이는 인력개발, 기술개발, 시설개발, 문화개발 및 환경개발 및 환경개발 등 그 영역과 요구 또한 구체화되고 다양화되는 추세에 비추어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관점(qualitative approach)에서 농업-농촌사회 개발 전문가들의 개발 진행과 그 영역들은 무엇이며 어느 영역들에 개발비중을 두었는 지를 알아 보는 데 있었다. 11명의 농업 및 농촌 지역 개발 전문가들의 개발관점은 그 중요성과 영역의 다양성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즉, 인력개발과 경제개발 영역에서 공통점으로 보였으며, 환경영역 및 문화영역에서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이제 농업-농촌개발은 "instead of"의 개발접근이 지양되면서 "as well as"의 다각적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이어야 한다. 또한, 개발의 개념은 성장(growth)이 아닌 유지(keeping)와 진행(process)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 PDF

A Review of Trends and Tasks of Korea's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s - Lessons for Ethiopia - (한국의 농촌생활개선사업의 특징과 동향 - 에티오피아를 위한 제언 -)

  • Bereket Roba Gamo;Yoon-Ji Choi;Jung-Shin Choi;Joo-Lee So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9 no.4
    • /
    • pp.265-280
    • /
    • 2022
  • Rural life improvement has remained a key policy concern for the governments of most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developing countries mostly focused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echnology development while implementing rural development policies. This paper was aimed at constructing the trends and identify the major tasks implemented through the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s in Korea and describing rural development efforts in Ethiopia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data was generated through an intensive review of literature and focus group interview in Korea. The two countries in general and their rural areas in particular, were poor and almost similar initially. While the condition of rural Korea rapidly transformed since 1960s, rural Ethiopia has not yet experienced major improvement. Although different rural development efforts have been made in Ethiopia, erratic policies implemented by the different political regimes across time emerge to be one of the main factors behind the poor performance of the of the rural sector. Further, while the Korean government's rural development policy gave equal emphasis to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base as well as rural life improvement right from its inception, the Ethiopian rural development policy has rather neglected the rural life improvement aspect. Diversification of rural economy was also another priority area in Korea's rural development policy through agro-processing, rural tourism, and non-farm employment opportunities whereas this has not been the case in Ethiopia's rural development policy. We suggest some lessons that Ethiopia might adapt for its rural life improvement endeav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