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 특성에 따른 소득별 직주불일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mismatch by incom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 이민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 박인권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투고 : 2016.01.05
  • 심사 : 2016.01.27
  • 발행 : 2016.03.31

초록

'직주불일치(spatial mismatch)' 가설에 따르면 현대도시의 공간구조가 저소득층에게 불리하게 형성되어 직장과 주거지의 불일치는 저소득층일수록 심각한 역진적(regressive) 관계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서울시 통근자들의 통행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소득에 따른 직주 불일치 정도의 차이를분 석함으로써 직주불일치 가설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득을 비롯한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지가와 토지이용 등 통근목적지의 지역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직장이 위치한 지역 특성에 따라 개인의 소득이 통근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역특성을 통제할 경우 소득이 감소할수록 통근시간이 길어지고, 직장이 위치한 지역의 주택가격이 증가할수록 소득에 따른 통근시간 격차는 증대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저소득층의 경우 개인의 소득과 주택부담능력으로 인해 비교적 주택가격이 저렴한 지역에 거주하면서 장시간 통근을 감당해야 함을 의미하여, 서울시에서도 소득 및 주택부담능력으로 인한 제한적 주거 선택에 의해 직주불일치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직주불일치 문제는 사회적 형평성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test the spatial mismatch hypothesis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commuting time in Seoul, Korea.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commuting times of individuals who commute to Seoul, using the data for the metropolitan household survey. We employed a hierarchial linear model(HLM) to capture the effects of both individual attributes and regional attributes, and their interac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mmuting time decreases with household income controlling for the regional attributes, and the effect of income increases with the housing price of the location of a commuter's firm. This implies that the spatial mismatch holds for Seoul as follows: Lower personal income and housing affordablility extend individuals' commuting times, and the destinations' characteristics such as housing type and land use also have impacts on commuting time. These results ha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achieving social equity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of the c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권기현, 전명진, 2013, 수도권 맞벌이 가구의 주거입지 및 통근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29(2), pp.69-83.
  2. 김현우, 김호연, 2011, 수도권 신도시 건설과 서울 거주자의 통근통행패턴 변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3), pp.437-451.
  3. 박인권, 이민주, 2014, 도시농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국토연구, 80, pp.101-116.
  4. 송윤선, 남진, 김도경, 2008, 서울시 가구유형별 통근통행시간의 영향요인분석, 국토계획, 43(3), pp.7-20.
  5. 어한나, 이희연, 2014, 부산 대도시권의 통행패턴 변화와 직주 불일치 수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1), pp.1-14.
  6. 이번송, 1998, 서울 거주자의 통근거리 결정요인 분석, 국토계획, 33(3), pp.241-263.
  7. 전명진, 정지은, 2011, 수도권 직주불일치 수준 및 초과 통근 분석, 국토계획, 46(4), pp.189-197.
  8. 전명진, 정명지, 2003, 서울대도시권 통근통행 특성변화 및 통근거리 결정요인 분석: 1980-2000년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8(3), pp.159-173.
  9. 하성규, 김재익, 1992, 주거지와 직장의 불일치 현상에 관한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27(1), pp. 1051-1071.
  10. Bao, D., Guo, T. and Xia, H., 2014, Impacts of spatial mismatch on commuting time of urban residents in China, PROMET-Traffic&Transportation, 26(3), pp.227-233. https://doi.org/10.7307/ptt.v26i3.1385
  11. Dargay, J. M. and Van Ommeren, J., 2005, The effect of income on commuting time using panel data. In 45th Conference of the Europ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at the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Amsterdam.
  12. Gobillon, L., Selod, H. and Zenou, Y., 2007, The mechanisms of spatial mismatch. Urban studies, 44(12), pp.2401-2427. https://doi.org/10.1080/00420980701540937
  13. Johnston-Anumonwo, I., 1997, Race, gender, and constrained work trips in Buffalo, NY, 1990. The Professional Geographer, 49(3), pp.306-317. https://doi.org/10.1111/0033-0124.00079
  14. Kain, J. F., 1968, Housing segregation, negro employment, and metropolitan decentralization.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pp.175-197.
  15. Lau, J. C. Y., 2011, Spatial mismatch and the affordability of public transport for the poor in Singapore's new towns, Cities., 28(3), pp.230-237. https://doi.org/10.1016/j.cities.2010.12.005
  16. Lee, B. S. and McDonald, J. F., 2003, Determinants of commuting time and distance for Seoul residents: the impact of family status on the commuting of women, Urban Studies, 40(7), pp.1283-1302. https://doi.org/10.1080/0042098032000084604
  17. McLafferty, S. and Preston, V., 1991, Gender, race, and commuting among service sector workers, The Professional Geographer, 43, pp.1-15. https://doi.org/10.1111/j.0033-0124.1991.00001.x
  18. Nichols, A. and Schaffer, M., 2007, Clustered Standard Errors in Stata, Stata Users'Group. Proceeding of United Kingdom Stata Users'Group Meetings. London.
  19. Rabe-Hesketh, S. and Skrondal, A., 2008, Multilevel and Lonitudinal Modeling using stata, 2nd ed Texas : STATA Press.
  20. Radenbush, S. W., 1993, Hierarchical Linear Models and Experimental Design, ed.Lynne, K.E. in Applied analysis of variance in Behavioral Science, New York : Marcel Dekker, pp.459-496.
  21. Roberto, E., 2008, Commuting to Opportunity: The Working Poor and Commuting in the United States, Metropolitan Policy Program at Brookings. Washington D.C. : Brookings Institution.
  22. Taylor, B. D. and Ong, P. M., 1995, Spatial mismatch or automobile mismatch? An examination of race, residence and commuting in US metropolitan areas, Urban Studies, 32(9), pp.1453-1473. https://doi.org/10.1080/00420989550012348
  23. Zhou, S., Wu, Z. and Cheng, L., 2013, The impact of spatial mismatch on residents in low-income housing neighbourhoods: A study of the Guangzhou metropolis, China, Urban Studies, 50(9), pp.1817-1835. https://doi.org/10.1177/0042098012465906
  24. 연합뉴스, 2015년 10월 21일, 경기도 2층 광역버스 22일 정식운행- 김포-서울시청 구간,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0/21/0200000000AKR20151021077800060.HTML?input=1195m
  25. 쿠키뉴스, 2015년 9월 28일, '설마 괜찮겠지'왜 광역버스만 타면 방심하나,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896877&code=41121111&cp=nv